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의 신체구성 및 신체활동 참여 실태

        이미경(MiKyungLee),민지희(JiHeeMin),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는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과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고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활동 참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4년 6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서울 시내 소재 Y대학병원 암예방센터에 방문한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지 4년이 지난 암경험자 354명(위암: 169명, 대장암: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활동량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의 한글판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추가로 주당 걷기운동량과 근력운동 횟수를 설문하였다. 연구 결과 대장암 경험자가 위암 경험자보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혈압 및 당뇨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강도 신체활동 150분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 75분 이상 참여하는 위암 경험자는 41.4%, 대장암 경험자는 26.5%로 위암 경험자의 신체활동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주일에 2회 이상 근력운동에 참여한 환자는 전체 평균 13.6%로 나타났다.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 중 남자가 여자보다 신체활동참여율이 높았고, 65세 미만이 65세 이상 그룹보다 신체활동량이 높게 나타나고 좌식생활은 낮게 나타났다. 대장암과 위암 경험자들의 신체활동 참여율을 증진시키지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특히 여성과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율의 증진에 힘써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nd body composition and to investigate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cancer type, sex, and age among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survivors. A total of 354 participants who were colorectal (n=185) and gastric (n=169) cancer survivors had completed all treatment less than 4 years ago at Y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ne 2014 and April 2015. The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 was used to measure time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activity. The colorectal cancer surviv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percent body fat, blood pressure, and the prevalence of diabetes compared to gastric cancer survivor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26.5% of colorectal cancer survivors met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guidelines (at least of 150 min of moderate intensity of higher physical activity per week) for physical activity, compared with 41.4% of gastric cancer survivors. Additionally, only 13.6% of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survivors met strength exercise guidelines. The male cancer surviv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derat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resistance exercise, and sedentary behaviors compared to female cancer survivors. In additions, less than 65 years cancer survivors were higher in strenuous intensity exercise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compared to more than 65 years cancer survivors. The alternative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rates of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survivors should be presented.

      • KCI등재

        자연과학편 : 파킨슨병 환자의 그룹 운동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변지용(JiYongByeon),김지영(JiYoungKim),이주희(JuheeLee),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참여 경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그룹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 참여관찰, 관찰일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상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의미 있는 진술은 82개로 나타났으며, 주제화를 통하여 12개의 주제모음과 4개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파킨슨병 환자에게 그룹 운동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는 ‘운동에 대한 인식’, ‘운동 참여의 어려움’, ‘함께하는 운동프로그램’, ‘운동 참여 경험’으로 나타났다. 첫째, 파킨슨병 환자에게 운동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을 인지하고 운동의 효과를 기대하며, 치료적 의미로써의 운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파킨슨병 환자들은 운동 참여에 있어 제약에 대한 인식과 제약 협상에 대한 인식의 상황이 공존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혼자 하는 운동에 대하여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셋째, 그룹 운동프로그램은 함께하는 것만으로도 환자들의 소통의 장이 되어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통로로 작용하나 커뮤니티에 대한 의구심과 그 울타리 안으로 쉽게 들어가지 못하는 상반된 측면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전반적인 운동 참여 경험에 대한 측면에서는 적극적 운동 참여 태도를 보이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긍정적 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group exercis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he qualitative data on group exercis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six participants was acqui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field note,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82 meaningful statements were obtained from participants`` exercise participation experience, as being categorized into 12 themes and 4 categories: (1) exercise perception, (2)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an exercise program, (3) exercise-social aspect, and (4) exercise experience. Participan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xercise as a treatment option, which would substantially enhance their health condition. Additionally, there was co-existence of perception of both exercise constraints and exercise constraints negotiation due to perceived benefit of exercise. they also experience more difficulty when participating in exercise by oneself. Group exercise program c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however, they also distrust community of participants. Finally,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actively and as a result they experienced positive change in their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 KCI우수등재

        한국 노인의 복부비만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및 좌식시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황서현(Seo-hyeonHwang),유미성(Mi-seongYu),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4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건강한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서 노인들의 생활습관이 건강관련 삶의 질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규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에게서 신체활동 수준 및 좌식시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이며,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 노인 4,589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활동적인 여성 노인에게서 더 좋은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나타났으며, 이는 복부비만일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남성 노인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좌식시간이 긴 남녀 노인에게서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 노인은 복부비만 유무에 따라 좌식시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에 차이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신체활동 유형과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항목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노인들은 장소이동 관련 신체활동량이 증가할수록 건강관련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낮고, 좌식시간이 증가할수록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에게서 신체활동 수준, 좌식시간, 복부비만 유무가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있음을 보여주며, 좌식시간을 줄이는 것이 삶의 질 향상과 보다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ealthy Aging.’ In this tren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style factors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level, sedentary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Korean older adults. A total of 4,589 older adults at the Sixth and Seven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better HRQoL was observed among physically active older female, which was more evident among physically active female with central obesity while no such relationship was observed among older male. On the other hand, higher sedentary time was associated with lower HRQoL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Our analyses indicated that central obesity was closely related with HRQoL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s in female subjects. Further analyses investigating association between sub-dimension of HRQoL and sub-domain of physical activity showed that higher transport physical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better anxiety/depression score and higher sedentary time was associated with poorer score on mobility, usual activities among male and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y and anxiety/depression among female. Our finding suggests that physical activity level, sedentary behavior and central obesity associated with HRQoL.

      • KCI등재

        한국 남자 고등학생의 체력과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관계

        제갈윤석(YoonSukJekal),김은성(EunSungKim),박지혜(JiHyePark),전용관(JustinY.Jeon),임지애(JeeAee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3

        최근 보고 된 연구들에 의하면 청소년기 비만 뿐 아니라 체력의 저하가 만성질환 위험 요인들을 증가시킨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체력요인과 비만 유병률,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19명(BMI: 21.67±3.37, 연령: 16.96±0.23)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으며, 연구 참가자들의 체력수준과 인슐린저항성, 심혈관질환 위험요인들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본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의 체력수준이 높을수록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인슐린 저항성, 중성지방, 심혈관질환 위험지수, 그리고 경동맥 두께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만의 예방 뿐 아니라 체력증진이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인슐린 저항성과 심혈관질환 위험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obesity as well as lower level of physical fitness increase the risk factors of chronic diseases among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in Korean adolescents. Two hundred nineteen male high school students (BMI: 21.67±3.37, age: 16.96±0.23)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fty-meter sprint, standing long jump, sit-up, push-up, 1600m run, and sit and reach were assessed, and the risk factors of CVD including fasting glucose, insulin,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HDL) cholesterol, triglyceride (TG), C-reactive protein (CRP), and intima media thickness (IMT) were measured, and CVD risk score was calculated. Physical fit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fat mass, waist circumference,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Physical fitness was also negatively associated with TG, insulin, insulin resistance, CVD risk score, and IMT. Students who has lower level of physical fitnes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CVD risk score.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prevention of obesity but also promoting physical fitness are important for the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통합체육의 사각지대(死角地帶)II: 통합체육 수업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임성철(SungChulIm),이경준(KyoungJuneYi),이지성(JiSungLee),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장애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을 개선하고, 현장에 있는 동료교사들에게 장애학생을 성공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대학의 연구자들과 함께 통합체육 수업개선을 위한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장애학생이 체육수업 시간에 참여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것에 대한 문제해결 시도(1)에서는 기초체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시도(1)에 대한 재진단 이후, 문제해결 시도(2)에서는 학생의 장애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학생의 담임교사, 학부모, 보건교사 그리고 학생당사자와 면담을 하였고 특수체육 전문가와의 도움을 받아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추가운동프로그램,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윗몸일으키기와 배드민턴 종목의 수행평가 6가지 목표 중에서 5개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중학교에서의 통합체육 수업개선을 위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추가운동프로그램,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성공적인 수업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improv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IPE)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successful physical education(PE) participation, 2) to provide basic material and information for other PE teachers who hav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PE setting.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s, I performed an action research with university researchers for one semester. First, I realize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my class were not actively participating in PE classes. Therefore, I developed a program to improve their physical fitness. Second, I have assessed students' health status based on the interview with students, their parents, and school nurse and then have consulted with adapted PE expert. I have applied IEP, peer tutoring, additional exercise program and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s a result,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achieved 5 out of 6 goals in sit-ups and badminton. Therefore, I have observed the possibilities of the betterment in IPE classes with proper interventions such as IEP, additional program and disability-understanding education.

      • KCI등재

        남자 고등학생들의 2년간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과 비만도가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JiHyePark),김은성(EunSungKim),제갈윤석(YoonSukJekal),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1

        본 연구는 지난 2년간의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과 비만도가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 소재 D 고등학교 남학생 437명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 청소년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 설문지를 사용하여 2년간의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을 측정하였고, 신체계측 및 혈액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에 따른 상위, 중위, 하위 세 그룹간(Tertile), 그리고 비만도에 따른 상위, 중위, 하위 세 그룹간의 인슐린 저항성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들의 수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과 비만도의 상호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만도 X 신체활동, 4그룹간의 인슐린 저항성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수치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비만도가 높은 고등학생들의 수축기 혈압,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인슐린, 심혈관질환 위험지수가 높았고, 고밀도 콜레스테롤과 인슐린 민감도는 낮았다. 둘째,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이 적은 고등학생들의 수축기 혈압, 중성지방,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 위험지수가 높았다. 셋째, 비만도와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의 상호작용 분석에서, 비만도가 낮은 고등학생들에게서는 신체활동 참여시간에 따른 요인들 평균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비만도가 높은 고등학생들 중에서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이 많은 학생들은 적은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인슐린 저항성과 심혈관질환 위험지수가 낮았다.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건강한 체중유지와 함께 적절한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 유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LTPA) participation & body mass index(BMI) and insulin resistance &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CVD) in Korean male adolescents. A total of 437 male adolescents(18.54±.52yrs.) were recruited, and past 2-year LTPA participation assessm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serum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at 1)adolescents with high BMI had higher level of systolic blood pressure(SBP), triglycerides(TG),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sulin, and CVD risk score, and lower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insulin sensitivity, 2) adolescents with low level of LTPA had higher SBP, TG, insulin, insulin resistance, and CDV risk score, 3)adolescents with high level of LTPA among those with high level of BMI had relatively lower level of insulin resistance and CVD risk score.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preventing obesity but also increasing level of LTPA play important role for the health promotion in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남자 고등학생들의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와 체지방률, 체력과의 관계

        제갈윤석(YoonSukJekal),김은성(EunSungKim),이미경(MiKyungLee),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남자 청소년들의 신체활동 참여 습관을 분석하고, 신체활동 참여와 체지방률, 체력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49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지난 1년간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고 체력검사와 신체계측을 실시하였다. 신체활동 참여시간에 따른 체지방률과 체력을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본 대상자들은 일주일에 158분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참여하였고, 전체 대상자의 51%가 신체활동 권장량(150 분/주) 이상을 수행하였다. 또한 80%가 단체운동, 48%가 개인운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농구(63%), 축구(51%), 걷기운동(43%) 순으로 참여도가 높았으며, 대상자의 47%가 1-2급의 체력검사 결과를 기록하였다. 신체활동 참여시간이 많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지방률이 낮고, 체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의 비만예방과 체력증진을 위해 신체활동 참여시간의 증가가 중요한 방법임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habitual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PA) and percent body fat and physical fitness (PF) among Korean male high school students. Four hundred ninety eight 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nd the level of past year PA and physical fitness were assessed,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administered.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administered to compare percent body fat and PF across level of PA. The median value of PA participation was 158 min/week, and 51% of participants remained in the recommended level of leisure time PA (150 min/week). Eighty percent of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eam sports, and 48% participated in individual sports. Most favorable three sports were basketball (63%), soccer (51%), and walking for exercise (43%), and 47% reached 1st or 2nd level of PF test. Significantly, participants who were low active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percent body fat and lower level of PF, and participate in lower number of PA than counterparts who were high active. The current investigation suggests that increasing PA participation plays role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obesity and increasing PF among Korean male high school student.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심폐체력, 근지구력 그리고 Body Mass Index 수준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 후기 청소년 남자들을 대상으로

        김동일(DongIlKim),강동우(DongWooKang),박지혜(JiHeyPark),김은성(EunSungKim),김윤명(YoonMyungKim),이정아(JungALee),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후기 청소년 남자들을 대상으로 근지구력 및 심폐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총 453명의 후기 청소년 남자들(나이: 18.64±.76)이 참여하였고, 대상자의 신체구성, 비만도, 체력요인(팔굽혀펴기, 1600 m 달리기) 그리고 대사증후군 위험요인(허리둘레, 공복 시 혈당,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낮은 체력 & 높은 body mass index (BMI)’그룹이 ‘높은 체력 & 낮은 BMI’그룹보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중 1개 이상의 발생 위험률이 4.13배 증가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근지구력과 심폐체력이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유의한(p<.01)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BMI를 통제할 경우, 심폐체력이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후기 청소년 남자들의 근지구력, 심폐체력 그리고 BMI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였고 체력 요인중 하나인 근지구력이 심폐체력보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fitness, BMI (body mass index) and metabolicsyndrome risk factors in late adolescent Korean males. A total of 453 subjects (18.64±.76 years) participated in thiscross-sectional study. Physical fitness level was determined by 1 mile-run test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push-ups(muscular endurance fitness). Metabolic syndrome risks were determined by the diagnostic criteria of the National Cholesterol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III (NCEP-APT III).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BMI, muscular endurance fitnesswas inversely correlated (r=-.204, p<.01)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ut not cardiorespiratory fitness. When subjects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BMI and physical fitness levels, subjects with high BMI and low fitness had 4.13times higher risks of having abnormal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than those with low BMI and high fitness. Physicalfitness and fatnes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increase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late adolescent Korean males,suggesting that the improvements in physical fitness and fatnes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or reducing theincreased risks of metabolic syndrome.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통합체육의 사각지대(死角地帶)I: 통합체육의 실현가능성

        이경준(KyoungJuneYi),임성철(SungChulIm),이지성(JiSungLee),김영준(YoungJunKim),안병욱(ByoungWookAhn),여인성(InSungYeo),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체육의 사각지대에서도 통합체육이 실현가능한지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통합체육 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의 1) 신체활동수준 2) 사회적 상호작용 3) 신체적 자기개념과 신체상 4)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A 중학교에서 한 학기동안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이 적용된 사례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실험학급(처치: 장애이해교육, 통합체육 수업프로그램)과 통제학급을 비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비디오 자료는 SOFIT과 AIP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 신체상, 비장애중학생의 통합체육 태도는 대응표본 t-검증과 AN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는 자료의 해석과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절차를 거쳐 확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중학교 사례를 통하여 통합체육 수업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적 자기개념 및 신체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통합체육 수업 실시 후에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통합체육의 사각지대에서도 통합체육이 실현가능함을 A 중학교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PE) in the blind spot of IPE via a case study. To accomplish this purpose, mixed methodology was us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A' public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Video observations(SOFIT and AIPE), pre-post test about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body image, and attitude toward IPE were performed. t-tests and ANOVA were used where appropriate.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 was used.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is case, IPE increased physical activity level, social interaction,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body image to not only student with disability but als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Furthermore, attitude toward IPE was changed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we have observed the feasibility of IPE in the blind spot of IPE.

      • KCI우수등재

        유방암 생존자의 라인댄스 참여효과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강민재(MinJaeKang),변지용(JiYongByeon),박지혜(JiHyePark),유미성(YuMi-seong),황서현(Seo-hyeonHwang),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6

        본 연구는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방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라인댄스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방법에 따라 9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참여 경험을 통한 효과에 대해 깊이 있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가 경험한 라인댄스 프로그램의 효과로 신체적 효과 (생리적 변화, 소화 기능 향상, 수면의 질 향상, 신체의 유연성증가, 인지 기능 향상), 심리적 효과 (재미와 즐거움, 활력, 평온, 자신감 향상, 자기만족), 사회적 효과 (가족 분위기 향상, 친밀도의 향상), 라인댄스 지속 효과(지속적 연습 및 스스로의 복습, 라인댄스 재미 발견, 참여의 지속 원함, 수업의 기대)로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라인댄스에 참여하면서 서로에게 필요한 정보 공유 및 습득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다른 유방암 환자들과 공감 하고 서로 위안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이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라인댄스 프로그램은 향후 유방암 생존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중 하나로 사료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breast cancer survivors’ line dance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their perceived effects.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In the current stud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analyses indicated that participants’s positiv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physical (physiological change, improved digestive system, sleep quality and cognitive function), psychological (pleasure, vigor, peace, sel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nd social (improved mood among family members, peer support and pleasure) benefit. Furthermore, participants enjoyed unique characteristics of line dance such as continuous music and nature of group exercise where they enjoy information sharing and peer support In summary, a line dance program was safe and beneficial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should be recommended as one of exercise option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