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혈뇨 환아에서 고칼슘뇨군과 비고칼슘뇨군의 혈액 및 소변화학검사와 신기능 지표들의 비교

        이진희,이현승,이근영,장필상,이경일,김동언,Lee, Jin-Hee,Lee, Hyun-Seung,Lee, Keun-Young,Jang, Pil-Sang,Lee, Kyung-Yil,Kim, Dong-U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1 No.2

        목 적 : 육안적 또는 현미경적 혈뇨를 주소로 24시간 소변화학검사를 시행한 환아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고칼슘뇨군과 비고칼슘뇨군으로 나누어 두 군의 혈액 및 소변화학검사와 그로부터 계산된 각 용질의 배설량, 청소율, 분획배설 등에 있어서 두 군간에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하였다. 방 법 : 1997년 2월부터 2007년 2월까지 10년간 가톨릭의대 의정부성모병원 소아과에서 육안 또는 현미경적 혈뇨를 주소로 24시간 소변검사를 시행한 환아 중, 단백질 배설량이 4 mg/$m^2$/시간 이상으로 단백뇨가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고, 소변 칼슘 배설량이 4 mg/kg/일 이상으로 특발성 고칼슘뇨증으로 진단 받은 30명과 소변 칼슘배설량이 3mg/kg/일 미만인 비고칼슘뇨군 환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액화학검사, 기본 소변검사, 24시간 소변화학검사로부터 각종 소변 용질의 배설량, 청소율, 분획배설 등을 구하여 두 군간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고칼슘뇨군(30명)과 비고칼슘뇨군(41명)에서 육안적 혈뇨는 각각 24명(80%), 17명(42%)으로 고칼슘뇨군에서 육안적 혈뇨의 비가 높았다. 임의채취뇨의 Ca/Cr 비는 각각 $0.34{\pm}0.15,\;0.15{\pm}0.13$이었으며 고칼슘뇨군 30명 중 28명의 임의채취뇨 Ca/Cr 비는 0.2 이상이었고, 비고칼슘뇨군 41명 중 36명의 임의채취뇨 Ca/Cr 비가 0.2 미만이었다. 혈액화학검사에서 고칼슘뇨군과 비고칼슘뇨군의 혈청 칼슘은 각각 $9.8{\pm}0.5 mg/dL,\;9.5{\pm}0.5 mg/dL$로 고칼슘뇨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33). 24시간 소변의 칼슘농도는 각각 $14.7{\pm}7.7 mg/dL,\;3.3{\pm}2.2 mg/dL$로 고칼슘뇨군이 유의하게 높았고(P<0.001), 칼슘배설량도 각각 $6.1{\pm}2.9 mg/kg/$일, $1.5{\pm}0.9 mg/kg/$일로 고 칼슘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크레아티닌 청소율로 구한 사구체여과율은 각각 $93.7{\pm}31 mL/min,\;79.5{\pm}32.0 mL/min$로 고칼슘뇨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48). 24시간 소변의 요소농도는 각각 $797{\pm}316 mg/dL,\;569{\pm}329 mg/dL$로 고칼슘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015), 요소배설 량도 각각 $341 {\pm}102 mg/kg/$일, $233{\pm}123 mg/kg/$일로 고칼슘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2). 나트륨 배설량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나트륨 분획배설(FENa)은 각각 $1.0{\pm}0.4%,\;1.3{\pm}0.6%$로 고칼슘뇨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29). 소변배설량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소변의 삼투질농도는 각각 $393{\pm}103 mOsm/kg\;H_2O,\;304{\pm}96 mOsm/kgH_2O$로 고칼슘뇨군에서 더 농축된 소변을 보았다(P=0.003). 결론 :고칼슘뇨군의 소변화학검사의 가장 특징적인 소견은 요소 배설과 사구체여과율의 증가로서 이는 고칼슘뇨군이 비고칼슘뇨군에 비하여 고단백식이를 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나트륨과 칼슘은 사구체 여과가 증가함에 따라 원위세뇨관 및 집합관에 도달하는 양도 증가하고 그 곳에서 나트륨의 재흡수 기전이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칼슘의 그 것은 그렇지 못하여 고칼슘뇨증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 향후 고칼슘뇨 환아를 진료함에 있어서 단백질 섭취 등식이 습관의 문진과 함께 식이요법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hypercalciuria patients with hematuria show different renal indices compared to non-hypercalciuria patients with hematuria.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gross or microscopic hematuria whose blood chemistry and 24 hour urine chemistry were examined. After excluding the patients with more than $4 mg/m^2/day$ proteinuria or the patients with urinary calcium excretion between 3 and 4 mg/kg/da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a hypercalciuria group whose calcium excretion was more than 4 mg/kg/day(n=30) and a non hypercalciuria group whose calcium excretion was less than 3 mg/kg/day(n=41). The urinary excretion, clearance, and fractional excretion(FE) of Na, K, Cl, Ca, P, urea, and creatinine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hypercalciuria group had more calcium excretion($6.1{\pm}2.9$ vs $1.5{\pm}0.9 mg/kg/day$), more urea excretion($341{\pm}102$ vs $233{\pm}123 mg/kg/day$), greater glomerular filtration rate(GFR) ($93.7{\pm}31.1$ vs $79.5{\pm}32.0 mL/min$) but lower FENa($1.0{\pm}0.4%$ vs $1.3{\pm}0.6%$) than the nonhyper-calciuria group, although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greater urea excretion and GFR in hypercalciuric patients suggest that they might be on a higher protein diet than the non-hypercalciuria group. The increased glomerular filtration of sodium and calcium induced by the higher GFR in hypercalciuria would have increased their delivery to the distal tubule, where sodium is effectively reabsorbed but calcium is not, which is suggested by the lower FENa but higher FECa in hyercalciuria. It is recommended that the diet of hematuria patients be reviewed in detail at initial presentation and during treatment.

      • SCOPUSKCI등재

        소아 골수이형성 증후군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의 단기간 결과 분석

        이진,김소연,조빈,장필상,정낙균,김학기,Lee, Jin,Kim, Soh Yeon,Cho, Bin,Jang, Pil Sang,Chung, Nak Gyun,Kim, Hack K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3

        목 적 : 소아의 골수이형성 증후군은 드문 질환군으로 예후가 매우 불량하며 화학요법으로는 완치가 어렵다. 유일한 완치요법으로서 조혈모세포이식이 시행되고 있으나 소아의 경우 증례가 적어 이에 대한 체계적 결과 분석이 빈약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골수이형성증후군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증례들의 단기간의 결과와 이식합병증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11월부터 2001년 1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소아과에서 골수이형성 증후군으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1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질환은 CMMoL 5례, RAEB 3례, RAEBt 2례이었고, 이식형태는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 4례, 비혈연간 골수이식이 4례, 제대혈 조혈모세포이식이 1례, 가족간 HLA-부분일치 조혈모세포이식이 1례이었다. 전처치로는 BuCy 5례, TBI+BuCy 2례, BuCy+ATG, TBI+Cy 및 TBI+Melphalan이 각각 1례에서 사용되었다. 결 과 : 1) 10명 모두 생착(100%)되었으며 현재 8명(80%)이 무병생존(3-65개월, 정중 추적기간 11개월) 중이다. 2) 이식전처치로 인한 합병증으로 VOD가 3례에서 관찰되었으나 사망한 예는 없었다. 3) II-III도의 급성 이식편대 숙주병은 5례(50%)에서 발생하였으며 II가 4례, III가 1례이었다. 급성 이식 편대 숙주병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4) 전체 환아 10례 중 3례에서 이식 후 재발되었으나 1례는 화학요법 후 조혈모세포구제술에 의하여 현재 무병생존 중이며 2례는 사망하였다. 결 론: 소아 골수이형성 증후군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은 질환을 완치시킬 수 있는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아직 증례가 적고 추적기간이 짧아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In most cases, myelodysplastic syndrome(MDS) transforms into a more aggressive state or acute myelogenous leukemia; it's prognosis is very poor. It is believed tha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SCT) is the only curative treatment of MDS, but available data in children are very sparse. In this report, the short term outcome of HSCT in childhood MDS was analyzed. Methods : Ten children with MDS(CMMoL 5, RAEB 3, RAEBt 2) underwent HSCT(HLA-matched sibling transplantation 4, HLA-matched unrelated transplantation 4, cord blood transplantation 1, HLA-mismatched familial transplantation 1) between November 1995 and January 2001 at St. Mary's Hospital.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11 months. Results : Engraftment was successful in all cases and 8 patients are alive without disease. Three cases of VOD were observed and improved without complication. Four cases of grade II and 1 case of grade III acute GVHD were observed and well controlled with treatment. Three patients relapsed after transplantation. One patient is alive without disease after cytoreduction with allogenic stem cell rescue and 2 patients died of relapse. Conclusion : HSCT is a curative strategy of MDS and the survival rat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adults. But there is an obvious need for more studies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patients and the short duration of the follow-up.

      • KCI등재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아에서 병발한 혈구 탐식성 조직구 증식증 1례

        황자영,노석만,이진,장필상,김영훈,김진택,이준성,Hwang, Ja Young,No, Suk Man,Lee, Jin,Jang, Pil Sang,Kim, Young Hoon,Kim, Jin Tack,Lee, Joon S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본 저자들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와 미만성 증식성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된 남아의 치료과정 중 발열과 혈구 감소증이 지속된 환아에서 이차성 혈구 탐식성 조직구 증식증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is a react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a generalized non-malignant histiocytic proliferation with prominent hemophagocytosis by stimulated histiocytes in the bone marrow and reticuloendothelial systems resulting in pancytopenia and liver dysfunction. Several diseases including infection, malignancy and autoimmune disease are known to be causative disorders. This case demonstrated histiocytic hemophagocytosis in the bone marrow, resulting in pancytopenia during treatment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did not show any underlying disease.

      • CD30 활성화에 의한 호산구 자멸사에서 caspase-9 의 매개작용

        이혜진 ( Hye Jin Lee ),이근영 ( Keun Young Lee ),김유진 ( Yoo Jin Kim ),장필상 ( Pil Sang Jang ),윤종서 ( Jong Seo Yoon ),김현희 ( Hyun Hee Kim ),고영률 ( Young Yull Koh ),김진택 ( Jin Tack Kim ),이준성 ( Joon Sung Lee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2

        Purpose: Although CD30 is known to be expressed more on eosinophils undergoing apoptosis, it is still not known how CD30 activation leads to eosinophil apoptosis. In this study, we evaluated whether ligation of CD30 incites apoptosi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mechanisms of CD30 induced eosinophil apoptosis are dependent on caspase activation. Methods: We drew 90 mL of peripheral blood from healthy donors and then purified eosinophils using a MACS system. Expression of CD30 on eosinophils was measured, and eosinophils were cultured in wells pretreated with anti-CD30 mAb, isotype control immunoglobulin G1, interleukin (IL)-5, and dexamethasone in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media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Their rates of apoptosis were then compared using flow cytometry. To evaluate whether caspase-9 is involved in CD30-induced eosinophil apoptosis, the apoptotic rate was evaluated after the addition of caspase-9 inhibitor. The expression of procaspase-9 was also measured using Western blot. Results: Expression of CD30 molecules on eosinophils increased steadily as the culture time lapse. The apoptotic rates of eosinophils cultured in the presence of anti-CD30 mA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29.1±6.1% and 47.3±4.7% compared to 17.1±6.7% and 29.4±9.2% of the control at 4 and 24 hours, respectively (both P<0.05). The apoptotic rates of eosinophils treated with anti-CD30 mAb were even faster than those of eosinophils treated with dexamethasone, and the mAb also suppressed the IL-5-induced enhancing effect of eosinophil survival. Caspase-9 inhibitor suppressed mAb induced eosinophil apoptosis from 54.8±6.9% and 71.5±11.6% to 24.5±6.0% and 47.8±11.4% at 18 and 36 hours, respectively (both P<0.001). We also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of procaspase-9 with mAb was diminish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and of IL-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CD30 activation enhances eosinophil apoptosis, and the effect is mediated by caspase-9 activatio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115-122]

      • KCI등재후보

        재발한 급성 괴사성 뇌병증 1례

        윤종서(Jong Seo Yoon),박소현(So Hyun Park),김동언(Dong Un Kim),김영훈( Young Hoon Kim),이 진(Jin Lee),장필상(Pil Sang Jang),김진택(Jin Tack Kim),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2

        저자들은 15개월에 급성 괴사성 뇌병증을 않았던 4세 남아에서 발열 및 경한 상기도 감염의 증상 후 갑자기 의식이 나빠지고 전신발작을 일으키며 뇌 MRI상 T2 강조영상에서 고 신호 강도를 보이는, 양측 시상을 대칭적으로 침범하는 원형의 병변이 관찰되었던 재발된 급성 괴사성 뇌병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4-year-old boy showed two episodes of encephalitis/encephalopathy involving disturbed consciousness, convulsion, and paresis associated with the elevated levels of protein and no pleocytosis of the cerebrospinal fluid. MRI studies of the brain revealed symmetrical lesions in the brain stem and thalamus at the first episode, and their sizes were regressed. The lesions were enlarged to the previous size in the second episode. These episodes were not followed by an elevation of the anti-viral antibody titer. In the second episode, intravenous methylprednisolone therapy and intravenous immunoglobulin therapy were introduced.

      • 소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200예의 분석 : Single Center Study

        김학기,조빈,정낙균,정대철,장필상,김선영,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연구배경: 1983년 11월부터 2000년 9월까지 시행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성적을 분석하여 소아 골수이식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3년 11월부터 2000년 9월까지 가톨릭의대 조혈모세포이식센터, 성모병원 소아과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200예를 대상으로 조혈모세포이식의 유형 및 대상질환, 이식 당시의 상태 및 전처치에 따른 치료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200예 중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이 146예(73%),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 이외의 이식이 54예(27%)였다. 1)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 146예 중 남아와 여아가 각각 78명과 68명이었으며 SAA 50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95.8±2.9%였고 AML 45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71.7±7.0%로 일차 및 이차 관해기에 이식 받은 40예와 5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3.6±7.2%와 60.0±21.9%였다. AML에서 전처치로 Bu/Cy를 사용한 28예와 TBI/Cy를 사용하였던 9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81.9±7.4%와 33.3±15.7%였으며 Bu/Cu/TBI를 시행한 8예의 무병 생존율은 80.0±17.9%였다. ALL 33예의 5년 이상 무병 생존율은 75.5±7.5%였고 일차 및 이차 관해기에 이식을 시행하였던 18예와 14예의 무병 생존율은 각각 83.0±9.0%와 71.4±12.1%였다. CML 및 MDS 11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72.7±13.4%였다. 기타 질환으로는 Fanconi 빈혈 2예, 혈구탐식성 조직구증식증 2예, 순적혈구 빈혈 2예, Kostmann 증후군이 1예로 이들의 전체 무병 생존율은 85.7±13.2%였다. 2)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 이외의 이식을 시행하였던 54예의 3년 이상 무병 생존율은 45.3±11.6%였으며 HLA-일치 UBMT 26예, CBSCT 15예, 형제 이외의 혈연에 의한 골수이식이 13예로 이들의 무병 생존율은 각각 56.2±10.8%, 58.2±13.1%, 35.9±17.3%였다. 결론: 소아 난치성 혈액질환의 완치요법으로 동종 골수이식의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종 조혈모세포의 공여원으로 비혈연간 골수나 제대혈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n children in 1983. Since then the number of children receiving transplants has increased steadily. Methods: We analyzed two hundred pediatric cases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etween Nov. 1983 and Sep. 2000 in Cathol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of Korea. Results: HLA-matched sibling transplantations were performed in 146 cases (78 males, 68 females, median age; 10 years) with median follow-up of 47 months. The 3-year estimated event-free survival (EFS) of ALL and AML was 76% and 72% respectively. The 5-year estimated EFS of severe aplastic anemia and CML/MDS was 96% and 73% respectively. The 2-year estimated EFS of nonmalignant rare disease was 86%. Twenty-six children underwent unrelate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UBMT), 15 cord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CBSCT) and 13 familial haploidentical transplantation (FHT). There were 35 males and 19 females with a median age of 6.5 years and median follow-up of 18.5 months. The estimated 2-year EFS of UBMT, CBSCT and FHT were 56%, 58% and 34% respectively. Conclusion: HLA-matched sibling allogeneic BMT showed better survival in children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disorder compared to UBMT and CBSCT. Recently, transplants using alternative stem cell source are increasing due to lack of suitable matched sibling donor and continuous efforts for reducing transplant-related complications are warranted for improving survival.

      • Limiting Dilution Assay를 이용한 Long-term Culture-Initiating Cells의 정량

        성기웅,유경하,고상혁,윤계진,장필상,강형진,이준아,한효정,최형수,유은선,구홍회,신희영,안효섭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7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2 No.1

        연구배경: LTC-IC는 5주간의 장기액상배양 후에도 집락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하며 조혈모세포의 이식능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세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Limiting Dilution Assay를 통해 LTC-IC를 정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제대혈, 가동화된 말초혈 및 골수형을 대상으로 일정수의 단핵구에 포함된 CD34^(+) 세포수, CD34^(+)/38- 세포수, 단기배양시 형성된 집락의 수 및 LTC-IC의 수를 구하였다. LTC-IC의 수는 96-well plate에서의 장기액상배양 및 Poisson 분포를 이용한 limiting dilution assay를 이용하였다. 결과: 10^(5)개의 단핵구에 포함된 CD34^(+) 세포, CD34^(+)/38^(-) 세포수는 제대혈에서 960±493, 43.0±20.0, 가동화된 말초혈에서 720±432, 42.5±18.8, 골수혈에서 2,505±805, 805±305였고, CFU-GM의 수는 제대혈에서 24.6±9.9, 가동화된 말초혈에서 20.7±13.0이었고, LTC-IC의 수는 제대혈에서 10.4±5.7, 가동화된 말초혈에서 5.8±5.3, 골수혈에서 13.9±4.2였다. 결론: 96-well plate에서의 장기액상배양 및 Poisson 분포를 이용한 limiting dilution assay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LTC-IC의 수를 정량하였고 이를 통해 이식후의 장기생착능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 있다. Background: Long-term culture-initiating cells(LTC-IC) are defined as those cells responsible for the presence of clonogenic progenitors in 5-week-old long-term culture. LTC-IC are the best available approximation of stem cells in human. we compared the number of LTC-IC in cord blood(CB), mobilized peripheral blood(PB), and bone marrow(BM) using limiting dilution assay(LDA). Methods: Samples were obtained from CB, mobilized PB, and BM. Mononuclear cells(MNC) and CD34^(+) cells were separated by ficoll-hypaque centrifugation and method using immunomagnetic beads, respectively. Flow cytometric analysis was done for determination of CD34^(+) and CD34^(+)/38 cells. Clonogenic progenitors were assayed in methylcellulose media. For LDA, MNCs or CD 34^(+) cells were seeded onto irradiated murine stromal feeder layer in 96-well plate at 3~5 different cell concentrations. Wells that did not contain cobblestone area after 5 weeks of culture were counted and the number of LTC-IC was determined using Poisson distribution. Results: The number of CD34^(+) and CD34^(+)/38^(+) cells per 10^(5) MNCs in CB, PB, and BM were 960±493, 43.0±20.0, 720±432, 42.5±18.8, and 2,505±805, 805±305, respectively. The number of CFU-GM per 10^(5) MNCs in CB and PB were 24.6±9.9 and 20.7±13.0, respectively. The number of LTC-IC per 10^(5) MNCs in CB, PB, and BM were 10.4±5.7, 5.8±5.3, and 13.9±4.2,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is report, we successfully determined LTC-IC frequencies using LDA with long-term culture system. Determination of LTC-IC frequencies is useful for measurement of long-term in vivo repopulating pot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