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을 활용한 과학영재 심화 학습 지원 체제 구축

        전영석,Jhun, Young-Seok 한국영재학회 2002 영재교육연구 Vol.12 No.4

        과학영재들의 왕성한 학습 욕구를 충족하고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학습의 개별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웹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 고등학교 학생 대상 심화 학습자료 제공 체제를 구축${\cdot}$운영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먼저 과학영재의 특성 및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수업 환경에 대해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조직의 수업 개선 방안 및 웹 기반 교수-학습 지원 체제의 기본 구조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과학영재 대상 교수-학습 방안의 총론으로 GIFTED 교수 전략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게시판 중심의 학습 지원 체제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구축된 웹 기반 과학영재 심화학습 지원 체제는 게시판을 바탕으로 하여 각 과목별로 분리하였으며 각 과목별 게시자료는 알림, 학습자료실, Q&A, 과제제출, 추천 사이트를 기본으로 하되 각 과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항목을 가감하였다. 운영에 대한 평가 결과, 학생들과 교사들은 기본 체제에 대해 대체로 만족감을 표시하였으나 학생들은 좀 더 많은 자료가 올려지기를 원하였다. 본 체제를 구축할 때 보통의 교사가 보통의 노력으로도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운영 가능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앞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료의 질적, 양적 팽창이 진행되면 더욱 유용한 체제로 정착될 것이다. 또 게시판 구조 중 학습자료실과 과제제출 게시판에 대해서는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이며 실제로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추천 사이트는 그 종류나 양이 많지 않으며 과별 알림란 역시 이를 통해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많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n order to satisfy the gifted students' learning desire and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ir learning, we constructed the system which would provide them with supplementary activities based on the Internet boards. At the very beginning, we investigated the personalities of the gifted and their classroom environment which they prefer through studying the related references and asking questionnaires. And then we discussed how to improve the lectures, decided to make the basic structures of the web-based supporting system, and designed some teaching strategies for the gifted. which are named 'GIFTED'. Now the web-based supporting system, which are composed of several boards, was established and is being operated now. Each subject has its own boards. The boards of each subject basically consist of Notice, Learning-materials, Q&A, Homework, Recommended Sites. The results we've got from operating our system are following: Teachers and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ystem while students wanted more materials. Students and teachers had a positive attitude that the site boards of Learning-materials and Homework are being actively used, while the numbers of contents uploaded in Q&A and Recommended site boards are small and they are regarded as being unimportant to the students and teachers.

      • KCI등재

        국립과천과학관 어린이 탐구 체험관의 전시물 특성과 관람객의 관람행동 유형 분석

        전영석 ( Young Seok Jhun ),이연주 ( Yeon Ju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1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 어린이탐구체험관의 전시물을 분석하고 각 전시물에서 보이는 관람 행동 유형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전시물의 특성에 따라 어떤 행동 유형을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립과천과학관 어린이탐구체험관의 총 39종의 전시물을 내용적, 형태적 측면에서 조사?분석하였다. 관람행동유형은 관람객이 전시관에 들어올 때부터 나가는 순간까지 추적 조사하여 각 전시물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조사하였고, 관람객의 행동을 5가지 행동유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관 전시물의 특성과 관람객이 보이는 행동유형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관람형태로서 수동적인 전시물보다는 능동적인 형태의 전시물을 관람하는 것을 더 선호하였으며, 능동적 형태의 전시물이 유인력과 점유력이 높았고 유의미한 행동유형도 더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havior patterns of the observed visitors influenced on the exhibits in the ‘science park for kids` section of the National Gwacheon Science Museum. As a part of this study total 39 sorts of exhibits in the ‘science park for kids` section of the National Gwacheon Science Museum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exhibit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behavior patterns the visitors were observed as long as they stay at the museum. As a result, the time consumed at each exhibit was estimated and 5 behavior patterns were found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exhibits at the museum and the behavior patterns of the visitors. Also, it showed that the visitors preferred seeing the active type exhibits to the passive type.

      • KCI등재

        소집단 자유 탐구에서 나타나는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전영석 ( Young Seok Jhun ),황현정 ( Hyun Jung Hwa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2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유 탐구’를 신설하여 시행함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지도상의 문제점이 여러 가지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3학년 학생들이 학교 현장에서 소집단 자유 탐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도의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3학년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관찰로부터 유도되는 자유 탐구 과정을 고안하여 서울특별시 k초등학교 31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그 중 2개 모둠 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소집단 자유 탐구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cludes Open Inquiry, Open Inquiry was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in 2010 and will be applied to the fifth and sixth graders in 2011. however, teachers are expected to face practical difficulties as they guide the oepn inquiry in pers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made the open inquiry activities were performed using the Observation method, While performing the open inquiry instruction, the implications were nvestigated by Student-to-Student Verbal Interaction analysis. For the study, 31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hird graders at Kelementary school in Seoul. Of the 31 students, 8 students were recorded and videotaped for the Student-to-Student Verbal interaction analysis. And we proposed the small group open inquiry instruction for the third graders to perform open inquiry activities success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체험행사 참가 팀의 활동 형태 및 도우미 학생의 역할 분석

        전영석 ( Young Seok Jhun ),임미량 ( Mi Ryang L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2 초등과학교육 Vol.31 No.2

        Science festivals have occupied a very important axle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experience the amazement of scientific experiments to think over scientific principals beyond the formal education in the classrooms. Among the concerned person, the most benefit-taken group may be the assistant who help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activities in the festival. In order to find out the ways to make the student assistant`s participation into a meaningful education experience, we analyzed the types of the activities in the science festiva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assistants and the participating students are studi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activities in the science festival had related to the scientific concepts or principals;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principals didn`t highly affect the procedure of the activities. In many cases the students operated and made results without checking the related concepts or principals. Second, the student-assistants showed the consistency of operation in guiding their activities. They were explaining mainly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s without giving a chance to think of related concepts or principles. We suggest that teacher should consider the student-assistants` learning in the festival as well as that of the participants.

      • KCI등재
      • KCI등재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신영준 ( Young Joon Shin ),하지훈 ( Ji Hoon Ha ),홍준의 ( Jun Euy Hong ),전영석 ( Young Seok Jhun ),이수영 ( Soo Young Lee ),박지선 ( Ji Sun Park ),지재화 ( Jae Hwa Ji ),이수아 ( Soo Ah Lee ),문혜숙 ( Hye Sook Moon ),이성희(교신저자)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1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및 읽기 자료 등과 같은 디딤자료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사전에 학습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교실 수업에서는 교사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 중심이 되어 수업 시간이 운영된다. 거꾸로 수업은 각각의 교사가 사전영상과 같은 사전 과제를 미리 준비하고 교과서 이외의 활동을 재구성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사전 영상을 제작하는 등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교과서 분석, 거꾸로 수업을 하고 있는 6명의 과학교사 심층 면담, 과학 교과서 샘플 모형개발 및 적용을 통해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초중고과학 교과서 모형은 사전영상을 전제로 하지 않은 서책 중심 교과서 모형제시와 더불어 거꾸로 수업구현을 위한 강의 중심형, 실험 중심형, 탐구 조사형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수업으로서 과학수업 및 교과서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Flipped learning is generally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learn on their own in advance with the help of scaffolding material such as videos and text, and in the classroom, it is operated with the help of a teacher while the class is being learner-centered. For flipped learning, each of the teachers has to design the class, collect information, and prepare for scaffolding material, so they get to face a lot of difficulties spending much time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produce a video and so on. Accordingly, this researcher has developed flipped learning textbook models applicable to science class by analyzing Korean and overseas textbooks,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to six science teachers practicing flipped learning, and also developing and applying the science textbook sample model.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models developed include not only the textbook-based model with no videos presented in advance but also the lecture-type model, experiment-based model, and inquiry and research-based model to realize flipped learn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crucial implications to develop textbooks and science class as a class to perform learner-centered inquiry activity.

      • KCI등재

        토론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영식 ( Young Sik Shin ),전영석 ( Young Seok Jhu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8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 학습 전략으로 과학글쓰기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학생들은 과학글쓰기를 어려워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토론이 학생들의 과학글쓰기에 도움을 줄 것 이라는 가정 하에 과학글쓰기 전에 소집단 토론을 도 입하였으며 소집단 토론의 내용, 토론 중 나타난 학생 의 특성이 과학글쓰기 세 영역(과학성, 논리성, 독창 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중 같은 소 집단을 이루는 4명의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 여 수업의 전 과정을 녹음, 녹화한 후 전사하였으며 학생들의 과학글쓰기 결과물을 수집하여 평가틀에 맞춰 세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집단 토론 내용은 과학글쓰기의 과학성 영역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우수한 학생의 도움과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글쓰기 영역 중 논리성 영역 중 구성의 체계성은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향상이 가 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지 전개의 일관성은 학생이 개방성이 부족하거나 토론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논증의 형식과 논증의 목적, 의미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토론과 글쓰기 교 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성취수준이 중인 학생 은 토론의 주제가 친숙할수록 독창성 영역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글쓰기 수업에 참여하 4명의 학생은 모두 과학 성, 논리성, 독창성 영역에서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소집단 토론을 통해 성취수준이 낮은 학생이 과학글쓰기 능력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취수준이 높은 학생이 소집단 토론을 통해 과학글쓰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group discussion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writing. In this study, four 6th grade students were chosen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Students were involved in eight science writing classes and the contents of a small group discussion and interactions were recorded and observed. Students` science work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ased on three domains: scientific thinking, logic and origina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tents of a small group discussion greatly affected the scientific thinking domain. A low-achieving student received lots of help from a high-achieving student. It was easy to improve in the logic domain through the science writing classes. Average students got good grades in an originality domain when the subject was related to their real life. A small group discussion would have an effect on science writing ability positively if the students acquired proper guidance on the procedure and manner of discussion. The science writing lesson would be more effective if the learning group was organized homogeneously in the aspects of intelligence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