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추 추간공 관찰을 위한 촬영법의 고찰

        전주섭(Ju Seob Jeon),은성종(Sung Jong Eun),김혜란(Kim Hye Ran),안승현(An Seung Hyun),최남길(Nam Kin Choi),김영근(Kim Young Keu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5 방사선기술과학 Vol.28 No.2

        Ⅰ.목 적 : 경추의 퇴행성 질환이나 분리증을 진단하는데 필수적인 전·후 사방향 촬영은 45°사방향(하·상방향 tube angle 15°)으로 촬영하여 경추 추간공과 주변 구조물을 살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성인에 대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에 적합한 전·후 사방향 촬영 각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Ⅱ.대상 및 실험방법 : 1. 연구대상인 성인의 경추 신경공과 정중 시상면이 이루는 평균 각을 알아보기 위해 C-spine MRI를 촬영한 환자 200명(남 100명, 평균 40.3세, 여자 100명 47.6세)을 대상으로 축방향 T2 강조영상에서 C2-C3부터 C7-T1까지의 평균 각을 구하였다. 2. 경추에 이상이 없는 남자 10명(평균 36.2세)을 대상으로 전·후 사방향 촬영시 경추 신경공과 정중시상면이 이루는 각도에서 실제로 추간공이 가장 크게 관찰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선식CT(QXi, GE medical)촬영을 시행하여, 축방향 영상에서 추간공이 이루는 각과 3D Raysum기법에서의추간공의 최대횡경을 이루는 각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경추 전후 사방향 45°, 50°, 55°(하·상방향 tube angle 15°)로 촬영한 일반촬영 영상을 PACS로 전송하여 최대횡경을 측정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Ⅲ.결 과 : 연구대상인 성인추간공의 평균 각도를 MR영상에서 측정한 결과 C2-C3, C3-C4, C4-C5, C5-C6, C6-C7, C7-T1에서의 각은 47.4°±3.3, 50.5°±2.3, 52.7°±4.2, 53.2°±1.9, 53.2°±2.3, 55.2°±2.3로 나타나 하부 경추로 갈수록 신경공과 정중 시상면이 이루는 각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10명을 대상으로 CT촬영하여 Raysum 영상에서 추간공의 최대 횡경을 보이는 각도와 2D 축방향 영상에서 측정한 추간공의 각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1). 전·후 사방향 45°, 50°, 그리고 55°로 촬영한 일반촬영에서의 추간공의 최대횡경을 측정한 결과C2-C3, C3-C4, C4-C5까지는 각도가 5°씩 커질수록 횡경이 감소(0.11mm~0.21mm)한 반면 C5-C6, C6-C7, C7-T1에서는 횡경이 증가(0.32mm~0.91mm)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차이를 분산분석(ANOVA)을 통해 비교한 결과 하부경추로 갈수록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Ⅳ.결 론 : 우리나라 성인에 있어서 추간공을 관찰하기 위한 전·후 사방향 촬영각도는 상부 경추의 경우 전·후사방향 50°에서,하부 경추의 경우55°에서 추간공을 가장 크게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경추의 퇴행성 질환을 진단하는데 본 연구의 촬영법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ervical spine of anteroposterior oblique view is essential to observe the intervertebral foramen (IVF). The morphologic changes of IVFs were proved to be abnormal with nerve roots and peripheral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 projection angle for observing the IVFs in the Korean adults. In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of 100 normal persons, 45°, 50°and 55°oblique views were compared by measuring the maximal transverse diameter of all the cervical IVFs. 45°oblique views provided slightly better visualization of upper cervical level(C2-C3, C3-C4, C4-C5), but the lower cervical level(C5-C6, C6-C7, C7-T1) of IVF transverse diameters were substantially increased on the 55°AP oblique projection. In the comprasion of mean differences between 8 obese person(BMI>25) and 58 normal person(18.5<BMI<22.9) proved to b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55°AP oblique(tube angle 15°cephalad) view is optimal for evaluating the lower cervical IVFs.

      • KCI등재

        골관절염 환자의 촬영방법에 대한 고찰 : AP-WB(Weight-bearing AP), 촬영법의 MTP(semiflexed)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전주섭(Ju Seob Jeon),박환상(Hwan Sang Park),문일봉(Il Bong Moon),문주완(Ju Wan Moon),최남길(Nam Kil Choi),김창복(Chang Bok Kim),은성종(Sung Jong Eu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5 방사선기술과학 Vol.28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표준인 AP-WB(Weight-Bearing AP) 촬영법과 MTP(Semiflexed or meta-tarsophalangeal) 촬영법을 소개하고 판독 시 중요하게 여기는 관절간격과 신생골 묘출에 따른 항목을 각각 비교 고찰하여 골관절염 환자의 진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에서 2005년 1월까지 Knee Pain이 있는 환자로 본원의 류마티스내과에 내원한 220명(남:38명, 여:182명, 평균연령:57.3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인 AP-WB와 MTP검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MTP검사는 20명의 모의환자로 발의 위치를 확인하며 슬개골이 슬관절부 정중앙에 위치하고, 관절강의 좌우대칭이 일치하도록 하였다. 관절간격과 신생골을0(나쁨),1(보통),2(좋음),3(아주좋음)점으로 구분하여 정형외과의사 3명, 류마티스 내과의사 2명, 방사선과 전문의 3명, 방사선사 5명이 PACS 모니터에서 영상을 Blind test하였다. 장비는 PHILIPS(Buckey Diagnostic-TH)를 사용하였고, 100cm거리에서, 60Kv, 8mAs로 설정하였다. 결과 : 위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MTP 촬영법 : 발을 바깥쪽으로 15°회전하고 무릎을 구부려 카세트 면에 대면 슬개골이 슬관절부의 정중앙에 위치하였고, 관절강의 정렬에 따른 좌우대칭이 일치하였다. 2. 관절간격 점수 : AP-WB 촬영법; 1.32±0.050, MTP 촬영법; 2.51±0.046 3. 신생골 점수 : AP-WB 촬영법; 2.14±0.054, MTP 촬영법; 2.10±0.054 결론 및 고찰 : 이번 연구는 임상적인 판독 방법으로 관절간격과 신생골에 따른 점수를 비교 했을 때, MTP 촬영법이 가장 중요한 관절간격을 영상으로 표출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AP-WB 촬영법보다 훨씬 더 우세하다는 결론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향후 골관절염 환자의 진단율을 향상시키는 데는 MTP촬영법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knee joint displaying between the anteroposterior weight bearing(AP-WB) View and the metatarsophalangeal(MTP) view for assessing joint space narrowing (JSN) and osteophytes in osteoarthritis patients. Subjects and Materials : Two hundreds of twenty patients(38men) who came rheumatoid caused by knee pain, had both AP-WB and MTP views taken on a day. Radiographs were evaluated independently by 13 experienced observers(3 orthopedics surgeon, 2 rheumatogist, 3 radiologist, 5 radiological technologist) They assessed JSN and osteophytes using by PACS monitor JSN was scored by the optic evaluation to the nearest at the narrowest point in medial compartments of the tibiofemoral joint in both knees. Osteophytes were graded 0 to 3(bad 0, not bad 1, good 2 and very good 3) according to a standard atlas. All exam was using by Philips(Buckey Diagnostic-TH) X-ray material. Exposure condition was 60kv, 8mAs and 100 cm focus to film distance. Results : JSN was scored 1.32±0.050 in AP-WB view, 2.51±0.046 in MTP view. MTP view of JSN score is higher to AP-WB view significantly(p<0.05). Osteophytes scored 2.14±0.054 in AP-WB view, 2.10±0.054 in MTP view. There was no difference(p<0.05) between MTP view and AP-WB view in osteophytes. But MTP view was more reproducible than AP-WB view. Conclusions : Joint space narrowing is most important factor to diagnosis with knee joint Osteoarthritis patients.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In comparision of JSN, MTP view was more widely displayed than AP-WB view. In comparision of Osteophyt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TP view and AP-WB view. It was concluded MTP view was more useful method to diagnosis of knee joint Osteoarthritis patients.

      • KCI등재

        중재적 시술에 사용하는 조영제의 요오드(<SUP>53</SUP>I) 함유량 차이에 따른 피폭선량 평가

        박혁(Hyeok Bak),전주섭(Ju-Seob Jeon),김용완(Yong-Wan Kim),장성주(Seong-Joo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중재적 시술 및 혈관조영검사에 사용되는 조영제의 요오드 함유량 차이에 따른 흡수도와 피폭선량을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조영제는 요오드 함유량(I ㎎/㎖)에 따라 240, 270, 300, 320, 350, 370, 400의 7종류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요오드 함유량이 많을수록 흡수도 및 피폭선량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TACE 검사에서도 조영제의 농도 270 I ㎎/㎖에 비해 350 I ㎎/㎖의 출력 선량이 8.5% 정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영제가 환자의 피폭선량에 영향을 주며 요오드 함유량이 많은 조영제일수록 환자의 피폭선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this study is to evaluate exposure dose and absorbability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iodine in contrast media used in interventional procedure and angiography. There were 7 levels of iodine content as 240, 270, 300, 320, 350, 370, and 400 I ㎎/㎖. The higher iodine content was, the more elevated exposure dose and absorb ability were. The output dose was about 8.5% from iodine content with 350 I ㎎/㎖ higher than that with 270 I ㎎/㎖ inTACE. These results mean that contrast media can have an effect on patient’s exposure dose and high iodine content contrast media results in elevation of patient’s exposure dose.

      • KCI등재

        견갑골 측방향 촬영에서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기 위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

        박기봉(Ki-Bong Park),전주섭(Ju-Seob Jeon),강인희(In-Hyi Kang),최남길(Nam-Kil Choi),장영일(Young-Il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5 방사선기술과학 Vol.28 No.3

        목 적 : 견갑골의 골절 유ㆍ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 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3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2°, 37°, 42°로 하여 전ㆍ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2°가 1.53±0.39점, 37°가 3.83±0.15점, 42°가 2.17±0.43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슴둘레가 100㎝이상인 군과 100㎝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고찰 :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37°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rue lateral scapular image was very important to diagnosis the scapular fracture and dislocation induced by traumatic inju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patient rotation angle to be showing the scapular true lateral in Korean. Subjects and Materials Thirty patients(22 men, 8 women, mean ages 53.4)with scapular pain, had supine anteroposterior projection taken with 32°, 37°, 42° trunk rotation angle changing the manual angulation material. Radiographs were evaluated independently by 5 experienced observers(1 orthopedics surgery specialist, 1 diagnostic radiology specialist, 3 radiological technologist) They assessed overlab of vertebral border and axillary border of scapular as follows; Totally overlapping of vertebral border and axillary border is 4, partially overlapping is 3, not overlapping is 2 and oblique location with two borders is 1. All observers scored using by PACS monitor. Results 32° trunk rotation was scored 1.53±0.39, 37° trunk rotation was scored 3.83±0.15 and 42° trunk rotation was scored 2.17±0.43. There was no difference(p<0.05) between group of more than 100㎝ of the girth of the chest and group of less than 100㎝. Similarly, men and women group showed no difference(p<0.05) with trunk rotation statistically. Conclusions There was no result of trunk rotation angle to radiograph the true scapular lateral image up to date. This studi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daptation of 37° trunk rotation was the best to show the true scapular lateral image in Korean. Our results were very useful to get the true scapular lateral images in clinic.

      • TACE 환자의 Dual Energy CT에서 BMI에 따른 Mixed 영상과 Monoenergetic 영상의 CNR에 관한 연구

        윤강철(Kang Cheol Yoon),문일봉(Il Bong Moon),범희남(Hyi Nam Beom),전주섭(Ju Seob Jeon),최남길(Nam Kil Choi)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1

        목적 Dual energy CT를 이용한 TACE 환자의 복부 조영검사에서 환자를 BMI에 따라 분류하고 mixed 0.3 영상과 높은 CNR을 보이는 에너지 준위(keV)에서의 monoenergetic 영상의 CNR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5월에 TACE를 시행한 후의 추적검사로 복부 조영 DECT를 시행한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장비는 SOMATOM Definition Flash(Siemens Healthcare, Forchheim,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획득한 영상은 별도의 3D 워크스테이션(Syngo MMWP, Siemens, Germany)에서 작업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33명 중 성별로는 남자 29명(87.88%), 여자 4명(12.12%)으로 조사되었고, 평균 연령은 66.39세였다. 환자의 BMI는 25 미만이 20명(60.61%), 25 이상이 13명(39.39%)이었으며, 높은 CNR을 보이는 monoenergetic 영상의 에너지 준위(keV)를 알아본 결과, BMI 25 미만의 환자에서는 66keV가 11명(55%)으로 가장 많았고, 67keV 8명(40%), 68keV 1명(5%) 순으로 나타났다. BMI 25이상의 환자에서는 68keV가 7명(53.85%)으로 가장 많았고, 67keV가 4명(30.77%), 69keV 2명(15.38%)순으로 나타났다. CNR은 BMI 25미만에서는 monoenergetic 영상에서 29.30±14.20으로, 80kVp와 140kVp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Mixed ratio 0.3 영상에서 14.27±6.36으로 나타났다. BMI 25 이상에서는 monoenergetic 영상에서 22.30±5.49.로, mixed 0.3 영상에서 11.68±2.27로 나타났다. BMI 분류에 따른 CNR이 BMI 25이상보다 BMI 25미만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mixed 영상보다 monoenergetic 영상에서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 TACE 환자의 monoenergetic 영상은 66~69keV에서 높은 CNR을 보였으며, 기존의 120kVp 영상에 해당하는 mixed 0.3 영상보다 CNR이 두배 정도 높아 복부영역의 mixed 영상을 대신하여 사용함으로써 영상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I. Purpose To compare image quality of monoenergetic images with default composition ratio (0.3) images with dual-energy computed tomography(DECT) in liver lesion for TACE patients II. Materials and Methods In May 2011, 43 patients(mean age, 66) were studied with abdomen dynamic CT for TACE follow-up. 128 channel dual-energy CT scans were acquired with a CT scanner(SOMATOM Definition Flash, Siemens, Forchheim, Germany). DECT was used only during the arterial phase. Acquired images were reconstructed with 3D wotkstation(Syngo MMWP, Siemens, Germany). Dual-energy mixed images were reconstructed with default 0.3 composition ratios. Monoenergetic images were reconstructed with highest contrast to noise ratio(CNR) level. CNR were analyzed on monoenergetic images and mixed 0.3 images. III. Results CNR on the monoenergetic images was highest at 66~69 keV. The highest CNR was found for a monoenergetic images, exceeding the CNR of mixed 0.3 images. CNR on the monoeneretic images in the liver was 2 times higher compared with that on the mixed 0.3 images(P=0.000). According to body mass index(BMI), CNR of BMI under 25 showed a slightly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BMI more than 25 but di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V. Conclusion Monoenetgetic images at approximately 66~69 keV yielded lower image noise and higher CNR than did mixed 0.3 images. Monoenetgetic images have the potential to replace default composition ratio 0. 3 images, sinre optimal monoenergetic imaging may be expected to yield improved image quality in a patient with standard body habitus.

      • KCI등재

        후족부 관상면 배열 영상에 대한 고안

        문일봉(Il-Bong moon),김승국(Seung-Kook kim),전주섭(Ju-Seob jeon),윤강철(Kang-Cheol yoon),최남길(Nam-Kil Choi)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4

          목적: 후족부의 병리학적 상태의 치료와 평가를 위해서는 관상면에서 종골과 경골이 연관된 배열상태의 정확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전의 방사선학적 검사인 발과 발목의 전후방향, 측방향, 사방향 촬영과 종골 축방향 촬영 등의 X-선 촬영상은 관상면에서 종골과 경골이 연관된 배열상태를 증명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후족부 관상면 배열영상(hindfoot coronal alignment view)을 새롭게 소개하고자 한다.<BR>  검사방법 :<BR>  1) 양쪽 발을 지탱할 수 있는 방사선투과성의 스탠드형 보조기구를 제작한다.<BR>  2) 양측 발은 weight-bearing position이 되게 한다.<BR>  3) 각각의 발의 위치는 발의 종축이 보조기구 판과 수직이 되도록 자세를 유지한다.<BR>  4) silhouette tracing: 발뒷꿈치 outline과 둘째 발가락이 일직선상으로 지나도록 위치시킨다.<BR>  5) 중심 X-선: 발바닥 쪽을 향해 약 15~20°의 각도로 종골의 뒷쪽을 향해 입사한다.<BR>  결과 :<BR>  1) 경골 축과 종골의 내측, 외측 결절의 영상이 함께 표출된다.<BR>  2) 종골이 회전되지 않아야 한다.<BR>  3) 거퇴관절강(talotibial joint space)이 함께 나타나야 한다.<BR>  결론: CT나 MRI 영상에서도 관상면에서 후족부의 배열상태를 증명할 수 있지만, 환자의 체중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의 임상적인 증상을 보여주기에는 충분하지 못했다. 하지만 후족부 관상면 배열영상은 후족부의 inversion, eversion의 자세변화를 보여주고, 경골 원위부와 종골의 varus, valgus deformity의 치료를 위한 평가 자료로 좋은 검사방법이며, 비교적 자연스럽고 편안한 자세로 환자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ccurate clinical evaluation of the alignment of the calcaneus relative to the tibia in the coronal plane is essential in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ndfoot pathologic condition.<BR>  Previously described standard anteroposterior, lateral, and oblique radiographic methods of the foot or ankle do not demonstrate alignment of the tibia relation to the calcaneus in the coronal plane.<B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hindfoot coronal alignment view.<BR>  Material :<BR>  1) Both feet were imaged simultaneously on an elevated, radiolucent foot stand equipment.<BR>  2) Both feet stood on a radiolucent platform with equal weight on both feet.<BR>  3) Both feet are located foot axis longitudinal perpendicular to the platform.<BR>  4) Silhouette tracing around both feet are made, and line is then drawn to bisect the silhouette of the second toe and the outline of the heel.<BR>  5) The x-ray beam is angled down approximately 15° to 20°<BR>  Result :<BR>  1) This image described tibial axis and medial, lateral tuberosity of calcaneus.<BR>  2) Calcaneus do not rotated.<BR>  3) The view is showed by talotibial joint space.<BR>  Conclusion: Although computed tomographic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s are capable of demonstrating coronal hindfoot alignment, they lack usefulness in most clinical situations because the foot is imaged in a non-weight bearing position.<BR>  But hindfoot coronal alignment view is obtained for evaluating position changing of inversion, eversion of the hindfoot and varus, valgus deformity of calcaneus.

      • CT 조영검사 시 Dual Trasfer set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및 근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최재성(Jae Sung Choi),범희남(Hyi Nam Beom),전주섭(Ju Seob Jeon),최남길(Nam Kil Choi)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4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6 No.2

        목적 : CT 조영검사 시 조영제를 인젝터 시린지에 담기 위해 기존에 사용중인 Single Transfer Set(STS) 대신 새로운 Dual Transfer Set(DTS)를 제작하여 임상 적용했을 때 방사선사의 업무 효율성 및 근무만족도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CT 검사를 시행했던 환자들 중 조영검사를 위해 새로 제작한 DTS를 이용하여 조영검사를 한 41,041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조영제는 주로 100ml, 150ml, 500ml, 1000ml였으며, 기존의 STS에 비해 DTS를 사용했을때 조영제 준비시간의 단축정도와 업무의 효율성 등 설문지를 통하여 근무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2013년 검사 총 건수는 65,457건이었으며, 이중 조영제를 사용한 건수는 41,041건으로 전체건수대비 62.7%를 차지하였으며, 조영검사 건수 중 대용량 조영제(500ml, 1000ml)를 사용했을때의 비율은 약 47.65%로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였다. 조영제 준비시간을 분석한 결과 STS에 비하여 DTS를 사용하였을때 1건당 평균 30초의 검사시간이 단축되었다. 설문지를 작성한 방사선사 15명중 ‘처방별로 조영제를 사용한다’는 경우가 10명(67%), ‘성분명이 다른 조영제를 혼합사용하지 않는다’는 경우가 11명(73%), ‘기존의 STS보다 DTS를 이용했을때 검사준비가 용이하다’는 경우가 12명(80%), ‘DTS 사용 시 조영제 준비시간이 단축된다’라는 경우가 12명(80%), ‘DTS를 타병원에 추천할 의향이 있다’는 경우가 12명(80%)로 나타났다. 결론 : CT 검사건수는 CT 개발 이후부터 현재까지 증가 추세에 있고, 앞으로도 증가가 예상되며, 그에 따른 조영제 사용빈도 또한 증가할 것이다. DTS를 사용함으로써 대용량 조영제를 자주 교체하지 않아 감염 예방, 남아있는 조영제의 손쉬운 사용, 처방된 조영제를 사용함으로써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의 관리, 준비시간 단축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과 그로 인한 검사대기시간 단축, 조영검사 준비 시 간편함 등으로 근무만족도가 향상되어 임상적용을 적극 권장하는 바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f radiologic technologists’ work efficiency and satisfaction by using Dual Transfer Set(DTS) instead of previously used Single Transfer Set(STS) to fill contrast media on Auto injector syringe in CT enhancement.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3, 41,041 patients who underwent CT enhancement study using D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ntrast media were used 100ml, 150ml, 500ml and 1000ml. Contrast media preparation time was checked between STS and DTS. Radiologic technologists’s work efficiency and satisfaction were checked by questionnaires.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tests in 2013 was 65,457 and CT enhancement were 41,041(62.7%). The cases of using large amount contrast media(500ml, 1000ml) was 47.65%. Contrast media preparation time using DTS was shortened CT scan time of 30 seconds than using STS. Radiologic technologist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was 15. The case of using contrast media by prescription was 10(67%). The case of not using a mixture of two different contrast media was 11(73%), The answer that preparing the CT scan using DTS than using STS is easier was 12(80%). The answer that preparation time of CT scan reduces when using DTS was 12(80%). The answer that there is willingness to recommend DTS to other hospital was 12(80%). Conclusion : The number of CT scan is increasing since CT scan was developed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It will also increase the frequency of use of contrast media. Using DTS in CT scan is expected to prevent infection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a large amount contrast media frequently. It is ease to use of remained contrast media and is useful to manage of patients with side effects. Reducing CT preparation time will improve radiologic technologist’s work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nd it also will reduce CT check wait time. In this reason, DTS clinical application is highly recommended.

      • 양측 하지 Direct CT Venography를 위한 카테터 제작 및 임상 유용성 평가

        최재성(Jae Sung Choi),문일봉(Il Bong Moon),범희남(Hyi Nam Beom),전주섭(Ju Seob Jeon),최남길(Nam Kil Choi)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2

        목적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이용한 양측 하지 Direct CT venogaphy를 위해 새로운 카테터(reverse Y connector)를 제작하여 임상에 적용했을 때, 좌측과 우측을 각각 검사했을 때와의 환자선량(CTDIvol, DLP), 하지정맥에서의 조영증강 정도(Hounsfield Unit: HU)와 노이즈(Standard Deviation: SD), 재구성한 볼륨렌더링의 화질 등을 비교분석하여 임상적용 시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심부정맥 혈전증으로 추적검사를 하는 환자들 중 과거 좌측과 우측을 Direct CT venography로 각각 시행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새로 제작한 Reverse Y connector를 이용하여 양측 하지 Direct CT venography를 시행한 25명의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 남자가 9명, 여자가 16명, 평균연령은 51세였다. 검사 장비는 Somatom Definition Flash(Siemens, Forcheim, Germany)였으며, 관전압은 100kV, 유효 관전류는 200mAs, 자동노출제어시스템인 caredose 4D를 사용하였고, rotation time은 0.5s, pitch는 1.0이었다. 검사방법은 발등의 정맥에 발가락을 향하여 주사바늘을 삽입한 후 Ankle joint 상방 10cm에 토니켓을 이용하여 강하게 묶은 다음 희석된 조영제(조영제 30%, 식염수 70%) 180 ml를 초당 1.5~2 cc로 주입하면서 심부정맥으로만 조영제가 흘러가게 한 다음, 희석된 조영제가 120cc 정도 주입되었을 때 토니켓을 풀어 심부정맥과 표재정맥에 조영제가 유입될 때 발끝부터 횡격막까지 bottom-up scan하였다. 결과 환자의 선량은 양측 하지(CTDIvol: 6.39±0.15mGy, DLP: 789.04±33.09), 우측하지(CTDIvol: 6.39±0.14mGy, DLP: 789.83±32.95mGyㆍcm), 좌측하지((CTDIvol: 6.41±0.14 mGy, DLP: 791.33±32.95 Gyㆍcm)로 나타나 각각의 편측으로 시행한 선량과 양측으로 동시에 시행한 선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흑 하지와 좌, 우측하지 검사후 하대정맥의 조영 증강 정도와 노이즈는 양측 하지(HU: 264.67±24.10, SD: 21.33±6.15), 우측하지(HU: 169.96±16.36, SD: 22.58±5.56), 좌측하지(HU: 170.38土13.26, SD: 23.50±6.12)로 양측 하지 검사의 하대정맥에서의 조영 증강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세 그룹간의 노이즈 차이는 없었다. 양측 하지와 우측하지, 좌측하지의 총장골정맥, 슬와정맥, 대복재정맥에서의 조영증강 정도와 노이즈 역시 세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볼륨렌더링의 화질 분석은 관찰자 세명 모두에서 양측 하지 검사가 편측검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편측에 비해 양측 하지 Direct CT veonography가 선량을 반으로 줄임과 동시에 영상의 질 향상, 그리고 한번의 검사로 인한 경제적 효율성, 검사 소요시간의 단축 등 환자의 검사 만족도가 향상되어 임상적용을 적극 권장하는 바이다. I. Purpose We created a new catheter for the both lower extremities of direct CT venography which was applied to clinical. Tu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atient dose(CTDIvol, DLP), the degree of contrast enhancement, noise in venous and the quality of the reconstructed volume rendering by comparing both and left, right. II. Meterial and Methods From December 2011 to February 2D12, 25 patients with follow up deep vein thrombosis and who had direct CT venography and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oth lower extremities of direct CT venography. All patients, follow up direct CT venography was performed with the newly created Reverse Y connector. The patients were 9 men and 16 women and the mean age was 51 years. We obtained by using Somatom Definition Flash(Siemens, Forcheim, Germany and parameters value were 100 kV, 200 mAs, automatic exposure control system: caredose 40, rotation time: 0.5s and pitch: 1.0. The needle is inserted a dorsal vein toward toes. The tourniquet tie strongly 10 cm above the ankle. and then 180 ml(contrast 30%, NS 70%) of diluted contrast is only injected into the deep vein 1.5~2.0 cc per second. When diluted contrast agent is injected 120 cc. we unwrap tourniquet. We were scanned CT from the foot to diaphragm when contrast flow in deep-vein and superficial vein. III. Result The CTDIvol and DLP by each te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ach both(CTDIvol: 6.39±0.15mGy, DLP: 789.04±33.09), right(CTDIvol: 6.39±0.14mGy, DLP: 789.83±32.95 mGyㆍcm), left(CTDIvol: 6.41±0.14 mGy, DLP: 791.33±32.95 Gyㆍcm), The Hounsfeild Unit of the degree of contrast enhancement and noise are as follows both(HU: 264.67±24.10, SD: 21.33±6.15), right (HU: 169.96±16.36, SD: 22.58±5.56), left(HU: 170.38±13.26, SD: 23.50±6.12). The degree of contrast enhancement of great saphenous vein in both lower extremity 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nois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degree of contrast enhancement and noise of Iliac vein, popliteal vein, great saphenous vein by each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quality analysis of reconstructed volume rendering image both sides than one sid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ere evaluated by three observers. IV. Conclusions The both lower extremities Direct CT veonography patient dose without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could be reduced by half than unilateral and we recommend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because of economic efficiency resulting from a single test and improvement in patient satisfaction due to reduce testing time.

      • 하지의 족관절, 족부 3D CT검사에서 보조기구 이용의 유용성 고찰

        김민규(Min gyu Kim),함인근(In guen Ham),문일봉(Il bong Moon),범희남(Hui nam Bum),전주섭(Ju seob Jeon)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 201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 하지의 족관절, 족부 3D CT검사에서 보조기구 이용이 보조기구를 이용하지 않는 검사군과 비교하여 유용한 검사법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뼈 성장판이 융합하고 특별한 외상이 없는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실험군과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대조군 그리고 참조군 (한국 정상 성인의 족관절 각)을 서로 비교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이 참조군과 비교하여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영상의학과 전문의 1인, 정형외과 전문의 1인, 방사선사 1인이 영상의 질을 평가 하였다. 결과 : 보조기구를 이용한 실험군이 보조기구를 이용하지 않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Tibial angle은 보조기구 사용 군이 평균 68.41°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군이 평균 72.66°로 두 계측각 모두 참조군(63.5~65.2)과 비교하여 범위를 벗어난 수치를 보여주었다. Fibular angle은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군이 평균 62.32°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군이 67.03°로 참조군 평균값(55.9~56.9)에 포함되지 못하였으나, Talocalcaneal angle 측면에서는 평균 39.9° 참고치 39.9~41.4° Tuber~joint(Bohler’s) angle 평균 32.4° 참고치 30.7~31.6 Calcaneus-tibia angle 평균 83.2° 참고치 81.9~93.0° Calcaneus-floor angle 평균 15.7° 참고치 12.4~13.0°로 4계측각 모두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군이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군에 비해 참조군 평균 값에 근접 하거나 포함 되었고 대조군은 평균값이 모두 참고치를 벗어났다. 영상의 질 평가 결과 보조기구 사용 군이 그렇지 않는 군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더 뛰어난 평가 결과를 기록하였다. 결론 : 하지의 족관절, 족부 CT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계측 값은 실험군이 참조군의 계측값의 평균값에 포함 되거나 거의 근접한 수치를 보여 주었고 대조군은 실험군의 평균값에 전반적으로 벗어난 수치를 보여주었다. 영상의 질 평가결과 기구를 사용 하는 군이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군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뛰어난 평가 결과 값을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하지의 족관절, 족부 CT검사에서 기구 사용은 영상의 질이 뛰어나고 평균적으로 일정한 형태와 분포도를 보여 주어 기구 사용이 보다 더 유용한 검사법임을 보여주었다. Purpose : To know of usefulness of Lower Extremity Fixation Device(LFD) on ankle, foot 3D CT compare with none use of LFD. Materials and method : To 60 peoples whose tibial growth plate was closed and not injured, we scanned Ankle or Foot 3D CT: A group were used LFD and B group were not used. Then we measured A and B group’ several joints angle compare with reference group(Korean’ standard adult ankle joint angle). Datum and image qualities were analyzed by a Radiologist, a Orthopedist and a Radiation Technologist. Results : At tibial joint, A’ mean angle is 68.41°±5.05 and B’ mean angle is 72.66°±,4.89 they were beyond reference range(63.5°~65.2°). At fibular joint, A’ mean angle is 62.32°±1.76 and B’ mean angle is 67.03°±5.99, they were beyond reference range( 55.9~56.9). However at Talocalcaneal joint, A’ mean lateral angle 39.9° is in reference range(39.9°~41.4°) but B group(34.15) is not in. And also at Tuber joint(Bohler’s), A’ mean angle 32.4° is in reference range(30.7°~32.6°) but B group(28.75) is not in. At Calcaneus-tibia joint, A’ mean angle 83.2° is in reference range(81.9°~93.0°) but B group(95.24) is not in. At Calcaneus-floor, A’ mean angle 15.7° is near to reference range(12.4°~13.0°) but B group(18.71) is far from. The standard deviation of A group showed a more than B constant distribution. The results of measure Image quality, A group is good than B group. Conclusion : On lower extremity ankle, foot CT, A group is in reference range or near but B group is generally beyond to reference range. In image quality measure, A group is good than B group. In conclusion, Use of LFD on lower extremity ankle, foot CT is similar to Korean’ standard adult ankle joint angle and is good in image quality than none use of LFD as well.

      • 급성 뇌경색 환자의 관류 CT 검사 시 심방세동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

        홍설화(Seol Hwa Hong),문일봉(Il Bong Moon),이현성(Hyun Seong Lee),범희남(Hui Nam Beom),전주섭(Ju Seob Jeon)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2

        I. Purpose Atrial fibrillation(A-fib) is the most common symptom at the arrhyth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that atrial fibrillation(A-fib) could degrade of image of Perfusion CT(PCT) on Acute Cerebral Infarction(ACI) patients. II. Meterial and Metho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1, We had evaluated 76patient who were suspected ACI and underwent PCT at C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The pati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fib(n=36), non A-fib(n=36). Heart rate was classified 2 parts Controlled Ventricular Response(CVR) and Rapid Ventricular Response(RVR) (60<HR<100.HR>100) Then we analyzed that A-fib could effect to PCT image according to heart rate. III. Result CT the 76 patients who had a ACI, 38 patients had been observed A-fib and 38 patients had not been observed. The time density curve(TDC) of A-fib groups and None A-fib groups were evaluated one-way ANOVA. We analyzed that threshold time, peak time, threshold Hounsfield Unit(HU), peak time HU, The results of analysis is that: threshold time(p=0.006), and peak time(p=0.001) were significanted. But threshold HU(p=0.517), peak HU(p=0.927) were not significanted. IV. Conclusions Therefore before PCT scan, CT Radiological technologist should recognize that the patient has A-fib or not, and scan carefully. 목적 관류 CT 영상의 질 저하의 원인 중 하나로, 부정맥에서 가장 흔한 증상인 심방세동일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관류 CT 영상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C대학교 병원 응급센터에 급성 뇌경색으로 의심되어 뇌 관류 CT를 촬영한 157명의 환자 중 적응증이 된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방세동 환자군이 뇌 관류 CT 영상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상군과 심박동수에 따른 Controlled Ventricular Response(CVR), Rapid Ventricular Response(RVR)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관찰된 그룹과, 심방세동이 관찰되지 않은 그룹은 각각 38명이었다. 심방세동이 관찰되지 않은 대조군, CVR, RVR의 TDC에서 threshold time, peak time, threshold Hounsfield Unit(HU), peak time HU를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색한 결과, threshold time과 peak time에서 각각 P-value 값이 0.006과 0.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threshold HU와 peak time HU는 각각 0.517과 0.927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뇌 관류 CT 검사 전에 방사선사는 심방세동 유무를 잘 확인하여 영상에 대한 문의 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