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야식 및 영양소 섭취 상태

        전예숙(Ye-Sook Jun),최미경(Mi-Kyeong Choi),배윤정(Yun-Jung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거주 유형별 야식 섭취 상태를 비교하여 적절한 야식 지도에 활용하고자 자가, 기숙사, 자취 대학생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야식 관련 식행동, 야식 메뉴별 섭취 빈도와 기호도, 영양소 섭취 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전체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8세,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167.7 cm, 59.4 kg, 20.9 kg/m2였으며, 성비는 남학생 43.7%, 여학생 56.3%였고 거주형태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야식 비율은 자가군 65.7%, 기숙사군 84.0%, 자취군 73.6%(P<0.001), 일주일에 2~3회 야식하는 비율은 자가군 23.8%, 기숙사군 29.7%, 자취군 32.1%(P<0.05)로 자취군의 야식 비율과 야식 빈도가 높았다. 야식하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배가 고파서’와 ‘사람들과 어울리기 위해서’라는 비율이 높았다. 야식하는 시각은 자가군의 경우 9~11시가 31.4%로 가장 높았으나 기숙사군은 11시와 새벽 1시 사이가 60.7%로 가장 높았고, 자취군은 9~11시, 11시~새벽 1시가 각각 34.2%를 보여 기숙사생이 가장 늦은 야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야식 비용은 자가군과 자취군의 경우 5,000~10,000원이라는 응답이 각각 21.0%와 35.4%, 기숙사군의 경우 3,000~5,000원이 35.1%로 가장 높았다(P<0.001). 야식 시 영양과 건강을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항상 생각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자가군 15.2%, 기숙사군 14.1%, 자취군 11.8% 순으로 높았다(P<0.01). 함께 야식하는 사람은 자가군이 친구(38.1%), 가족(27.6%) 순으로 높았으나 기숙사군과 자취군은 친구와 함께 하는 비율이 모두 71.1%로 매우 높았다(P<0.001). 야식 메뉴의 섭취 빈도에서 치킨(P<0.05), 빵(P<0.01), 과일(P<0.001), 분식(P<0.01), 주류(P<0.05)가 거주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주일에 2번 이상 자주 섭취한다는 비율이 자가군은 빵과 과일류, 기숙사군은 치킨과 분식, 자취군은 분식과 주류가 다른 거주형태의 학생들보다 높았다. 야식 메뉴의 기호도 평가에서 보쌈/족발은 자취군(P<0.05), 음료/차류는 자가군(P<0.05)이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에너지 섭취량은 기숙사군이 1,761.6 kcal로 자가군의 1,527.1 kcal와 자취군의 1,616.4 kcal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콜레스테롤의 섭취 밀도는 자취군이 세 군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기숙사생은 자가생이나 자취생보다 야식 비율과 빈도가 높았으며, 가장 늦은 야식, 적은 야식비용, 야식 메뉴로 치킨과 분식의 잦은 섭취를 보임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올바른 야식 지도가 더욱 요구됨과 함께 대학생들의 거주형태에 따라 야식 섭취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ight time eating habits,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i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A survey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o 664 students. Questionnaire interview and 24-h dietary recall were conduct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dormitory boarding (DB group, N=313), self-boarding (SB group, N=246), and living with parents (LWP group, N=105). Average ages in the DB, SB, and LWP groups were 21.3, 22.2, and 22.1 year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otal, 77.3% of students regularly ate night time snacks.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reported night time eating was 84.0% in the DB group, 73.6% in the SB group, and 65.7% in the LWP group (P<0.001). In terms of food types consumed during night time eating, the DB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consumption of fried chicken and flour-based foods than the SB and LWP groups, whereas the SB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consumption of alcohol beverages than the DB and LWP groups.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fat, vitamins, and mineral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B group than in the SB and LWP groups. In addition, intake of cholesterol per 1,000 kca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B group than in the SB and LWP groups. Thus, SB and DB students seemed to have more night time eating problems than LWP students. Accordingly, nutritional education is need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healthier eating habits, in particular, night time eating habits, among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and in self-boarding situa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시험 스트레스가 미각과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전예숙(Ye-Sook Jun),최미경(Mi-Kyeong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2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은 평소의 식품 섭취를 통해 축적된 영양상태와 적절한 영양관리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적합한 영양관리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험 전후 혈압, 미각 및 영양소 섭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23.39±1.20세, 164.56±7.99 ㎝, 60.66±13.23 ㎏, 22.28±4.56 ㎏/㎡이었다. 자기기입식에 의한 2가지 유형의 스트레스 검사결과, 첫 번째 유형 검사에서 시험 전 신체, 행동의 스트레스 점수와 스트레스 총 점수가 시험 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p<0.05, p<0.01) 두 번째 유형 검사에서는 시험 전 심리, 신체의 스트레스 점수 및 스트레스 총 점수 모두 시험 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p<0.05, p<0.01). 수축기, 이완기 혈압과 맥박수는 시험 전 118.97±11.87㎜Hg, 76.85±10.55 ㎜Hg, 85.70±7.04회/min이었으며, 시험 후에는 115.68±10.53 ㎜Hg, 75.97±8.67 ㎜Hg, 84.90±6.84회/min으로 시험 후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맛과 짠맛의 한계농도는 시험 전 각각 0.80±0.28%와 0.08±0.03%였으며, 시험 후에는 각각 0.70±0.23%, 0.08±0.04%였다. 단맛과 짠맛의 적정농도는 시험 전 5.33±3.55%와 0.25±0.22%였으며, 시험 후에는 각각 4.63±3.61%, 0.29±0.15%로 시험 스트레스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맛과 짠맛의 기호도 점수는 단맛과 짠맛의 농도 증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p<0.001, p<0.001) 스트레스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품 섭취량과 에너지 섭취량은 시험 전에 1315.60±553.82 g/day와 2136.31±1612.29 ㎉/day이었으며, 시험 후에는 1236.22±244.06 g/day와 1696.85±453.28 ㎉/day로 시험 후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 유형의 스트레스 점수는 이완기 혈압과(p<0.05), 짠맛의 한계농도는 단맛의 한계농도,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과(p<0.05, p<0.05)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일부 대학생에 있어 시험 스트레스 시 혈압, 미각, 영양소 섭취량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스트레스 점수는 이완기 혈압과, 미각은 일부 영양소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앞으로 다양한 종류와 높은 강도의 스트레스 상태에서 미각과 영양소 섭취의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effect of academic examination stress on taste perception and nutrient intakes in university students. Physical status, blood pressure, stress score using stress test of 2 types, recognition threshold and preference for taste, nutrient intakes using diet record method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in 20 subjects. Mean ag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23.39±1.20 years, 164.56±7.99 ㎝, 60.66±13.23 ㎏, 22.28±4.56 ㎏/㎡, respectively. Stress scores before examination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fter examin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pulse rate, recognition threshold and just right concentration for sweetness and saltness, and food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pre- and post-examina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sco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reshold concentration for salt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reshold concentration for sweetness and animal protein intake. These results show no effect of examination stress on taste perception and nutrient intakes in university students. This may be due to low level of stress. Therefore, it is needed to study about effect of more higher level of stress on taste perception and nutrient intakes.

      • SCOPUSKCI등재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이 흰쥐의 혈액과 간장의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예숙(Ye-Sook Jun),승정자(Chung-Ja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철분의 섭취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이 체내 지질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철분 35ppm, 70ppm, 140ppm 수준으로 하고 셀레늄을 0.05ppm과 0.5ppm으로 하여 6주간 사육한 후 이들 섭취수준에 따른 혈액과 간의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에 따른 사료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체중 증가량은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p<0.05, p<0.05) MFeHSe군이 제일 높았고 AFeHSe군이 가장 낮았다. 혈청 철분 함량은 철분의 섭취수준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셀레늄 함량은 고셀레늄섭취군이 적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청 총 콜레스케롤 수준을 철분 섭취수준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1) 고셀레늄 섭취군은 적정셀레늄 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철분과 셀레늄 섭취수준에 따른 가장 높았으며 HFeASe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에 따른 LDL-콜레스테롤과 VLDL-콜레스테롤 함량의 합은 철분 섭취수준이 높은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01), 모든 철분의 섭취수준에서 0.5ppm 셀레늄의 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간장의 철분 함량은 셀레늄 보충군이 적정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01), 셀레늄 함량은 철분 섭취수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철분의 섭취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간장 인지질 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0.5ppm 셀레늄 첨가로 간장 인지질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철분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p<0.05) 철분 섭취수준이 낮은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지방 함량은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에 의한 유의한 영향으로(p<0.01, p<0.01) 철분의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고셀레늄 섭취군이 적정셀레늄 섭취군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사의 연구를 종합할 때 철분의 섭취증가는 혈중 지질 함량을 증가시키고 셀레늄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장의 지질 함량 변화에 대해서는 앞으로 좀더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Fe and Se levels on lipid contents of serum and liver in growing rats fed adequate Fe(35ppm), medium-high Fe(7Oppm), high Fe(140ppm), adequate Se(0.05ppm), and high Se(0.5ppm) for 6 weeks. Serum levels of Fe and Se increased as the levels of dietary Fe and Se were increased, respectively(p<0.05, p<0.05).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 VLDL)-cholesterol increased as the level of dietary Fe was increased (p<0.001, p<0.001), and were lower in high-Se group than those in adequate-Se group(p<0.001, p<0.001). Liver Fe level in High-Se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adequate-Se group(p<0.01) and liver Se level decreased as the dietary Fe level was increased(p<0.05). Liver levels of phospholipid and total lipid in high-Se group were lower than that in adequate-Se group(p<0.05, p<0.01). Liver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lipid decreased as the level of dietary Fe was increased(p<0.05, p<0.01). From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serum lipid contents are increased in case of Fe overload and decreased with adding Se.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adequate Fe intake and Se addition are recommended for prevention of lipid increment in serum.

      • SCOPUSKCI등재

        철분 공급수준이 흰쥐의 다량무기질 이용에 미치는 영향

        전예숙(Ye-Sook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6

        철분의 섭취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다량무기질의 이용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적정수준, 적정수준의 2배와 4배의 철분을 12주간 공급한 후 혈액, 조직, 소변과 대변 중의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철분 섭취수준에 따른 사료섭취량, 체중증가량, 사료 효율 및 혈청과 간장의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수준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신장의 칼슘과 나트륨 함량은 철분의 섭취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p<0.01, p<0.001) 4배 철분 군의 신장 칼슘 함량은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나트륨 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 섭취수준에 따라 대변중 다량무기질 배설량을 살펴보았을 때, 마그네슘은 철분의 섭취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p<0.001) 철분 섭취수준이 증가할수록 대변중 배설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칼슘, 나트륨, 칼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철분 섭취수준에 따른 소변중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배설량은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p<0.01, p<0.05, p<0.05, p<0.01) 4배 철분군이 다른 군보다 높았다. 철분 섭취수준에 따라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의 1일 평형량을 살펴보았을 때, 칼슘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은 유의한 차이가 있어(p<0.05, p<0.05, p<0.01) 적정 섭취군의 1일 평형량이 2배나 4배 철분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iron intakes on utilization of macrominerals(Ca, Mg, Na, K) in rats fed adequate, 2-fold, 4-fold iron for 12 week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serum and liver levels of macrominerals across iron groups. Ca level in kidney of 4-fold ir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Excretions of Mg through feces and Ca, Mg, Na, and K through uri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ment of iron intake. In the case of macromineral balances, daily retentions of Mg, Na, and K in adequate ir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2-/4-fold iron group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 retention across iron group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interaction with macromineral in iron supplement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철 보충이 흰쥐의 무기질 이용에 미치는 영향

        전예숙(Ye-Sook Jun),최미경(Mi-Kyeong Choi),김애정(Ae-Jung Kim),김미현(Mi-Hyun Kim),승정자(Chung-Ja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철의 섭취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무기질의 이용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적정수준, 적정수준의 2배와 4배의 철을 6주간 공급한 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철, 구리, 아연의 혈청 수준 및 섭취량과 배설량에 의한 평형상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사료효율은 철 보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철 보충에 따른 혈청 철과 아연 함량은 각 군별 차이를 보여 철 함량은 2배 공급군이 유의하게 낮았고 아연 함량은 4배 공급군이 다른 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p<0.05). 철 보충에 따라 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p<0.01)을 제외하고 그 밖의 무기질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변 중 무기질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라 칼슘, 나트륨, 철, 구리, 아연이 각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p<0.01, p<0.001, p<0.05, p<0.01). 대변 중 무기질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무기질 보유량은 철 보충에 따라 나트륨과 철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p<0.01) 철 보충이 증가할수록 이들 무기질의 보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무기질 흡수율은 철 보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요구량의 2배와 4배의 철 보충에 따라 무기질의 겉보기 흡수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칼슘, 철, 구리, 아연의 소변중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장기적인 철 보충이 이루어진다면 이와 같은 무기질의 체내 보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영양상태가 저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무기질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기질 보충제를 이용하는 것보다 균형 잡힌 영양섭취나 일상식사를 통해 적정한 섭취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해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영양지도와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on supplementation on utilizations of various minerals, Ca, Mg, Na, K, Fe, Cu, Zn. Intakes, serum levels, and excretions of these mineral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rats fed diet with 100, 200, 400% of iron requirement (Fe, 2Fe, 4Fe groups) for 6 weeks. The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Serum Fe of 2F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two groups, and serum Zn of 4Fe group was highest. Mineral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With iron supplementation, urinary excretions of Ca, Fe, Cu, Zn were elevated, but fecal excretions of minera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 daily retentions of Na and Fe were significantly elevated, but apparent absorbabilities of minera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um- mary, according to iron supplementation, mineral absorbabilities were not different but urinary excretions of some minerals were increased.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adequate iron intake and well-balanced diet are more desirable than nutrient supplementation for mineral balance.

      • KCI등재

        대사증후군을 가진 성인남녀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최미경,전예숙,배윤정,승정자,Choi, Mi-Kyeong,Jun, Ye-Sook,Bae, Yun-Jung,Sung, Chung-J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NCEP-ATP Ⅲ와 WHO 아시아태평양 비만 기준에 의해 대사증후군 성인을 분류한 후 영양소섭취상태와 혈액성상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58.8세, 158.0 cm, 66.3 kg, $26.5\;kg/m^{2}$이었으며, 대조군은 각각 58.4세, 158.9 cm, 59.6 kg, $23.5\;kg/m^{2}$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체중과 체질량지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01). 총 식품섭취량은 대사증후군 대상자와 대조군이 각각 1063.8 g과 1183.4 g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식품군별 섭취량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버섯류 섭취는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p<0.05), 난류 섭취량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또한 여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채소류 섭취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1527.9 kcal, 대조군이 1578.9 kca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 밖의 영양소 섭취량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식이섬유 섭취량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혈청 H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혈당 및 혈압은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각각 39.9 mg/dL, 183.9 mg/dL, 126.6 mg/dL, 138.1/78.8 mmHg로 대조군의 45.8 mg/dL, 125.5 mg/dL, 93.6 mg/dL, 120.8/72.8 mmHg와 비교할 때 H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낮고 나머지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01, p<0.001, p< 0.001, p<0.001). 혈청 GPT, 동맥경화지수, 백혈구수는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각각 27.8 IU/L, 3.7, $5964.2\;{\mu}/L$로 대조군의 22.6 IU/L, 3.2, $5250.0\;{\mu}/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p<0.001,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대사증후군의 여성 대상자의 경우 섬유소 및 채소류의 섭취가 정상 성인보다 낮게 나타나, 이들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가 대사증후군의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이 제시되어 이러한 결과는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혈청 GPT와 동맥경화지수가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 염증과 군집으로서의 대사증후군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utrient intake and selected blood parameters of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MS) and to provide data in forming a dietary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NCEP-ATP III criteria and WHO Asia-Pacific Area criteria for obesity. MS group was defined as subjects who have three or more risk factors and control group was defined as those with two or less of the risk factors.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were 58.8 years, 158.0 cm, 66.3 kg, $26.5\;kg/m^{2}$, respectively, in the MS group; and 58.4 years, 158.9 cm, 59.6 kg, $23.5\;kg/m^{2}$, respectively, in the control group. The weight and BMI in the M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between the MS and control group. Male subjects in the M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mushrooms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5). Egg consumption in the M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1). Consumption of vegetables and fiber was significantly lower for female subjects in the MS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5). Serum GPT, AI and WBC count in the MS group (27.8 IU/L, 3.7, $5964.2\;{\mu}/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22.6 IU/L, 3.2, $5250.0\;{\mu}/L$; p<0.01, p<0.001, p<0.01). In conclusion, consuming fiber and vegetables may prevent and reduce metabolic syndrome in adult men and women, and this study demonstrates the need for proper dietary management for them.

      • KCI등재

        비만 초등학생의 에너지 섭취량 및 에너지 소비량 평가

        최미경,전예숙,Choi, Mi-Kyeong,Jun, Ye-Sook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of obese children. The body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the daily energy intake and activity pattern assessed for one day, using the 24 hour recall method and interviews in 83 elementary school children (59 boys and 24 girls).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ideal body weight and obesity index in boys and girls were 11.8 years, 144.8 cm, 54.2 kg, 39.9 kg and 35.9% and 11.5 years, 140.8 cm, 48.9 kg, 36.9 kg and 33.7%, respectively. The mean daily energy intakes of boys and girls were 1,670.5 and 1,656.5 kcal; these being 76.4 and 88.5% of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for Koreans, respectively. The energy intake ratio from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in boys and girls were 61.5:14.7:23.6 and 62.0:14.7:23.7, respectively. The resting energy expenditure, as estimated by the Harris-Benedict, WHO/NAO/FAO and Korean DRI formulae in boys and girls were 1,452.7, 1,239.2 and 1,629.2 kcal and 1,323.9, 1,156.0 and 1,252.4 kcal, respectively. The activity coefficient for both the boys and girls was 1.39. The daily energy expenditure of boys (1,990.7 kca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irls (1712.1 kcal).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obesity index,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nutrition and exercise program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nergy expenditur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assess multiple dietary factors and dove]lop a standard method for assessing the energy expenditure of obese children.

      • KCI등재

        한국 일부 성인의 연령별 식사 다양성 비교 평가

        배윤정,전예숙,최윤희,최미경,Bae Yun-Jung,Jun Ye-Sook,Choi Yun-Hee,Choi Mi-Kyeong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tional meal variety of self-selected diet in Korean adults with different age groups.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f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ge, which included 20$\sim$49 yrs group(n=129), 50$\sim$64 yrs group(n=134), and $\geq$65 yrs group(n핀8). Subjects were interviewed using a general questionnaire and 24-hour recall method for dietary intak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ere 40.8 years for 20$\sim$49 yrs group, 57.1 years for 50$\sim$64 yrs group, and 70.7 years for $\geq$65 yrs group. The daily food, energy and nutrient intakes ere decreased with increment of age. The intakes of vitamin B2, folate, vitamin C, and calcium were under the 75% of RIs, respectively. The numbers of food items in diet of 20$\sim$49 yrs group, 50$\sim$64 yrs group and $\geq$65 yrs group were 14.2, 17.0, 13.2 for breakfast, 16.3, 15.4, 13.5 for lunch, 13.1, 15.1, 13.9 for dinner, respectively. And the numbers of dish items in these groups were 4.0, 4.6, 3.8 for breakfast, 4.4, 4.2, 3.9 for lunch, 4.0, 4.0, 3.6 for dinner, respectively. The KDDS of 20$\sim$49 yrs group, 50$\sim$64 yrs group and $\geq$65 yrs group were 3.9, 3.6 and 3.4 respectivel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aged group take a undesirable meal in the right of insufficient nutrient intake to DRIs and lower food and dish items, and therefore showing a strong need of proper dietary management for them.

      • KCI등재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만족도 및 평가도에 관한 연구

        최미경(Mi-Kyeong Choi),전예숙(Ye-Sook Jun),홍원주(Won-Joo Hong),김순경(Soon-Kyung Kim),김동희(Dong-Hee Kim),김애정(Ae-Jung Kim),강명화(Myung-Hwa Kang),김미현(Mi-H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2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찾아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자 중 대학 2학년생이 155명(67.7%), 대학교 3학년생이 14명(6.1%), 4학년생이 60명(26.2%)이었으며, 남학생은 14명(6.1%), 여학생은 215명(93.9%)이었고, 실습기관은 학교급식소 89명(38.9%), 사업체급식소 107명(46.7%), 병원급식소 33명(14.4%)이었다. 실습기간은 1주가 16명(7.0%), 2주가 192명(83.8%), 3~4주가 21명(9.2%)으로 2주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실습 만족도는 실습지원비(1.90±1.18)와 실습기관의 위치(2.93±1.29) 항목에서 낮았으며, 실습기관의 종류(3.76±0.88)와 실습기관의 실습관리자(3.63±1.05)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실습 평가도는 실습에 대한 사전 준비 및 계획(3.27±0.74)과 현장실습이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었다(3.61±1.02)는 항목에서 낮았으며, 실습과제의 수행(4.06±0.82)과 근무의 성실성(4.02±0.75)에 대한 평가도는 높았다. 실습기관의 종류와 관리 유형에 따른 현장실습 만족도에서 병원급식소가 학교급식소나 사업체 급식소에 비해 실습기관의 분위기, 실습비,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학과 교수의 지도 항목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p<0.05, p<0.05, p<0.05), 직영업체가 위탁업체보다 실습기관의 종류 등 총 7개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현장실습 평가도는 학교급식소가 병원급식소에 비해 ‘나는 실습생으로서 성실히 근무하였다’와 ‘실습에 필요한 내용을 사전에 준비하고 계획하였다’는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p<0.05), 직영과 위탁의 관리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장실습 지역과 거주지가 일치한 실습생이 일치하지 않은 실습생보다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항목의 만족도(p<0.05)와 ‘실습장소의 정리정돈과 관리에 힘썼다’, ‘조리원들과 친밀해지고 신뢰받게 되었다’는 항목의 평가도(p<0.05, p<0.01)가 유의하게 높았다. 현장실습 기관과 취업 희망기관이 일치한 실습생이 일치하지 않은 실습생보다 실습기관의 종류, 위치 등 총 8개 항목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실습 평가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장실습 기간, 실습비, 실습 만족도와 평가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실습기간은 실습기관의 분위기,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항목의 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p<0.05, p<0.05)를 보인 반면, ‘부과된 과제를 수행하는데 최선을 다했다’는 평가도와는 부의 상관(p<0.05)을 보였다. 실습기관으로부터 받은 실습비는 실습지원비,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학과 교수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p<0.001, p<0.05, p<0.05) 및 ‘나는 실습생으로서 성실히 근무했다’ 등 총 5개 항목의 평가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습 만족도와 평가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정의 상관을 보여 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평가도도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식품영양학과 현장실습생들은 실습지원비와 실습기관의 위치면에서 만족도가 낮고 현장실습업무 수행상 실습에 대한 사전 준비와 계획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학교나 사업체 급식소, 직영업체, 실습기관이 거주지역에 있거나 취업 희망기관과 일치할 경우 실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실습기관이 거주지역에 있거나 취업 희망기관과 일치할 경우에는 현장실습업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영양학과의 현장실습이 매우 중요한 시점에서 이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현장실습의 효율을 높이고 체계화시켜 나가기 위한 학교, 실습기관, 정부 차원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degree of students’ spot-practice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d to investigate relating factors to them for development of spot-practice programme. The survey fo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to 229 students finished internship. Proportions of the students were 93.9% for senior, 93.9% for female. Proportions of spot-practice facilities were 38.9%, 46.7%, and 14.4% for school, business & industry, and hospital respectively. The major part of subjects (83.8%) took part in spot-practice during 2 weeks. The satisfaction scores to spot-practice were the lowest for pay, and the highest for a kind of spot-practice facilities. The evaluation scores were the lowest for ‘I made a plan and prepared my work in advanced’, and the highest for ‘I did my best for doing my work’. The satisfaction score in hospit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school or business & industry. The satisfaction score in self-operated foodservi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act managed on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aluation scores by foodsevice employment type. In the case of coincidence of area in spot-practice and residence, or facilities of spot-practice and job desired, th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The period of spot-practi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scores for atmosphere of spot-practice facilities, service and treatment for spot-practice student,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valuation score for ‘I did my best for doing my work’. The spot-practice pay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and evaluation scores for various items. In conclusion, various factors are related to satisfaction and evaluation degree of spot-practice students, and consist concern and support from college & university, foodservice institution, and government for systematic spot-practice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