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청권 농촌 재생 기술에 관한 연구

        장현석 ( Hyeonseok Jang ),박형근 ( Hyungkeu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2012년 기준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 22,708달러를 넘어서고 있는 현재 우리의 농촌은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농촌활력의 저하 및 과소화 마을의 증가, 도시에 비해 취약한 정주여건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고령 독거 가구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마을 공동화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주거, 수자원 및 도로 재생과 관련된 재생 기술 적용을 목표로 1) 주거 재생기술, 2) 생산시설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3) 도로시설 유지관리 및 재생, 4)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등을 진행하고자 하며, 그림 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재생에너지를 적용한 충청권 농촌지역의 주거, 수자원 및 도로로 연구범위를 제한하였으며, 기존 문헌과 적용가능 기술 조사 분석, 전문가 인터뷰 및 현장조사를 토대로 진행한다. 연구 절차는 첫째, 현재 농촌관련 정책 및 제도 조사를 바탕으로 주거, 수자원, 도로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조사와 함께 사례분석을 한다. 둘째, 지열에너지 등 재생 기술별 적용 가능 범위를 파악하고 단위면적당 사업비를 산정한다. 셋째,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의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을 바탕으로 농촌재생지수를 선정하고 선정된 농촌재생지수를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의 낙후정도와 비교ㆍ분석한다. 마지막으로 Test Bed 선정 및 적용을 통해 시스템의 적합성을 검토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생기술을 적용한 쾌적한 주거, 안전한 도로시설 등 충청권 농촌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림 2와 같이 농촌재생지수를 반영한 농촌재생 진단모형으로 국내 농촌지역을 분석하고 적용 가능한 지역을 선정한 후, 해당 지역에 적합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위 기술을 활용한 통합운영시스템의 구축 및 적용을 통하여 농촌지역의 재생기술 활용을 위한 계획단계에서 유지관리단계까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중량(中良, 中梁)과 중랑(中浪) - 지명의 변화와 공존, 지명 사용의 지리적 맥락 -

        주성재(Sungjae Choo),장현석(Hyeonseok Jang)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6

        이 연구는 서울 동북부의 지명 ‘중랑(中浪)’과 ‘중량(中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 또는 공존하며 사용되었는지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사료 조사의 결과, 고유 명칭은 이 두 가지 이외에 매우 다양한 형태의 한자어로 사용되었고, 지칭하는 지형물의 종류도 포구, 하천, 마을, 교량 등으로 파생되며 발전해나간 것이 발견된다. 이렇게 다양한 지명 사용의 역사는 각 명칭이 가졌던 지리적 맥락과 함께 이해해야 함이 제안된다. 지칭 대상의 공간영역, 영역별로 차별화된 장소 인식, 왕조 통치의 상징성과 위상, 행정관리를 위한 명칭 지정과 지명 표준화의 효과 등이다. 사료 조사에 기반한 통시적 지명 사용 연구의 방법론 정립, 다양한 한자어 채택에 관한 언어학적 연구는 추후 과제로 제시된다. This study was motivated to reveal how the name Jungnang (중랑, 中浪) has been historically used and established with relation to the name Jungnyang (중량, 中梁). An investig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and maps has shown that a wide range of specific terms with various hanja (한자, 漢字) characters were used besides these two names. Objects of naming derived from port to stream, village and brid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istory of this toponymic use should be understood with the geographical context in which each name was situated, including territorial nature of geographical features to be named, perception of place differentiated by territorial segments, symbolism and status related to the dynastic government, adoption as an administrative name and its effect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Two future research topics are addressed; establishing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study diachronic toponymy use in reliance on historical literature and extending into linguistic focus, particularly on the process of adopting various hanja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