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에 대한 질적 연구: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희 ( Eun Hee Je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2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 교사와 학부모, 아동들 등 관련자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무지개초``와 ``은하수초``에서 실시된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질적으로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모계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들이 대다수였다.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또 다른 업무 부담"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교육청은 학교 선정에서부터 난항을 겪고 있었다. 또 다문화 관련 업무 담당자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가 깊다고 보기 어려웠으며 결과적으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개인적 인상"에 기초하여 급조되고 있었다. 원래 ``무지개초``와 ``은하수초``의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은 다문화 아동들에게 ``한국문화 체험``과 ``학업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그 주된 실시 배경이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한국문화 체험``을 위해 활용하고 동원될 수 있는 자원은 많지 않았으며 결과적으로 ``한국문화 체험`` 활동은 일반적 수준의 체험활동으로 대체되고 있었다. ``학업 지원`` 역시 수학에만 편중되고 있었으며, 한국말에 대한 지원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 아동들만을 대상으로 지극히 제한된 시간에 한정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학교교육과 교육과정에서의 주변화와 지엽화를 피하기 어려웠다.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에 대한 다문화 아동들의 참여는, 다문화 프로그램의 취지에 대한 동의 여부와 실제 참여 정도에 따라 크게 4가지, 1) ``적극적 거부형``, 2) ``소극적 거부형``, 3) ``소극적 참여형``, 4) ``적극적 참여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참여한 아동들 중일부는 행동방식과 정체성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ractices and the acceptance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 fieldwork was carried out in two elementary schools around Seoul, where they had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called ``Damunhwa Hana-doieo Program`` in the year 2008. The aims of the ``Damunhwa Hana-doieo Program``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o have multicultural children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to offer supplementary classes to multicultural children who couldn`t catch up classes. Realistically, these aims could not be achieved because of various difficulties which the school were faced with, But the real problem lied in that the teacher who were in charge of the program hardly had any proper understanding or deep insight into a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program, Particularly, it was not easy for the teachers to find traditional Korean culture teaching materials for the program, so they had included other kinds of activities which were irrelevant to traditional Korean culture. As a result, experiencing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activities were replaced by ``general`` activities which were few of something Korean. Moreover, despite one of the main causes of the underachievement of some multicultural children was deficiency in Korean, the only academic remedial program provided was Mathematics, not Korean. And what made the matter worse was that, since the ``Damunhwa Hana-doieo Program`` was only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was extra-curriculum, it would be remained and considered as secondary, supplementary program, Finally, The responses and participa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positive rejection``, ``negative rejection``, ``negative engagement``, ``positive engagement``.

      • KCI등재

        특성화고 출신 전문대생의 고교교육 경험에 대한 이해

        전은희 ( Jeon Eun-hee ),김명진 ( Kim Myung-ji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에서는 질적접근에 기초하여 특성화고 출신 전문대생들의 고교교육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특성화고를 선택하는 배경에는 낮은 성적과 인문계고에 대한 기피, 취업의지, 유리한 내신, 교육과정의 매력, 특성화고의 학교홍보와 근거리 등 다양한 이유들이 있었다. 특성화고에서 학생들은 비경쟁적 분위기와 풍부한 재정적 투자 속에서 전공공부를 즐기며 여유로운 학교생활을 하는 가운데, 의미있는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공에 대한 실망과 방만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학업에 대한 회의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차별과 성추행 등 부조리한 학내문화로 힘들어하고 있었다. 또 취업압박이 심한 교내분위기에서 인격적 모욕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취업전망의 부재와 좌절 속에서 대학진학을 결심하고 있었다. 대학진학 준비는 학교로부터의 도움 없이, 개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특성화고는 이들에게 입시공부의 비용 없이 대학진학에 이른, 자신을 발견하고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던 긍정적 경험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그러나 인문계고생과 비교한 보편경험과 기초적 지식의 부재, 특성화고 교육과정과 공부에 대한 아쉬움, 특성화고생에 대한 사회적 편견 등의 부정적 의미화도 동시에 발견되었다. 이상을 기초로 특성화고 교육현실에 대하여, 첫째, 취업의 책임을 특성화고에 전가하는 작금의 특성화고 정책에 대한 개선, 둘째, 특성화고의 정체성 및 고교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 셋째, 특성화고의 부조리한 관습 및 비도덕적 학내문화에 대한 문제제기의 세 가지로 논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함의를 다섯 가지로 정리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gh school educational experienc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e students to choose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uch as low grades and disillusion on academic high school, willingness to work, favorable academic records, attractiveness to the curriculum, school promotion and attracting students, and proximity of location. In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experiencing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relaxed and pleasant school life, and meaningful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hips in a non-competitive atmosphere among their classmates. However, they have been experiencing skepticism about their studies due to the disappointment of their major and disgruntled curriculum, and have been struggling with narrow human relationships and unreasonable school culture. In addition, they feel insulted in the atmosphere that forces them to work and go to college in spite of the reality that employment prospects are lacking. However, they did not get much help from the school while preparing for college, and they were getting ready to go to school through friends, acquaintances, and the Internet. Finally, they understand that it was a meaningful experience in which they discovered themselves and recognized reality.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challenges and pioneering through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experience the growth that could not have been achieved with stereotyped high school lif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felt sorry about social prejudices caused by the minority position of the graduate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have a universal experience such as entrance examination in the general high school. Based on the above,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장소로서의 도시와 공간의 장소감 표현 연구

        전은희(Jeon, Eun-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2 No.12

        본 논문은 도시에 형성된 주거 장소의 일상적 풍경에서 느낄 수 있는 장소의 감정에 대한 회화 표현 연구이다. 삶의 풍경을 담은 장소들을 먼저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미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거쳐 작품으로 구현함에 있어, 공적 장소가 아닌 도시에 형성된 타자들의 사적 장소를 대상으로 장소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는 현실에서 사회와 사람과 자연이 통합된 이상적인 삶을 지향하는 연구자 본인의 성정에서 기인된 것이라 하겠다. 타자에 대한 관심과 이해에서 비롯된 연구자의 장소에 대한 관심은 장소 상실로 인한 사회적 균형의 파괴와 타자에 대한 관심의 부재가 팽배해지고 있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주거 장소가 가진 장소감이라는 특수한 감정을 회화로 표현함으로써 평범한 장소에서 만들어지는 삶의 의미와 존재 가치를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또한 현재 도시에서 소외된 장소가 발생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인 재개발로 인해 장소의 불가항력적인 상실이 빈번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연구자는 주변부로 밀려나 소외되고 낙후된 장소에서 느껴지는 장소감을 회화로 표현하고 이를 장소의 흔적과 사물들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사물이 부여하는 존재성을 마지막장에서 장소의 흔적과 장소의 사물들을 관찰하고 표현한 작품을 통해 장소에 녹아있는 장소감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사소한 사건들로 흔적이 남은 장소에 대한 감정과 장소에 존재하는 일상적 사물들은 특별한 미의식이 부여된 사물이 아님에도 우리에게 삶의 근원적인 건전함을 재확인시켜준다. 이처럼 장소와 사물에 주목하고 미적대상으로 표현하게 된 것은, 하찮게 여겨져 버려진 사물들을 통해 그 사물들이 만들어내는 장소감이 장소의 감정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사람들의 삶이 있는 장소에 가치와 존재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장소의 감정을 바탕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거장소를 도시의 사회학적인 고찰을 통해 살펴보고, 주목받지 못하는 소외된 장소를 미적으로 재현함으로서 얻어지는 장소감을 표현하고자 함에 있다. This paper is going to be discussing about the living place’s usual scene’s daily feeling. I mainly express people’s personal place’s feeling of the place by visually recognizing places those contain the scenery of life and then recognize those in aesthetic subject. This originates from the writer’s nature which has an intention of combination of people, society, and nature. Writer’s interest originates from people’s concern and understanding with current society"s problem which is society’s destruction and losing interest from other people. So from this research, writer is going to show value of existence and meaning of life created from normal places by special feeling of living place’s sense of place. Also isolated place are created from redevelopment within cities creates uncontrollable lose of places. Writer is going to show place of feeling from old and isolated places through trace of a place and an object. Existence given from object will be discussed in the last chapter by pieces containing feeling of place observing trace and objects in places. Although normal objects without trace from events are not objects with aesthetic sense, theory reconfirm the life’s root healthiness. Place and objects are focused and expressed as an aesthetic objects adds more feeling to the place by useless objects those are thrown away, and show existence and value to the places with life. Object for this research is to see common place’s society’s contemplation and reproduce places those are not focused by feeling of the place.

      • KCI등재

        현행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의 질적 이해: 특목고와 일반고를 중심으로

        전은희 ( Jeon Eun-h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1

        이 연구에서는 질적접근에 기초하여 현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특목고와 일반고 등 6명의 학부모들을 면담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목고 등 학부모들은 소질과 적성의 계발, 내실있는 교육과정, 즐겁고 보람찬 학교생활 등 수월성교육과 경쟁에 기초한 능력주의적 성취라는 점에서 특목고 등을 지지하였다. 또 특목고 등의 동질적 학교문화가 학업적 효율성과 학생간 결속력을 높인다고 보았다. 그러나 일반고 슬럼화 등 현행 고교체제와 관련된 논란은 구조의 문제를 학교로 환원시킨 것으로 보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학교선택을 생존과 적응을 위한 불가피한 결과로 이해하였다. 반면 일반고 학부모들은 현 고교체제로 인해 일반고 슬럼화가 야기되며, 일반고내에 패배자 정서가 만연되게 된다고 반박하였다. 또 학교간 계층적 학생분리로 인해 특목고 등 학생들의 선민의식이 강화되고 공동체 감수성이 저하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학군이 좋은 지역의 일반고 학부모들은 일반고 슬럼화가 지역적 변수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서 학군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하였다. 일반고 학부모들 또한 도구주의와 공리주의의 관점에서 특목고 등의 의의를 인정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자녀를 위해서 최적의 일반고를 선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 열의와 관심에서는 교육특구와 비교육 특구 사이에 편차가 발견되고 있었다. 더해서 학부모들은 변화된 사회적 상황과 고교체제 하에서 일반고의 변화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상을 기초로 함의와 시사점을 현실적, 문화적, 실천적 차원에서 논하였다. 현실적 차원에서는 첫째, 학부모들은 현 고교체제가 가정하는 시장주의를 지지 및 수용하고 있었다. 둘째, 현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제한적이었으며 고교선택은 실리적이었다. 셋째, 지역과 계층 등에 따라 학부모들의 학교교육 인식이 차별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문화적 차원에서는 첫째, 학교간 계층적 분리와 문화적 갈등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이 자녀 소속 학교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특목고 등 학부모들의 학교선택에 대한 실존적 동기를 통해 학부모 교육열을 새로이 이해할 수 있었다. 끝으로 실천적 차원에서는, 시장주의적 고교체제에 대한 정책적 재고와 관련연구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e study examined parents'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high school system based on qualitative approaches. Parents of children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highly appreciated the type of education offered in the light of educational excellence evident in the talent and aptitude of students, a rich and substantial curriculum, and a pleasant and rewarding school life. They also saw that a homogeneous school culture of special-purpose schools promoted academic efficiency and cohesion among students. In addition, they supported competition based on a meritocratic school system, and considered the controversy of “slumism in general high school” as a result of reductionism that ascribed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to the school system. Parents of children in general high schools, on the other hand, pointed out that “slums in the general high school" phenomenon was caused by student selection of the current high school system. They insisted that special-purpose high schools hoarded excellent students, which not only made it difficult for general high schools to create an atmosphere for studying, but also left the absolute majority of students feeling disadvantaged. Furthermore, due to the hierarchical separation of students between schools, parents worried about the deterioration of community spirit and occurrence of distorted elitism among student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pointed out the fact that this situation of general high schools did not apply to all general high schools and there were some schools belonging to good school districts where it was difficult to find instances of "slumism." Parents of children in general high schools, like parents of children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not only accepted the present high school system with a fait accompli in light of consumer choice, instrumentalism and utilitarianism, but also tried to choose the best general high school for their children. They also stressed adaptation and self-help measures for children in general high schools under the changed social context and high school syste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high school system and parental recognition of schoo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구직활동과 취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전은희(Jeon Eun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에서는, 서울에 거주하는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구직활동과 과정, 직장생활의 어려움과 성취, 향후의 직업적 전망과 실천에 대해 내러티브적 접근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은 배우자와 가족의 정서적, 경제적 지원 하에 구직활동과 취업에 나서고 있었으며, 이들에게 경제적 이해는 구직의 여러 동기 중 하나일 뿐이었다. 또 이들은 사회참여와 직장생활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았으며, 또 우울증과 고립감으로부터의 탈피, 한국어 습득과 한국사회 이해 등을 위해 취업을 원하고 있었다. 이들은 인터넷과 지인, 사회적 관계 및 대학의 언어교육원 등을 통해 취업소개와 일자리 관련 프로그램을 접하고 있었으며, 특히 대졸 결혼이주여성들에게만 한정된 공공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직장생활에서 해당 여성들은 전문용어나, 공문서 작성 등 한국어와 관련한 곤란을 겪고 있었으며 업무의 단조로움과 발전적 전망의 부재로 힘들어하고 있었다. 더해서 한국적 인간관계와 위계적 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동료들 사이에서 관계적, 업무적으로 소외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한국사람들의 문화적 편견과 차별에 노출되고 있었으며,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 과도한 업무 부담, 고용의 불안정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한국사회를 이해해 가고 있었으며, 직무와 관련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 가고 있었다. 또 한국인들의 문화적 편견에 저항하고 있었으며, 일을 통한 사회적 주체로서 자기확인과 성취에 이르고 있었다. 아울러 귀국과 모국 취업의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하였으며, 학력갱신, 각종 자격증 확보 및 다양한 사회활동을 통해 직업적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과 직장 경험에 대한 연구와 여러 모로 상이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고학력결혼이주여성의 취업 촉진과 직장 적응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narrative study aims to analyse the processes and backgrounds of job-seeking activities, difficulties of job experiences and self-improvement practices for professional career for well-educated marriage-immigrant women who live around Seoul. The well-educated marriage-immigrant women who supported by their husbands emotionally and physically started job-seeking activities of their own free will, searched for job-informations through internet, personal connec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etc. They wanted not only to realize themselves socially and break out of depression and sense of isolation, but also to learn Korean and Korean society thorough life at work. Financial interests by jobs, though always important, was a secondary matter for them and some of them investing their own money challenged to get other certificates available in Korean job market. While they had hardly no problems in communicating teammates in Korean. they still lacked professional or technical vocabularies and had difficulties in sophisticated language lives. Furthermore, they suffered from long hours and low wages as temporary employees, monotonous tasks in their work and absences of developmental blueprint in their career. They were also hard put to it to mak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who adhere to their cultural way of life and sometime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marriage-immigrant women and exclude them socially or transactionally. At the same time, they became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learned professional knowledges and skills related to their tasks and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independent social subjects. Most of them kept their nationality and wanted to find another occupational possibilities sometime in the future in their home country. In addition, they tried to enhance their cultural capitals by getting a master's degree or some licenses and to join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to find a new vocational opportunities. Abov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in many points, hence may have variou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promotion and job adjustment of the well-educated marriage-immigrant women.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아동들에 대한 인류학적 현지연구를 한다는 것: 연구과정의 어려움과 한계, 시사점을 중심으로

        전은희 ( Eun Hee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아동들에 대한 초등학교에서의 인류학적 현지연구 경험에 기초하여 현지에서 연구자가 어떠한 어려움에 부딪혔으며 이에 어떻게 대처해 나갔는지, 또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아동들에 대한 현지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사점들은 무엇인지 고민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박사과정생 신분의 개인 연구자로서 학교에 진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에 비추어 볼 때 초등학교를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가급적 연구문제를 포괄적으로 제시하면서 중간관리자급 교사들과 접촉, 점진적 접근의 방법을 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다음으로,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아동들에 대한 현지연구를 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다문화 아동들과 교사들이 처한 여러 가지 상황, 즉 다문화 아동들의 사생활에 대한 안전, 민원 제기에 대한 교사들의 염려, 연구 자체의 좌절 가능성 등을 고려하고 대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자는 원활한 연구 활동을 위해 현지가 요구하는 다양한 역할들을 창출하고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기대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연구 협조의 거절 역시 대등한 관계의 일부로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explore what difficulties I experienced, how I dealt with them, and finally what lessons may be learned from those experiences based on the field-work in two elementary schools on multicultural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it was not easy for me, as an individual fielder-worker who had not any institutional background but a candidate for PhD, to enter into the school and obtain the teachers` consent on the field-work. Fortunately, I was able to encounter two devoted, passionate co-workers who helped me to enter the school and get the approval of the other teachers. From this, it would be better for the field-worker who would like to do research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to present one`s problematique as a comprehensive, ambiguous one, contact a middle-manager teacher and to take ``a progressive entree strategy.`` Next, doing field-work on multicultur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urned out to be kind of risky, dangerous and limited. Any field-worker who want to do field-work on multicultur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must consider such conditions as the privacy of multicultural children, the anxiety of teachers for "civil complaints" from parents, and, most of all, the possibility of revocation on the research itself, so that one need to be prepared in handling them. Furthermore, for going on well in the field, the field-worker must find and invent various roles which would be required for him in the field. Finally, the field-worker should not only satisfy co-workers` expectations, but also accept their rejections as a part of the partnership.

      • KCI등재

        다문화 교육과 차이

        전은희 ( Eun Hee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2

        이 글에서는 현재의 학교교육에서 차이는 어떻게 오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 교육은 어떤 식으로 왜곡되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다문화 교육에서 가정되어야 할 차이가 무엇인지를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의 ‘차이의 윤리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재의 학교교육은 유사 다문화주의에 기초하고 있는 바, 유사 다문화주의는 겉으로는 다문화적 외양을 취하나 실질적으로는 동화주의를 의도한다. 이 경우 차이는 ‘한국적인 것’의 반대항이나 ‘다문화’라는 범주로 축소, 환원되게 된다. 전자를 ‘동일자적 차이’, 후자를 ‘범주적 차이’로 명명할 수 있는데, 학교교육이 ‘동일자적 차이’와 ‘범주적 차이’ 하에 있을 때 다문화 아이들에게 학교교육은 하나의 ‘억압’ 혹은 ‘소외’가 될 수 있다. 다문화 교육이 교육다운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차이가 ‘동일자적 차이’로 무화되어서도 ‘범주적 차이’로 축소되어서도 안 된다. 다문화 교육에서 지향되어야 할 차이는 ‘차이로서의 차이’라 할 수 있으며, 다문화 교육에서는 차이가 차이 그 자체로서 존중되어야 할 것이다. 레비나스의 차이의 윤리학은 ‘차이로서의 차이’에 대한 시사가 되는 바, 그에 따르면 주체는 타자에 대한 책임이라는 윤리적 실천 속에서 주체로서 태어나며 타자와의 관계 맺기에 이를 수 있다. 다문화 교육을 통해 주체가 타자를 차이로서 만나고 그와 윤리적 관계를 맺을 때, 차이는 차이로서 존중되고 실현된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explore w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like, especially by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is driven by powerful social, institutional trends, such as pseudo-multiculturalism, under which the nature of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may be distorted improperly.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pseudo-multiculturalism may reduce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 to ‘the antithesis of the same’ known as ‘the difference of oneness’. Hence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 a kind of ‘a compulsory task’ for the multicultural children in the end. Moreover, the education may set limits to ‘the category of multiple culture’ known as ‘the difference of category’. Consequently, multicultural education may end up with ‘experience of alien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On the basis of the problematique explained above,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true meaning of the differ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making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 clear was needed to understand what multicultural education was, the terminology ‘ethics of difference’ by Levinas was applied. And the ethical subject were suggested, which embodies a relationship related to the difference and makes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as an ‘educational subject’.

      • KCI등재
      • KCI등재

        고졸취업자들의 평생학습 동기에 대한 탐색 : 상고 출신 대학진학 여성들을 중심으로

        전은희(Jeon Eun Hee),김명진(Kim Myung 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질적접근에 기초하여 상업계 고교 출신 여성 고졸취업자의 평생학습 동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의 평생학습 동기는 크게 네 가지, 현실적, 자기실현적, 업무적, 학습적 동기로 나타났는데, 현실적 동기의 경우, 여성 고졸취업자들은 승진이나 임금, 업무 분담, 연령 성별 등 직장내 차별을 겪고 있었으며 그로 인한 불만에서 새로운 학습이나 진로를 모색하고 있었다. 자기실현적 동기의 경우, 이들은 경력이 쌓이면서 발생하는 업무숙달과 매너리즘으로 인해 직장생활에서 즐거움과 보람을 찾지 못 하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장기적인 진로 고민과 자기계발, 자기실현적 차원에서 대학 진학이나 자격증 취득, 어학이나 해외 연수, 전직이나 이직 등을 모색하고 있었다. 업무적 동기의 경우, 고졸취업자들은 직장내 요청과 업무상 필요에서 평생학습을 계속해 가고 있었다. 즉 회사내 각종 연수나 동아리 활동 등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역량과 능력을 계발하고 있었으며, 아울러 업계 내 사회적 관계 확대와 직업적 평판의 향상을 위해 대학원 등에 진학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이들은 학습적 동기 또한 매우 높았다. 배움에 대한 항상적 열망으로 충만한 가운데, 인문교양, 문화예술, 육아와 교육 등 다양한 관심사를 배경으로 지속적으로 평생학습을 이어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여성 고졸취업자의 평생학습 동기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고졸취업자 평생학습 진작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y women who graduated from commercial high school and entered college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using the qualitative approach. I find the following patterns. First, workplace discrimination in terms of promotion, earning and job assignment, due to age and gender, motivated them to continuing education or searching for a new career. Second, they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self-fulfilling. As the job tenure increased, they got accustomed to their jobs and fell into mannerism. In the effort of searching for a more meaningful life, they attempted various things such as finding a new career, pursuing self-development, going to college, acquiring certification, and attending language school. Third, there was also work-related motivati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graduates was required in workplace. They participated in various training program and small group activities to improve their job skills. In addition, life-long education was also helpful to expand social network and improve reputation. Personal motivation was also important; learning humanities, art, culture, and childrearing. Base on the observation, I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life-long education for the female workers with commercial high school diploma.

      • KCI등재

        학생자치법정의 실제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서울 K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희 ( Eun Hee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4 교육인류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에서는 서울 K고등학교의 자치법정 사례를 중심으로 학생자치법정의 쟁점과 의의 및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치법정의 운영과 관련한 쟁점을 살펴보면, 학생들은 벌점 부여의 공정성과 형평성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었다. 또 자치법정 운영진 학생들의 역할훈련 부족과 미숙한 진행, 아울러 과벌점 학생들의 수동적 태도와 참여가 발견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자치법정은 상당 부분 형식적 요식적 절차에 머물고 있었다. 아울러 학교의 행사나 일정, 학생들 간의 시간 조정, 자치법정 관련 활동과 업무의 과다 등으로 자치법정은 지속적,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다음으로 자치법정으로 인해 야기되는 학교사회 안팎의 쟁점을 살펴보면, 무엇보다 자치법정 운영진 학생과 과벌점 학생들은 위화감과 갈등, 적대를 경험하고 있었다. 또 자치법정 운영진 학생과 교사는 자치법정과 관련한 업무상의 마찰을 겪고 있었으며 학부모들은 자치법정의 존재와 활동에 대해 의구심을 표하고 있었다. 또 자치법정에 참여했던 과벌점 학생들은 학교와 교사에 대한 환멸을 표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K고의 자치법정은 몇 가지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인데, 엘리트 학생자치의 연습이 된다는 점, 학생 상호간의 이해와 소통을 촉진 시킨다는 점, 과벌점자 학생의 자기관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그러했다. 그러나 자치법정은, 학생들의 자발과 자치가 제한적이라는 점, 자치법정이 학교와 교사의 권위를 대리하고 있다는 점, 또 과벌점 학생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의문시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끝으로 현행 자치법정을 최대한 선용하기 위해서는, 자치법정을 학교교육과정 내로 포함시켜 운영할 것, 자치법정 운영진 참여 학생을 확대하고 자치법정 소양교육을 확충할 것, 아울러 긍정적 지도를 다원화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explore the issue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ent court system in K High School. Fieldwork was carried out in K High School around Seoul for 5 months, where a student court had started in 201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operational issues found in the student court system. Students, most of them, insisted that penalty points imposed on them by the teachers were not done fairly and equally. In addition, the student court was not opened successively and effectively due to many reasons such as difficulties of scheduling among students, excessive workloads of student court members and various pre-existing school programs, official events and activities, etc. Furthermore, while student court members lacked skills and understanding as judicial officers, the accused students also passively participated when playing their roles in the court from start to finish. Consequently, the trial resulted in being superficial and depthless in many respects. Next, there were some relational issues found between the student court system members and other members of the school. While student court members came into conflicts with the accused students when they met each other in the court, they also caused troubles with teachers who were carrying on their business related to the student court. In addition, some parents of the accused students raised doubts about the role and function of a student court system, and the accused students felt abhorrence and hostility against the system and its members. The student court system, however, has some advantages in that it gave its members a chance for training as student elites, promoted some interac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among students, and led the accused students to voluntarily manage themselves. At the same time, it has some disadvantages in that it effectively represented the authority of the school and teacher, practically restricting students` spontaneity and autonomy, which betrayed its original purpose, and hardly showed any educational influence on accused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