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뮐러관 기형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서울아산병원 20년 (1990~2009년) 간의 경험

        전균호 ( Gyun Ho Jeon ),박유란 ( Yu Ran Park ),신유정 ( You Jung Shin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7

        목적: 뮐러관 기형 환자의 임상양상과 생식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0년부터 2009년까지 20년간 서울아산병원에서 뮐러관 기형으로 진단받은 186명의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생식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뮐러관 기형은 1,326환자당 1명 (0.075%)의 빈도로 대부분 성인기에 발견되었고, 청소년기와 소아기에 발견된 경우는 15.1%에 불과하였다. 약 40% 이상의 환자들은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었지만, 그 외 상당수의 환자들은 무월경, 생리통, 이상 생리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궁 기형 중 가장 흔한 유형은 쌍자궁 (30.6%)이었고, 다음으로 두뿔 자궁(19.4%), Mayer-Rokitansky-Kuster-Hauser 증후군, 중격 자궁, 단각 자궁의 순이었다. 이들 환자들에서 확인된 251예의 임신의 예후는 자연 유산과 조산이 55.8%로 매우 흔하였고, 총 생존아 출산율은 48.6%였다. 각 자궁 기형별로 분석하였을 때 궁상자궁과 쌍자궁의 생존아 출산률이 각각 60.0%, 58.0%였고, 단각 자궁과 두뿔 자궁은 각각 42.1%, 46.7%로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중격 자궁은 32.4%로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아 출산율을 보였다. 결론: 대부분의 뮐러관 기형은 성인기에 발견되지만 많은 수의 환자들은 청소년기 이후부터 생리 이상, 생리통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중격 자궁 환자들의 생식력에 대한 예후는 궁상 자궁과 쌍자궁 환자들에 비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outcomes of women with Mullerian anomalies. Methods: One hundred and eighty-six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Mullerian anomalies at the Asan Medical Center from 1990 to 2009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outcomes were analyzed. Mullerian anomal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he American Fertility Society (1988). Results: Mullerian anomaly was noticed in 1 in 1,326 patients (0.075%). Most cases were found in adulthood (84.9%) whereas only 15.1% cases in adolescent or pediatric period. More than 40% of cases were asymptomatic and found incidentally but others suffered from amenorrhea (12.4%), dysmenorrhea (10.8%), abnormal menstruation (10.2%), etc. Most common type of uterine anomalies was uterine didelphys (30.6%), followed by bicornuate uterus (19.4%), Mayer-Rokitansky-Kuster-Hauser syndrome (10.8%), septate uterus (9.1%) and unicornuate uterus (8.6%). On the reproductive outcomes of 251 pregnancies identified, spontaneous miscarriages and preterm labor were quite common (55.8%), and the overall live birth rate was 48.6%. When each anomaly was individually analyzed, the live birth rate was 60.0% in the arcuate uterus and 58.0% in the uterine didelphys. The unicornuate and bicornuate uterus presented a similar chance of having a living child (42.1%, 46.7%), while the septate uterus showed a relatively lower live birth rate (32.4%). Conclusion: Although most cases of Mullerian anomalies are diagnosed in adulthood, many patients may suffer from menstrual abnormalities, dysmenorrhea or recurrent miscarriages since adolescence. The reproductive outcomes of the arcuate uterus and uterine didelphys were better, while those of septate uterus were poor in our study.

      • KCI등재

        Klippel-Trenaunay 증후군 여성에서의 임신

        전균호 ( Gyun Ho Jeon ),김연미 ( Yeon Mee Kim ),전성욱 ( Sung Wook Chun ),조현진 ( Hyun Jin Cho ),지용일 ( Yong Il Ji ),정철회 ( Chul Hoi Je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2

        The Klippel-Trenaunay syndrome is rare congenital disease characterized by a triad of cutaneous vascular malformations, varicose veins, and hypertrophy of bone and soft tissue. Although several cases of pregnancy in women with Klippel-Trenaunay syndrome were reported as there may be increased risk of pregnancy- and/or delivery-associated complications such as varicosities, thromboembolism and hemorrhage, there is little general information regarding how to deal with pregnancy in patients with Klippel-Trenaunay syndrome and their obstetric outcome. We describe the case of a woman suffering from Klippel-Trenaunay syndrome delivering a healthy child with a brief review of concerned literature.

      • KCI등재후보

        폐경여성에서 녹내장 발생과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와의 관계

        전균호 ( Gyun Ho Jeon ),조현진 ( Hyun Jin Cho ),전성욱 ( Sung Wook Chun ),지용일 ( Yong Il Ji ),정철회 ( Chul Hoi Jeong ),서민희 ( Min Hee Suh ),이주은 ( Joo Eun Lee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폐경여성에서 녹내장 발생과 혈중 에스트라디올 (estradiol, E2)농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30명의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혈중 E2 농도, 폐경 관련 임상 지표, 안압, 빛 간섭 단층촬영 등의 녹내장 관련 임상 지표를 측정하였다. 안과적 선별 검사 결과에 따라 녹내장 의심 군으로 분류되면 정밀검사를 시행하여 녹내장 여부를 확진 하였다. 모든 환자들을 녹내장 의심 군과 녹내장 비의심군으로 분류한 후 두 군 사이의 혈중 E2 농도 및 지질 농도, 골밀도 등의 폐경 관련 임상 지표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30명 중 녹내장 의심군으로 분류된 환자가 8명 (26.7%)였으며, 이중 1명이 치료가 필요한 녹내장, 2명이 초기 녹내장으로 진단되었다. 녹내장 의심 군과 비교하여 녹내장 비의심군에서 혈중 E2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19.40 ± 4.79 vs. 13.95 ± 4.55 pg/mL, P = 0.525). 혈중 E2 농도가 높은 군 (≥ 20 pg/mL)과 낮은 군 (< 20 pg/mL) 사이의 녹내장 의심자의 빈도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25.0 vs. 27.3%, P = 0.645), 녹내장 의심 군과 비의심군간의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도 녹내장 의심 군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지표는 역시 없었다. 결론: 폐경여성에서 빛 간섭 단층 촬영과 같은 정밀 선별검사를 시행한 결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슷한 연령대의 녹내장 유병 율보다 높은 빈도에서 녹내장 환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혈중 E2 농도와 안압 및 녹내장 발생 위험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glaucoma and association with the serum estradiol (E2) level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evaluated the serum E2 level, female reproductive factors and glaucoma related risk factors including intraocular pressure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findings in 30 postmenopausal women who visited Obstetrics and Gynecology outpatient clinic.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findings on the glaucoma screening test were classified to the glaucoma suspect group (group-G), and underwent a glaucoma confirmatory test. Serum E2 level, female reproductive and other menopausal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lipid profiles and bone mineral densities were analyzed in the group-G and non glaucomatous group (group-N). Results: Eight out of thirty participants (26.7%) were classified to the group-G. One of them was diagnosed as having glaucoma that required treatment, and the other two were found to have early glaucomatous changes. Compared to the group-G, the group-N had a higher level of serum E2 (19.40 ± 4.79 vs. 13.95 ± 4.55 pg/mL) The difference, howev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525). The proportion of glaucoma suspect patients in the groups with a higher serum E2 level (≥ 20 pg/mL) and a lower serum E2 level (< 20 pg/mL) was similar (25.0 and 27.3%, P = 0.64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no female reproductiv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laucoma. Conclusion: Comprehensive glaucoma screening using an OCT in postmenopausal women could detect more glaucoma patients than prevalence in the similar age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E2 level and the risk of glaucoma.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106-111)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혈중 에스트라디올과 관상동맥 석회화 사이의 연관성: 예비 보고

        전균호 ( Gyun Ho Jeon ),김성훈 ( Sung Hoon Kim ),김소라 ( So Ra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1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서 관상동맥 석회화와 혈청 에스트라디올 수치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 검진을 위해 관상동맥 컴퓨터 단층촬영술을 시행 받은 162명의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관상동맥 칼슘치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CS) 100이상과 100미만의 여성들 간의 혈청 에스트라디올 수치,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들, 요추부와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현재 호르몬 치료 상태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CACS 100이상의 여성과 비교하여 CACS 100미만의 여성에서는 혈청 에스트라디올 수치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27.34±2.96 vs. 13.31±1.10 pg/ml, P=0.030), 평균나이가 유의하게 낮았다 (57.63±0.44 vs. 61.88±1.90, P=0.037). 또한 CACS 100미만의 여성에서 혈청 에스트라디올 20 pg/ml 이상의 빈도 역시 CACS 100이상의 여성들에서 보다 더욱 높은 경향을 보였고 (42.25 vs. 0%, P=0.022), 고혈압의 빈도는 보다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28.17 vs. 62.50%, P=0.053; borderline significant). 하지만, 다중 회귀 분석에서는 고혈압만이 CACS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R 5.831 [95% CI 1.035 to 32.85], P=0.046). 결론: 폐경 여성에서 혈청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관상동맥 석회화의 정도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o estimate whether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is associated with serum estradiol level. Methods: The present study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clinical records of 162 postmenopausal women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for a routine checkup and underwent a multidetector CT scan of the heart. Serum estradiol level, coronary heart disease (CHD) risk factors, current hormone therapy status, and BMD of the lumbar vertebrae and femoral neck were analyzed in women with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CS) ≥100 and <100. Results: Compared to women with higher CACS (≥100), women with lower CACS (<100)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erum estradiol (27.34±2.96 vs. 13.31±1.10 pg/ml, P=0.030) and lower mean age (57.63±0.44 vs. 61.88±1.90, P=0.037). Women with CACS <100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a serum estradiol level greater than 20 pg/ml (42.25 vs. 0 %, P=0.022) and low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28.17 vs. 62.50%, P=0.053, borderline significant). Howeve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ny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ACS except hypertension (OR 5.831 [95% CI 1.035 to 32.85], P=0.046). Conclusion: Serum estradiol level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calcification of coronary artery in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16-22)

      • KCI등재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전균호 ( Gyun Ho Jeon ),김정훈 ( Chung Hoon Kim ),김유진 ( Eu Gene Kim ),김소라 ( So Ra Kim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

        목적: 다낭성난소증후군을 가진 불임여성에 있어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 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불임클리닉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첫 번째 체외수정시술 주기를 완료했던 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환자를 체질량지수 23 kg/m2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분석 후, 다시 23 kg/m2 이상인 군을 23~25 kg/m2인 군과 25 kg/m2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세 군 간에 체외수정시술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가 23 kg/m2 미만인 군과 23 kg/m2 이상인 두 군 간을 비교한 결과 환자의 나이, 기저 혈중 난포자극호르몬농도, hCG 투여 당일 자궁내막 두께는 차이가 없었고, 채취된 난자 및 이식된 배아의 수에서도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체질량지수가 23 kg/m2 미만인 군과 23 kg/m2 이상인 군에서 투여된 유전자 재조합 난포자극호르몬 (recombinant huma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hFSH)의 용량은 각각 1,007.87±391.08 IU와 1,863.64±678.55 IU였으며, 과배란유도 기간은 10.10±1.03일, 11.02±1.80일로 23 kg/m2 이상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임상적 임신율은 체질량지수가 23 kg/m2 미만인 군에서 39.5%, 23 kg/m2 이상인 군에서 27.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0.14), 착상률에서는 각각 17.3%, 7.83%로 23 kg/m2 미만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24). 한편, 23 kg/m2 이상인 군을 다시 23~25 kg/m2인군과 25 kg/m2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세 군간 비교하였을 때에도 각 군간 임상적 임신율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rhFSH 투여 용량, 투여 기간은 25 kg/m2 이상인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착상률은 25 kg/m2 이상인 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경계성 유의성을 보였다 (P=0.069). 결론: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23 kg/m2 이상인 경우 과배란유도에 사용되는 rhFSG 용량 및 투여기간은 증가되고 착상률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체질량지수는 다낭성난소 증후군 환자들에서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BMI) on the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Ninety-six patients with PCOS who completed their first cycle of IVF-ET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ll patients were stimulated by GnRH antagonist multi-dose protoco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one of two groups on the basis of BMI ≥23 kg/m2 vs. BMI <23 kg/m2, and their outcome of IVF-ET was compared. Additionally the patients with BMI ≥23kg/m2 were divided into patient group with 23 ≤BMI <25 kg/m2 and patient group with BMI ≥25 kg/m2, and these three groups were also compared in regard to the outcome of IVF-ET. Results: The total amount and duration of rhFSH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COS women with BMI ≥23 kg/m2 than in those with BMI <23 kg/m2 (P<0.001 in both). The implantat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women with BMI ≥23 kg/m2 (17.4% vs 7.8%, P=0.024). When compared three group divided on the basis of BMI <23 kg/m2 vs BMI 23~25 kg/m2 vs BMI ≥25 kg/m2, similar results were showed in women with BMI ≥25 kg/m2, although implantation rate in women with BMI ≥25 kg/m2 was lower with borderline significance (P=0.069). Conclusion: Obesity (BMI ≥23 kg/m2) has a detrimental effect on implantation rate and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total amount and duration of rhFSH administration for ovarian stimulation in IVF-ET cycle. Consequently BMI may be a predictor for IVF outcomes in patients with PCOS.

      • KCI등재

        자궁절제술이 수술 초기 난소예비력에 미치는 영향

        전성욱 ( Sungwook Chun ),전균호 ( Gyun Ho Jeon ),조현진 ( Hyun Jin Cho ),지용일 ( Yong Il J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

        목적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한국여성에서 수술 초기 난소예비력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후향적으로 자궁절제술 수술 전 규칙적인 월경을 보이던 30-50세 사이의 여성에 대한 의무기록과 검사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총 31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모든 대상 환자는 양쪽 난소수술 없이 예정된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이 중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21명, 복식전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10명이었다. 모든 대상 환자는 수술 전과 수술 후 3일째 Anti-Mullerian hormone (AMH) 검사를 시행받았다. 모든 개별 환자들의 수술 전 후 AMH 농도의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수술 전과 수술 후 AMH의 평균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46±0.49 ng/mL and 2.29±0.43 ng/mL; P=0.200). 수술 전후 유의한 AMH 변화는 없었다(1.17±6.63%; P=0.861). 결론 자궁절제술은 수술 초기 난소예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 ovarian reserve 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after hysterectomy in Korean wom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laboratory data of patients aged 30-50 years with regular menstruation before hysterectomy, and 3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enrolled underwent scheduled hysterectomy with conservation of both ovaries (laparoscopy-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n=21; an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n=10), and received serum anti-Mullerian hormone (AMH) tests preoperatively and 3 days after operation. Changes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MH levels of each patient were calculat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 cant differences between pre-and postoperative AMH concentration (2.46±0.49 ng/mL and 2.29±0.43 ng/ mL; P=0.200). No signifi cant percentage reduction of AMH level existed (1.17±6.63%, P=0.861).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hysterectomy does not infl uence the ovarian reserve 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 KCI등재

        22q11.2 결손 증후군 (DiGeorge 증후군)의 산전 진단 2예

        박성균 ( Sung Kyun Park ),전균호 ( Gyun Ho Jeon ),노현진 ( Hyun Jin Roh ),안송미 ( Song Mi Ahn ),김선권 ( Sun Kwon Kim ),심재윤 ( Jae Yoon Shim ),김성훈 ( Sung Hoon Kim ),원혜성 ( Hye Sung Won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9

        Before the exact location of its chromosomal abnormality was identified, 22q11.2 deletion syndrome was described as many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its presenting clinical features. Patients with this syndrome have a wide range of findings such as card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