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특성분노 수준에 따른 특성분노 영향요인

        전원희,홍성실,Jun, Won Hee,Hong, Sungsil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1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rait anger level i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15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universities in the P and D cities.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low trait anger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anger-out, anger-in and depression compared to the high trait anger group. The anger-control and positive thinking were higher in the low trait anger group than that of high trait anger group. The result of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both depression and anger-out were predictors in trait anger in the both groups. In the low trait anger group, anger-control, anger-in, depression, and anger-out were significant factors of trait anger, which accounted for 31% of the total variance. High trait anger level was affected by depression, anger-out and positive thinking, which explained 40% of trait ang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ger management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should consider trait anger level as well as approaches with customized strategies according to trait anger level.

      • 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통증지식 및 중재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

        전원희(Jun Won Hee),구윤정(Koo Yoon Jung),이은주(Lee Eun Ju)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8 계명간호과학 Vol.1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nurses"s pain knowledge and intervention compliance. Method: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December, 2006 to January, 2007. The subjects were consist of 31 in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control group.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class of pain management for 40 minutes. The knowledge scale was the revised one by Kwon(2003) using Watt-Watson(1992)"s scale and McCaffery & Ferrell(1997),s scale. The compliance scale was the revised one by Kwon(2003) using McCaffery & Pasero(1999)"s scale.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pain knowledge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Seco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liance of medication intervention between two group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s compliance of intervention without medication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Forth,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knowledge of pain with compliance of interven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분노 경험

        전원희(Won-Hee Jun),최은정(Eun-Joung Choi),조은주(Eun-Ju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분노 경험을 탐색하여 그 의미와 구조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분노를 경험한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5개의 핵심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5개의 핵심 구성요소로는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 참을 수 없는 감정의 표출, 심신이 지침, 극복을 위한 노력, 극복 후 성장하게 됨이었다.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란 분노를 느끼게 되는 상황을 말하며, ‘참을 수 없는 감정의 표출’이란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을 나타냈으며, 분노의 영향으로 인해 ‘심신이 지치게 됨’이 나타났고, ‘극복을 위한 노력’과 ‘극복 후 성장하게 됨’은 분노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통해 성장하게 되고 학교생활에 적응되어 가는 것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분노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법과 대학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nger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clarify their meaning and structure. For this purpose, 7 students who experienced anger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the data was analys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As a result, 19 sub-components and 5 core components were derived. The five core components were the difficult situation to accept, the expression of unbearable emotions, tiredness of mind and body, efforts to overcome, and growth after overcoming. `The difficult situation to accept` referred to a situation in which anger was felt, and `expression of unbearable emotion` referred to an expression of anger. The effect of anger showed the result of `exhausted of mind and body`. `Efforts to overcome` and `growth after overcoming`has been to grow through efforts to resolve anger and have been adapted to school lif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to help college students overcome their anger, and a concrete plan for university.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감사성향,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전원희 ( Won Hee Jun ),이은선 ( Eun Seon Lee ),이기령 ( Kee Lyong Lee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5 정신간호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gratitude,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11 clinical nurses, working in U city.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four months, April to June, 2012.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for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bove average. The mean score for depression presented a probable depression level. Psychological well-being in clinical nurs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ratitude (r=.55, p<.001) and depression (r=-.62, p<.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clinical nurses were depression (β=-.47, p<.001) and gratitude (β=.34, p<.001), which explained 48.0% of the varia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pression reduction and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s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linical nurses.

      • KCI등재

        대학생의 특성분노, 분노표현, 긍정적 사고 및 감사성향

        전원희 ( Won Hee Ju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6 정신간호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positive thinking, and gratitude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70 college students recruited from two universities in P and D c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it anger and anger-in according to religion and college majors. Moreover, anger-control differed according to college major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positive thinking, and gratitude. Positive thinking was a significant factor of trait anger explaining 17.0% of the variances. Positive thinking and gratitude were significant factors of anger-control explaining 12.0% of the varianc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strategies to decrease trait anger and promote anger-control by enhancing positive thinking and gratitude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전원희(Won-Hee Jun),조명주(Myoung-Ju Jo),나현주(Hyunjoo Na)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와 C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66명이었다.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은 중간 이상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은 일반적 특성 중 지원동기와 지각된 신체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은 분노표현방식과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노표출, 사회적 지지, 지각된 신체건강상태, 분노조절, 분노억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27.1%이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분노표현과 사회적 지지 및 신체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expression, social suppor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A convenience sample of 266 students in two college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 mean score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above average. The mean score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tudents’ reasons for applying to colleg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djustment to college lif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ger expression and social support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social support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explained 27.1% of the variance in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intended to promote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should focus on improving anger management, social support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 KCI등재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무례함 경험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전원희(Jun, Wo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무례함 경험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P와 D 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학과 재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125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감사성향, 무례함 경험과 간호전문직관을 측정하는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사성향과 무례함 경험의 하위요인 중 거절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설명력은 총 29.2%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확고한 간호전문직관 형성을 위해서는 이들의 감사성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임상실습기관과 대학의 교육적, 정책적 노력을 통해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현장에서 간호사의 거절로 인한 무례함을 경험하지 않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rateful disposition, experience of incivility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25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in B and D metropolitan cit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grateful disposition, experience of incivil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 25.0 program.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included gratitude disposition and refusal among subscales of experience of incivility.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9.2% of nursing professionalism.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ogram to promote their grateful disposition in order to form a solid nursing professionalism for nursing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to support nursing students, through the educational and policy efforts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so that they do not experience the incivility caused by nurses refusal at the clinical practice site.

      • KCI등재후보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

        전원희 ( Won Hee Jun ),박정순 ( Jeong Soon Park ),정안순 ( An Soon Jeo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신체질환은 병을 알리고 다양한 경험과 정보를 얻으면서 대처하는 데 비해 정신질환은 병을 숨기는 경향이 많아 적절한 정보나 도움을 받을 수 없고 더 나아가 사회와의 단절 및 사회복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신질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은 교육을 통해 올바른 지식,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실적이고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 전문기관이나 전문가의 활용이 절실히 요구된다(Chung, & Yoon, 2004).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증상관리 및 약물교육은 시대에 따라 내용이나 방법에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최근 강조되는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일대일의 개별화된 교육의 경우 집단교육에 비해 환자의 호응도나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으나 실제 임상현장에서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정신질환의 치료에서 치료적 요소가 될 수 있는 집단의 역동이 간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원 환경이 지역사회에서보다 집단형성이 용이하다는 점을 활용하여 질환별로 3-5명의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행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질환별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 질병인식 점수는 총점 20점에 실험군 13.25점, 대조군 11.88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총점 60점에 평균 53.84점인 Song (2002)의 연구결과와 총점 32점에 평균 24.30점인 Shin (2001)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사전 약물지식 점수는 총점 26점에 실험군 12.46점, 대조군 11.85점으로 두 군 모두 중간이 하의 수준을 보였다. 이는 Son (2004)의 연구에서 나타난 정신분열병 환자의 약물지식 정도보다는 낮았고, Shin (2001)의 연구와는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자의 수와 특성, 측정도구의 채점방식 등에 의해 야기된 차이로 여겨지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상자의 전반적인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 수준을 감안했을 때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질환별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후 실험군의 질병인식 점수는 실험군은 13.25점에서 18.67점으로, 대조군은 11.88점에서 14.00점으로 두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입원 자체가 갖는 치료적 의미와 입원과 관련되어 통상적으로 제공받는 치료에 따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군 간의 교육프로그램 전후 점수 차이 비교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점수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재가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교육 후 질병이해도의 유의한 증진을 보고한 Shin (2001)의 연구와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일대일의 개별화된 교육 후 질병인식 정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고한 Song (2002)의 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보였고 정신질환에 대한 교육은 병의 회복을 위한 일차적인 개입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 Son (2004)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질환별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후 약물지식은 실험군의 경우 12.46점에서 23.54점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 대조군은 11.85점에서 13.35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두 군 간의 교육프로그램 전후 점수 차이 비교에서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Shin (2001), Song (2002)과 Son (2004)의 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보였는데, Shin (2001)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대일의 개별화된 교육을 3회 실시하였고 Song (2002)은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개별화된 교육을 7회 실시하였으며 Son (2004)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총 19회의 집단교육을 실시한 후 약물지식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질환별 교육 프로그램이 일대일 개별 교육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규모의 질환별로 동질한 집단의 경우 교육회수를 줄여 실시하여도 유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아가 본 연구에서 실시한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들의 질병에 대한 이해와 약물지식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의 단기적 적용은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이들이 자신감을 얻고 치료의 주체가 되어 자신의 질병을 극복하는 데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에게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어 바람직한 자아상을 정착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입원 전 또는 입원 기간 중 약물복용은 다양한 부작용을 경험하게 하여 불편감과 약물에대한 확신을 어렵게 할 수 있는데 약물교육은 약물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통제가능한 부분으로 인식시켜 약물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나아가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Kang,2010), 교육은 입원기간 중 서로에게 유익을 줄 수 있는 만남을 증가시켜 환자와의 신뢰감 형성과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경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환자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바쁜 업무와 체계화된 교육 자료가 없어 개별적 교육이 어려운 임상 현장의 여건을 고려한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은 간호 실무에 적용가능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중재법으로 활용 가능하다.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은 어떤 의료인이나 가능하지만 간호사는 정신건강 팀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환자와 보내며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교육자가 될 수 있다. 특히 정신질환의 예방, 조기발견, 치료 및 재활이라는 돌봄의 연속선상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정신전문 간호사가 주도적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시행함에 따라 간호 정책적인 측면에서 정신전문 간호사의 제도적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지며 아울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을 통해 정신질환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전문적인 지식과 태도 및 기술을 갖추고 깊이 있는 정신전문 간호사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on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and non-synchronized control group design.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50 subjects was selected at a psychiatric unit of C university hospital in U-cit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4 subjects and they received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1 session per a week for 4 weeks. The remaining 26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y received standard services except the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In data analysis, SPSS/WIN 15.0 program was used.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could be effective to improve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