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나무 풍매차대 가계의 유묘 생장특성과 성목 생장과의 관계

        이위영(Wi-Young Lee),박응준(Eung-Jun Park),전병환(Byoung-Hwan Cheon),한상억(Sang-Urk Han) 한국육종학회 2011 한국육종학회지 Vol.43 No.4

        신속하게 생장하는 소나무의 조기 선발인자를 구명하고자 32년생 소나무의 풍매차대 검정결과로 얻어진 재적지수를 기준으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선발된 12가계의 생장특성과 동일한 가계의 유묘 생장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선발된 12가계의 종자 특성과 동일 가계의 성목 생장특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다만 소나무 유묘의 초기 생장과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별 1년생의 유묘 건물중과 성목의 재적지수(32년생)와는 1%의 유의적 정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적지수가 높았던 상위 그룹의 유묘 가계의 건물중에 따른 서열은 모두 상위에 있어 중, 하위 그룹과 구분이 되었다. 또한 가계별 묘고의 평균 생장속도는 상, 중, 하위그룹이 각 4.568, 3.773, 3.535로 나타나 상위 그룹이 중, 하위 그룹보다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유묘의 건물중 및 묘고 생장속도는 신속 생장하는 소나무 가계의 조기선발을 위한 주요 인자로 추정되었다.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genetic correlation between 12 open-pollinated families (32-year-old) and their one-year-old seedlings for early selection on the fast-growing trait in Pinus densiflora S. et Z.. Those twelve famil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superior, intermediate, and inferior, on the base of the growth indexes of 32-year-old P. densiflora.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32-year-old P. densiflora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growth traits of their one-year-old seedlings. Dry weights of the seedling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1) with the growth index of the adult plants and its R value was 0.597, suggesting that 59.7% of the families could be selected by using dry weights of one-year-old seedlings. Furthermore, the growth rates of seedling heights for superior, intermediate, and inferior groups were 4.568, 3.773, and 3.535, respectively, resulting that seedlings of the superior group grew approximately 1.3-fold faster than those of the inferior group.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wo growth traits of one-year-old seedlings dry weight and growth rate were suppose to the early selection factors for the fast-growing trait for P. densiflora.

      • 새만금 단벌기 목재에너지림 식재 포플러 묘목의 생육특성 및 바이오매스 생산량

        우수영 ( Su Young Woo ),이성한 ( Seong Han Lee ),제선미 ( Sun Mi Je ),곽명자 ( Myung Ja Kwak ),유하나 ( Ha Na You ),여진기 ( Jin Kie Yeo ),전병환 ( Byoung Hwan Cheo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 배후도시용 유보용지를 이용하여 2012년에 조성된 포플러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을 대상으로 식재 시 대절처리에 따른 묘목의 생육특성과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재 2년차 목재에너지림 포플러 묘목의 총 수고와 직경은 무대절처리구(347.8cm/19.5mm)와 1m 대절 처리구(324.5cm/18mm)에서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지제부 대절처리구(259.8cm/15.1mm)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식재 이후 2년간 순수고생장량에 있어서는 1m 대절 처리구가 241.4cm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무대절 처리구(212.7cm) 및 지제부대절 처리구(181.6cm) 순으로 나타났다. 2년 동안의 지상부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추산한 결과, 무대절 처리구(약 4.3ton/ha)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m 대절 처리구(약 4.0ton/ha) 및 지제부 대절 처리구(약 2.6ton/ha) 순으로 나타났다. 고사율의 경우 1m 대절 처리구가 약 10.0%로 무대절 처리구(26.2%) 및 지제부 대절 처리구(30.1%)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수관활력도 및 잎 피해도 역시 가장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적으로 식재 후 2년 간 지상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총 생산량은 무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추산되었으나 간척지 환경을 고려한 적응지수는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 and wood biomass production for a short rotation coppice plantation with differently coppiced poplar established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2012. Total tree hight and DBH after two growing seasons were highest in non-coppiced plantation (347.8㎝/19.5㎜) followed by 1m hight-coppiced (324.5㎝/18㎜)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259.8㎝/15.1㎜). However, net growth of tree hight during the two growing seasons was highest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241.4㎝) followed by non-coppiced (212.7㎝)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181.6㎝). Above ground wood biomass production during the 2 years after plantation was estimated to be highest in non-coppiced plantation (about 4.3 ton/ha) followed by 1m hight-coppiced (about 4.0 ton/ha)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about 2.6 ton/ha). However,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survival rate, vitality of tree crown and degree of leaf injury was showed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Overall adaptability concern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reclaimed land was also highest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