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컴퓨터 교육용 서버의 구축과 활용

        전영국(Youngcook Jun),허영남(Yeong-Nam Heo)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A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초-중등 학교에서 컴퓨터를 활용하는데는 어려움이 많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전문 교사의 부족 등으로 교육 인프라가 늦어지고 있지만 기존에 있는 컴퓨팅 자원을 잘만 활용하면 의외의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컴퓨터 교사의 역할에 따라 컴퓨터의 활용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그러한 측면에서 컴퓨터를 담당하는 일선 교사들에게 직접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고 그 기능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컴퓨터 교육용 서버는 http, gopher, ftp, smtp 등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교사가 필요로 하는 자료를 저장, 분류하고 더 나아가 그러한 자료를 출판케 하여 가상 마을 형성에 구심점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 KCI등재

        고고범퍼카 프로젝트 기반의 정보영재반 수업에서 나타나는 컴퓨팅 사고 패턴 분석

        전영국 ( Youngcook Ju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수학정보 영재반 수업에서 고고보드를 사용하여 고고범퍼카의 조립 과정 및 고고모니터 명령어로 고고범퍼카를 제어하는 활동을 분석하여 강사와 참여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적 활동과 컴퓨팅 사고 패턴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로봇 강사 및 참여 학생) 2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말에 이틀 동안 고고범퍼카 프로젝트 수업을 비디오로 촬영하였다. 그리고 그 이후에 진우를 대상으로 2013년 11월과 2014년 1월 사이에 별도의 후속 면담과 비디오 회상면담을 3회 실시하여 고고범퍼카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 관한 자료를 보완적으로 수집하였다. 비디오 및 면담 자료와 산출물인 고고모니터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구자는 고고범퍼카 프로젝트의 수행 활동에서 나타나는 컴퓨팅 사고의 전개 양상을 포착하였다. 참여 학생은 고고보드 부품 사용과 고고모니터 코딩 활동에서 로봇 강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종종 숙고하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바에 해당되는 명령어의 조합을 배열하면서 수정과 테스트를 순환적으로 하는 컴퓨팅 사고의 전개 패턴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aims to deeply investigate the interactive patterns between a robot teacher and a participating gifted student who assembled GoGo Bumper car and controlled it with GoGo Monitor commands. Two days of classroom activities for the GoGo Bumper car project were videotaped between July 29 and 30 in 2013. Extra video-based recall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ree times between Nov 2013 and Jan 2014. The qualitative analysis of video data, GoGo Monitor codes and interview data revealed several unfolding patterns of computational thinking. The participating student while interacting with a robot teacher often contemplated and coded on his own ways as he worked with GoGo board testing and assembling a GoGo Bumper car. The overall process of coding and testing his own ideas by finding out relevant commands and arranging them attuned to his computational strategies seems to be cyclic.

      • KCI등재

        자발적으로 그린 유아의 그림에 관한 질적 분석

        전영국(Jun, Youngcook),배성아(Bae, Sung Ah),장용석(Chang, Yong-S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을 통하여 엄마와 교감하고 소통 하고자 하는 양상과 더 나아가 그림을 통하여 표현하고자 했던 주요 측면(예, 세상에 대한 이상적인 부분 등)을 포착함으로써 유아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인 지우는 스스로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였으며 자신이 그린 그림에 관하여 엄마에게 이야기해 주는 것을 즐겨하였다. 우리는 지우가 만 4살 반이었을 무렵인 2012년 봄부터 2013년 봄까지 그렸던 약 20개의 그림들을 수집하였고 2015년 5월 및 10월 사이에 엄마를 대상으로 지우가 그림을 그리던 상황에 대하여 회상 기반의 면담을 세 번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우리는 지우의 그림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양상 외에도 가족간의 소통을 매개해 주면서 교감하는 측면과 지우가 가족과 세상을 바라보면서 느꼈던 이상적 측면을 묘사하였다. 지우의 사례는 그림을 통하여 엄마와의 관계 속에서 가족을 대하는 태도와 느낌 외에도 세상에 대한 이상적 측면을 담고 있는 더 큰 전체성(larger wholes)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jor aspects that an infant wants to commune with his mom what he drew voluntarily, and further to understand the infant by investigating unique aspects revealed within himself such as temper, attitude, ideals toward outside world etc. Jiwoo, a single participant to this study, loved drawing things and enjoyed talking about them to his mom. We collected his drawings from 2012 spring when 4 1/2 years old to 2013 spring and conducted interview with his mom three times between May and October 2015 probing her to talk about her feelings and situational contexts regarding any of his drawings. Based on qualitative data analysis, we depicted the clearly developmental patterns of passionate Jiwoo’s drawings, the communing aspects with his mom and his own ideals expressed within himself toward the outside world.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research in that Jiwoo’s case revealed his attitudes and feelings etc toward his mom and dad in the family relationship as well as larger wholes that contain his ideals toward outside world.

      • KCI등재

        유아가 자발적으로 그린 토끼공주와 엄마 그림에 관한 질적 탐구

        전영국(Jun, Youngcook),장용석(Chang, Yong-Sock),윤지현(Yoon, J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이 연구의 목적은 여유아가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의 특징과 고유한 내면의 표현 방식을 탐구하여 유아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림 그리기를 무척 좋아하였던 연구참여자인 만 3세의 민지는 그림을 그릴 때 별로 말을 하지 않고 오로지 그림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우리는 민지가 2014년 2월부터 2015년 1월까지 1년간에 걸쳐 그렸던 약 60개의 그림들을 수집하여 시간 순서대로 배치하고 질적으로 분석하 였다. 우리는 민지가 그림을 그릴 당시에 대한 상황과 그림 주제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엄마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첫 면담을 실시한 이후에 2015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3회에 걸쳐 후속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그림 중에서 주로 인물화(토끼공주 및엄마 등)를 중점적으로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지는 매우 발랄한 여자아 이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가족과 주위에 있는 사람들(예, 어린이집 선생님, 엄마 등)에 대하여 토끼와 공주의 이미지를 합하여 생생하게 표현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둘째, 민지가 만4세가 되는 과정에서 엄마에 대하여 길게 땋은 머리, 볼터치한 얼굴 등 예쁘게 그린 그림을 통해 민지의 내면 상태가 매우 발랄하고 이쁘게 드러났으며 그것은 곧 엄마와의 관계가 매우 좋았음을 보여주었다. 민지가 그린 인물화는 토끼와 사람을 합친 토끼공주 그림에 대한 창의적 측면 외에도 엄마에 대한 친근함, 행복감 등을 통합적으로 보여주면서 그 속에 민지만의 더 큰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explore the major aspects of an infant who engaged in her self-initiated drawings on rabbit related princesses and her mom. We collected about 60 drawings that Minji, a three years old single participant, drew between 2014 February and January 2015. We also conducted interviews with Minji’s mom between April 2014 and June 2015 four times. By qualitative data analysis, Minji tended to lively express her own inner feelings and ways of being in contact with other people through her creative drawings using the image of rabbit princess. First, in her series of drawings, she exposed her lively vivid expressions of what she felt about dearest people (eg., herself, her mom or her kindergarten teacher etc.) by creatively combining the images of princesses and rabbits. Second, her favorite repertories included her mom as a pretty woman with long hair and ball touch. That indicated Minji had a pretty good relationship with her mom. Overall, Minji’s drawings expressed not only her delicate feelings for her mom with friendliness and happiness in creative ways but also contained her whole larger aspects regarding her own vivid inner feelings.

      • KCI등재

        여자 유아의 자발적 그림 그리기와 점토 만들기 활동에 대한 특징 탐구

        전영국(Youngcook Jun),장용석(Yong-Sock Chang),윤지현(Jihyun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연구는 만 5세의 여자 유아(민지)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풍경과 사물(예, 바다, 꽃, 나무 등)과 TV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과 점토 만들기 활동을 해석하여 유아의 통합적이고 고유한 측면을 다루었다.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민지가 그렸던 그림과 점토 놀이 결과물을 대상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민지 엄마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 사이에 네 차례 만나서 그림과 점토 결과물을 보면서 당시의 상황, 맥락 등에 대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민지는 그림을 통해 자연 속의 풍경과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역동적이고 자신이 받은 인상대로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TV 매체 또는 동화책에서 본 이야기와 이미지 등 자신이 관심있는 것을 나름대로 표현함으로써 그림과 점토 놀이를 통한 내면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민지의 사례에서 부각되는 유아의 고유한 측면을 통합적으로 조망하였으며 민지의 그림 및 점토 놀이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가 유아 대상의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적 이 연구는 만 5세의 여자 유아(민지)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풍경과 사물(예, 바다, 꽃, 나무 등)과 TV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과 점토 만들기 활동을 해석하여 유아의 통합적이고 고유한 측면을 다루었다.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민지가 그렸던 그림과 점토 놀이 결과물을 대상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민지 엄마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 사이에 네 차례 만나서 그림과 점토 결과물을 보면서 당시의 상황, 맥락 등에 대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민지는 그림을 통해 자연 속의 풍경과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역동적이고 자신이 받은 인상대로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TV 매체 또는 동화책에서 본 이야기와 이미지 등 자신이 관심있는 것을 나름대로 표현함으로써 그림과 점토 놀이를 통한 내면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민지의 사례에서 부각되는 유아의 고유한 측면을 통합적으로 조망하였으며 민지의 그림 및 점토 놀이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가 유아 대상의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qualitatively interpret voluntary drawings and clay-making activities of a 5-year-old girl (Minji) from a holistic viewpoint. Methods Data collection included her own drawings and clay-making works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7. Also, interviews with her mother were carried out four times between June and August 2018 by asking follow-up questions about the situation and contexts of her drawing and clay activities. Results Minji showed a dynamic, creative pattern of expressing images of landscapes and objects in nature through her paintings according to the impressions she felt. In addition, she showed her inner expansion through painting and clay playing by expressing her own interests. It turned out that reading stories in children s books or watching TV animation also affected her playing with drawing and clay making. Conclusions This paper explored Minji’s unique aspects of art creating caught from real-world experiences or her own imagination. This case indicated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other infants’ or children’s art-related activities in the area of art education.

      • SRL 및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이산수학 강의 운영 사례

        전영국(Youngcook Jun),이아름(AhReum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A)

        이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의 이산수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자기성찰 학습을 하면서 얻게 되는 변화와 결과에 주목하여 이산수학 강의의 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20년 가을 학기에 진행되었던 S 대학교의 이산수학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기성찰기반학습(SRL: Self-Reflective Learning)을 적용하고 설문지와 자기성찰노트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학습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조사 결과에서 S대학교의 핵심역량인 자기주도 역량, 문제해결 역량은 수업 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도전 역량은 일부 하위 요소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Mathematica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얻게 된 수강생들의 학습태도 변화는 자기성잘노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전통 문양을 채색분석 해 보는 자전적 경험 탐구

        전영국(Youngcook Jun)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21 예술과 인간 Vol.7 No.-

        그림을 그리는 활동과 밑그림을 여러 가지 색깔로 칠해보는 채색활동은 내적인 감정, 생각, 느낌 등을 표현하게 해 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의 채색활동을 통해 문양에 담긴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탐구하는 자전적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자는 전통 그림과 문양에 대한 세미나에 참여하면서 채색분석 방법을 알게 되었으며 약 1년에 걸쳐 배운 경험을 토대로 채색 활동이 주는 심미적 경험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연구자는 투각향료에서 나타나는 조형 패턴에 대하여 NetLogo로 코딩해 보았으며 용면와(龍面瓦)와 고구려 안악 3호분의 연꽃 무늬를 채색분석해 보는 경험을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는 그 자체로 다양한 색감을 통해 형태를 꾸며나가는 활동이며 채색을 하는 과정을 통해 내적인 감정과 느낌이 순화되면서 사물을 보는 눈이 확장됨을 서서히 알아차리게 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조형의 밑그림을 채색하면서 조형에 대하여 분석하는 활동이 조형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더 나아가 무늬가 전개되어 나가는 조형방식을 탐구하는데 체계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interpreting traditional patterns with color analysis. I (researcher) learned how to analyze coloring while participating in a seminar on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would like to examine the autobiographical aesthetic experiences of coloring activities carried out for about one year. As part of the art-based research method, I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artifacts of color analysis and memorized data for the selected traditional patterns as well as NetLogo coding. The coloring work itself is an activity to decorate the form through various colors and the process of coloring, and has side effects of tuning the inner emotions and feelings purified. With such a method, I gradually noticed that the eyes to see things were becoming expanded and deepe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color analysis of traditional patterns helped to interpret the meanings contained in those patterns via re-interpretation from the a/r/tographic perspectives.

      • KCI등재

        Exploration on Autobiographical Discoveries from Creative Work based on Hooded Crane Dancing

        Youngcook Jun(전영국)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2

        This paper explores the practice of using hooded crane dancing as an aesthetic and spiritual journey towards creative experiences through a gradual understanding of hooded cranes. I first became involved in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s that observed and mimicked hooded cranes via video clips. A documentary film on the hooded crane (Doori) played a strong role in increasing my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ecology of the Suncheon bay wetland conservation area, including hooded cranes. As I became more immersed in my performances, I became more adept at particular movements and reached the level of doing choreography work on my own.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investigate how I was able to reveal my inner self while searching for ideas, modifying story-lines, selecting music, doing choreography and performing a final piece on stage.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September 2014 and May 2016, including field notes, reflective memo taking, photos, video clips and self-recollections. After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 was able to grasp almost 13 aspects related to creative work following Root-Bernstein (Root-Bernstein & Root-Bernstein, 1999). As a professor/researcher/artist, I enjoyed playing with my ideas and body movements, heavily shaped by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my understandings on hooded cranes. I also needed to transform existing resources and carefully select an appropriate piece of music for my choreography work by coming up with images or abstract concepts. The course of this journey inwards, enabled by my intimate contact with the world of the Hooded Crane was uplifting, aesthetically and spiritually. Additionally, the course of the journey toward my own creative space in the Suncheon wetlands, where I existed in harmony with the Hooded Crane, lifted my spirit up and allowed me to reach a better place, aesthetically and spiritually. 이 논문은 순천만의 흑두루미를 주제로 한 몸짓과 춤을 만들어 가는 대학 교수의 자전적 사례에서 창의적 활동이 나타나는 양상을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순천만 야외에서 흑두루미를 관찰하고 모방하는 활동을 자발적으로 하면서 점점 순천만 과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을 더 갖게 되었다. 2013년 이후부터 개인 또는 동아리 형태의 공연 활동을 전개하면서 흑두루미에 대한 관찰과 모방을 통한 놀이 활동이 몸짓에 관한 형상화 작업으로 발전되어 나갔다. 특히, 순천만에서 실제 일어난 흑두루미 두리의 이야기를 접목하여 몸짓을 통하여 두리의 입장에서 험난한 과정을 헤쳐나가게 된 구체적인 몸짓을 형상화 시키고 흑두루미의 동작에서 패턴의 인식하여 형상을 만들어 나가는 안무작업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 ‘나’는 창작에 관한 구상, 스토리 전개, 음악, 안무 및 시연에 이르기까지 과정에서 경험한 내면의 상태를 토대로 창의성의 발현에 관한 지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부터 2016년 5월 사이에 걸쳐 창작 과정에 관한 현장 노트, 성찰 메모, 사진, 동영상 및 자전적 기억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자료 분석과 해석 작업을 거쳐 창의적 사고에 뛰어난 인물들을 연구한 Root-Bernstein이 제시한 13개의 창의적인 측면(Root-Bernstein & Root-Bernstein, 1999)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나는 흑두루미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흑두루미의 몸짓에서 패턴을 추출하여 변형하거나 추상적인 이미지 작업으로 나아갔다. 이 자전적 사례는 순천만습지에서 흑두루미와 인간이 서로 조화스럽게 살아가는 공감각적 관점에서 다양한 방식의 앎과 느낌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창작춤 활동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자신을 심미적이고 영적으로 고양시키게해 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영상매체를 경험한 유아의 자발적 그림 그리기 활동에 관한 질적 분석

        전영국(Jun, Youngcook),배성아(Bae, Sung Ah),장용석(Chang, Yong-S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TV 애니메이션 등 영상매체를 통하여 보고 경험한 것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활동에 대하여 깊이 있게 탐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지우(연구대상유아)가 만 5세였을 무렵인 2013년 2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그렸던 약 30점의 그림들을 분석하였다. 그 외에 2015년에 2회에 걸쳐 진행한 지우엄마와의 면담 자료, 지우가만 8세였던 2016년 8월에 엄마와 지우를 대상으로 실시한 후속 면담 자료를 보완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질적 분석한 결과 지우는 닌자고, 포켓몬스터 및 가면라이더 등의 영상매체를 보면서 자신이 외부 세계에 대하여 인상적으로 느낀 바에대하여 즉각적으로 그림을 그려서 표출하고자 하는 동적인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의그림들은 점진적으로 정교하게 발전되는 현상으로 나타났으며 그림에는 지우의 자신감이 강하게 느껴졌다. 또한 지우는 자신이 그린 그림을 매개로 부모 및 친구들과 소통하는 활동을 하였고 더 나아가 ‘선과 악’의 대결에 관한 모방에 머물지 않고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이미지를 새롭게 변화시켜 스토리를 창의적으로 변환시키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림에 대한 발달론적 고찰과 애니메이션 매체 경험과관련된 사회문화적 접근을 시도한 것 외에도 지우가 가진 고유한 통합적 측면에 대하여 탐구하였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explore the major aspects of a child who engages in self-initiated drawings after watching TV animation etc. We analyzed about 30 drawings that Jiwoo, a five years old single participant, drew between 2013 February and August. We also conducted interviews twice with Jiwoo’s mom and another separate video data collection with Jiwoo in 2015; his mom together on and video data conducted with Jiwoo’s mom together in 2016. By qualitative data analysis, Jiwoo enjoyed watching Ninjago, Pocketmonster, Kamenrider etc and tended to directly digest outer world’s stimulus and actively expressed his own feelings after watching such diverse animations and movies etc. In his series of drawings, he tended to immerse himself into such media watching and showed his confidence on his ways of projecting his feelings and impressions into the drawings. He also revealed the patterns of expanding himself in several ways that he wanted to make up his own stories creatively in his drawings with his new invention of animation characters, not just imitating the combat between good and evil expressed in the media animation, and to share his own stories with his friends or/and mom. This paper presented that we tried to explore not only the salient features of his drawings and socio-cultural play activities, but to investigate Jiwoo’s whole aspects beyond such socio-cultural view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