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학습 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장진아(Chang, Jina),송진웅(Song, Jinwoong),정용재(Joung, Yong Ja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8 교과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이루어진 온라인 학습 공동체에 대한 70편의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초·중등 온라인 과학 학습 공동체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 주제, 방법, 대상별로 기존 연구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된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유형과 특징, 학습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참여 모습을 분석하거나, 프로그램을 설계·적용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대학생, 교사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았다. 특히 참여 대상의 특징은 공동체 유형과 연결되었는데, 교사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주로 ‘자발적’ 학습 공동체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주로 ‘전략적’ 학습 공동체를 많이 분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비해 초·중등 교육이나 교과 교육 분야에 대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온라인 학습 공동체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이 공동체의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개방성·폐쇄성’, ‘구성원들 간의 수평적·위계적관계’, ‘정서적 친밀감의 효과’ 문제에 대해 기존 연구들의 상충된 관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헌 분석 결과와 이론적 논의들을 토대로 초·중등 온라인 과학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 ‘온라인-오프라인 의존성’, ‘공동체 참여의 개방성’, ‘학습 구성의 자율성’, ‘시스템 운영의 자율성’, ‘학교 과학 교육에 대한 독립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70 studies related to ‘online learning communities (OLCs)’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7 as a basis for implementing meaningful online learn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aim, we investigated research themes, methods, participants, the features of OLCs and the factors related to online learning. As a result, a great deal of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for analyzing the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the programs for OLCs. The main targets of OLCs’ research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ifferent types of OLCs. In details, the ‘voluntary’ learning communities usually consisted of teachers and adults, and the ‘strategic’ learning communities usually consisted of college students. In contras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for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of OLCs, some conflicting views were found in terms of ‘openness or closeness of the community’, ‘horizontal or 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s’,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imacy.’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we suggested the five area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organizing OLC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he extent of depend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e extent of openness in participating in OLCs; the extent of autonomy in learning organizations; the extent of autonomy in system organization; the extent of independence from school science education.

      • SCOPUSKCI등재

        ‘소리의 전달 과정’에 대해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이 구성한 과학적 그림의 설명 유형과 표상 수준 분석

        장진아(Jina Chang),박준형(Joonhyeong Park),박지선(Jisun Park)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소리의 전달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영재 학생들이 구성한 과학적 그림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 6학년 과학영재 수업에 참여하는 18명의 학생들이 구성한 과학적 그림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소리굽쇠의 소리가 우리의 귀까지 전달되는 과정을 그림으로 설명하였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소리 전달 과정의 핵심 요인인 ‘공기입자’와 ‘공기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그림들을 유형화하고 각 그림 유형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된 소리 전달의 개념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기입자 간의 충돌은 나타내었지만 충돌로 인해 공기입자가 소리의 전파방향으로 앞뒤로 진동하는 것을 개념화하지 못한 유형이 가장 많았다. 예를 들어, 공기입자의 진동을 입자 자체의 떨림으로 표현하거나, 공기입자들이 말 그대로 물건 건네듯 진동을 전달하는 모습을 표현한 사례도 발견하였다. 끝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이 가진 소리에 대한 대안개념과 이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student-generated drawings to foster their understanding of sound transmission. In this regard, eighteen student-generated drawings constructed by the fifth and sixth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ents were asked to draw and explain sound transmission between a tuning fork and our ears. The researchers classified the types of student-generated drawings by focusing on ‘air particles’ and ‘their interactions’, which are invisible, and key ideas of sound transmissions, and then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students’ conceptions, as visually expressed in each type. Consequently, most students focused only on the collisions among air particles, the medium transmitting sound, without conceptualizing the particle vibrations, i.e., the back-and-forth movements of particles. For example, some students drew that the particles themselves vibrate, or the particles literally transmit vibrations as if handing over an object.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lternative conception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w to teach sound transmission.<br/>

      • KCI등재

        일반 시민의 과학적 참여와 실천 사례 연구: 미세먼지 문제 대응 활동을 중심으로

        장진아 ( Jina Chang ),임인숙 ( Insook Lim ),박준형 ( Joonhyeong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시민의 과학적 참여와 실천 활동 사례들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시민들의 참여와 실천 활동은 ‘문제인식’, ‘정보 수집 및 분석’, ‘공유와 확산’ 단계를 토대로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인식’ 단계에서는 두 참여자 모두 건강에 대한 위협을 느끼며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공공 데이터의 정확성을 의심하며 적극적인 실천을 시작하였다. ‘정보 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 한 참여자는 좀 더 정확하고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정보를 얻기 위해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여 비교한 반면, 다른 참여자는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정보를 얻기 위해 직접 여러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공유와 확산’ 단계에서는 두 참여자 모두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여러 자료를 제작하여 공유하였으며, 다른 이들의 작은 실천과 변화를 통해 공헌감을 느끼며 활동을 지속해 나갔다. 이러한 결과가 시민 과학교육 및 과학 소양 교육 측면에서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qualitatively two cases of general citizens’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responding to fine dust problem. The processes of their scientific actions wer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inductively based on three stages: problem recognition stag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stage, and sharing and spreading stage. As a result, in the ‘problem recognition’ stage, two participants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e fine dust problem as they felt a threat to their health and began to act practically by questioning the accuracy of public data. 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stage, a participant collected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and compared them 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information for her situation. On the other hand, another participant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in person to get the information which is appropriate to his situation. Finally, in the 'Sharing and Spreading’ stage, both participants created and shared various materials based on online environment, and continued their activities with a sense of contribution through others assistanc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civic science education and scientific literacy.

      • KCI등재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교육대학원 초등과학 전공 교사의 인식 사례를 중심으로-

        장진아 ( Jina Chang ),정용재 ( Yong Jae J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 기기 도입이 탐구 활동에서 갖는 여러 가능성과 어려움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초등과학교육 전공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 모둠 토의, 전체 토의, 참여자 면담 등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천체나 작은 생물과 같이 직접 관찰하기 어려운 현상에 대한 관찰 기회가 확대되어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장치에 대한 조작의 부담으로 인해 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초등학교 과학탐구 활동에서 디지털식 측정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디지털식 측정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자료를 모을 수 있으며, 정확하고 정량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들에게 선호되었다. 하지만 새로운 측정 장치로 인해 추가 변인이 생기거나 탐구 활동의 본질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었으며, 교사들은 아날로그식 측정 방식과 디지털 측정 방식 사이에서 자신의 탐구에 대한 신념에 따라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식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다양한 형식의 축적된 자료 수집하여 양질의 과학적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질의 과학적 증거들은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탐구 과정에 대한 의사소통에도 보탬이 된다고 보았다. 넷째, 교사들은 교육용 SNS를 활용하여 탐구 과정에서의 공유와 소통 기회를 확장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진지한 참여와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대화를 통해 적절한 규범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탐구와 스마트 기기의 의미 있는 통합을 위해 교사의 과학교육적 신념에 따른 디지털 기기 활용 방식, 과학탐구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활용 역량의 유형과 특징,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탐구에서 형성되는 학급 규범의 특징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들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caused by using smart technology in school science inquiry. For this, we investigated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by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group discussions, classroom discussions, and participant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to classroom inquiry can open up the various possibilities and can cause additional burdens as well. First, teachers explained that smart technology can expand the opportunities to observe natural phenomena such as constellations and changing phases of the moon. However, some teachers insisted that, sometimes, learning how to use new devices disrupts students` concentration on the inquiry process itself. Second, teachers introduced the way of digital measurement using smart phone sensors in inquiry activities. They said that digital measurement is useful in terms of the reduction of errors and of the simplicity to measure. However, other teachers insisted that using new devices in classroom inquiry can entail additional variables and confuse the students` focus of inquiry. Communication about inquiry process can also be improved by using digital media. However, some teachers emphasized that they always talked about both the purpose of using SNS and online etiquettes with their students before using S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additional analysis on the various ways of using digital devices depending on teachers` perceptions, the types of digital competency required in science inquiry using smart technology, and the features of norms shaped in inquiry activities using smart technology.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수업의 탐구활동에서 형성되는 교실 규범의 특징에 대한 사례 연구

        장진아 ( Jina Chang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과학 수업의 탐구활동 과정에서 어떤 규범이 형성되며 그러한 규범이 탐구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과학 탐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여러 문제들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두 학급의 탐구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 관찰, 학생과 교사 면담, 설문지 등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교실 규범에 대한 이론적 범주로서 생활규범, 범교과 학습규범, 과학탐구 학습규범의 세 가지 범주를 구축하고, 각 범주의 하위 규범들을 귀납적으로 추출하였다. 더불어 각 규범들의 유형과 특징, 그리고 수업 및 탐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교실 규범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학교 과학탐구의 실행 과정에서 직면하는 실질적인 문제로서 첫째, 집단적인 탐구 수행이 갖는 구조적인 어려움, 둘째, 탐구수업의 여러 국면에서 다르게 구현되는 교사의 권위, 셋째, 범교과적인 교육적 가치와 과학 탐구에서의 가치와의 갈등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특징들이 학교 과학탐구의 실질적 실행과 교실 현상을 문화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갖는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assroom norms formed in 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to consider about the actual problems in enacting school science inquiry. Focusing on the inquiry activity cases of two class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student interview, teacher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Firstly, classroom nor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oretically: norms for behavior guidance; general academic norms; and scientific inquiry academic norms. The subcategory norms of each category were extracted inductively and the features, the causes of formation, and the influences on inquiry of each norm were also analyzed. Based on the analyses on classroom norms,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ree actual problems in enacting school science inquiry. First, the collective traits of school science inquiry caused structural problems in science classrooms. Second, teachers used their authoritie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phases of instructions. Third, the conflict cases were reported between general values for education and specific values for science inquir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actices of school science inquiry and of the understanding classroom phenomena.

      • KCI등재

        연구논문 : 문화적 관점에서 학습환경 검사 도구 재해석하기 - 과학 교실문화 이해를 위한 활용가능성 탐색 -

        장진아 ( Jina Chang ),나지연 ( Jiyeon Na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초등과학교육 Vol.34 No.2

        This stud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discussion, reinterprets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from cultural perspectives and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for understanding science classroom cultures. To do this, the existing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first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terms of their features and utilizations appeared in previous studies.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then reinterpreted in the light of culture. Finally, we suggest the possibilities to use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to understand science classroom cul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by interpreting them culturally, could be interpreted in cultural ways and used as the alternative ways to explore science classroom cultures. Second,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such as WIHIC and CLEQ, could be interpreted both along the dimension of phenomena in classrooms and the dimension of students’ psychology in order to investigate science classroom cultures. Third, the instrument items could be interpreted culturally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types of instrument items. Thus, when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used in culture research, the description types should be sufficiently taken into accou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exploring classroom cultures and of culture research.

      • KCI등재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확장현실 기술을 활용한 과학탐구의 특징: IDEA형 과학교사연구회를 중심으로

        장진아 ( Jina Chang ),임인숙 ( Insook Lim ),홍옥수 ( Oksu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1 현장과학교육 Vol.15 No.5

        최근 첨단기술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과학 교육에서도 첨단기술의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실천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 현장에서 첨단기술들이 과학탐구 활동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20년 IDEA형 과학 교사연구회에서 개발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확장현실 기반의 과학탐구 사례들을 탐구 내용 측면과 탐구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탐구 내용 측면에서는 과학지식 영역과 첨단기술의 활용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탐구 방법 측면에서는 과학탐구 기능과 활용된 첨단기술 도구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 내용 측면에서 인공지능은 생명과학 영역의 탐구 활동에 많이 활용된 반면, 사물인터넷과 확장현실은 지구과학 영역의 탐구 활동에, 빅데이터는 전 영역에서 고루 활용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첨단기술의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탐구 과정에 응용하는 활동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다음으로, 탐구 방법 측면에서 첨단기술들은 전반적으로 자료 수집 및 분석 기능,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기능과 접목되어 활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빅데이터가 활용된 탐구 활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의 영향력과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는 의사소통 기능이 강조된 활동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첨단기술을 과학탐구 활동에 의미 있게 접목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the influence of advanced technology, social demands and practical cases to use advanced technology has been increasing in scienc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and current state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using advanced technology. For this, the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developed by the IDEA-type Science Teacher Research Group in 2020 center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ernet of Things (IoT), big data, and extended reality (XR) were analyzed in terms of inquiry contents and methods. As a result, in terms of inquiry content, AI was widely used in the ‘biology’ domain, while IoT and extended reality were used in the ‘earth science’ domain, and big data was used in all domains. In addition, the developed activities usually included activities to learn about advanced technology manipulation as well as its application to inquiry activities. Next, in terms of the inquiry method, the skill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s well as ‘mathematical thinking and using computers’ were applied with advanced technology. Meanwhile, big data was applied with the ‘communication’ skill in discussing the social impact of using big data.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meaningfully applying advanced technology to science inquiry activities.

      • KCI등재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 관점 기반 과학 수업 인식 조사 도구 개발 및 적용

        정용재 ( Yong Jae Joung ),장진아 ( Jina Ch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 관점에서 접근한 학생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도구 개발과,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 관점에서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총 417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a) 6개의 요인(`문제인식Ⅰ: 불일치 인식`, `문제인식Ⅱ: 흥미`, `문제원인설명Ⅰ: 가설설정 및 검증`, `문제원인설명Ⅱ: 협력적 검토`, `문제해결Ⅰ: 대상관계/개념 변화 반추`, `문제해결Ⅱ: 공동체관계/탐구자 변화 반추`)으로 구성된 총 42개 문항의 `탐구수행 과정` 관련 조사 도구와, (b) 3개의 요인(`탐구실행 의지`, `탐구수행 태도`, `의사소통 구조`)으로 구성된 총 17개 문항의 `탐구수행 토대` 관련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과학 수업에 대해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 관점에서 대체로 보통 이상의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었지만, 불일치에 기반 한 문제인식, 탐구자의 변화 및 공동체와의 관계 변화 반추를 동반하는 문제해결, 엄격성과 오류가능성 견지에 기반 한 탐구수행 태도 등 일부 요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탐구 중심의 과학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measuring instrument for perception of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view of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an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with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e study. A total of 417 6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first, we developed two set of questionnaire: (a) the questionnaire for the `process of inquiry` consisted of six factors: `problem recognitionⅠ: recognition of inconsistency,` `problem recognition Ⅱ: interests,` `problem explanationⅠ: hypothesis generation and examination,` `problem explanationⅡ: cooperative review,` `problem solvingⅠ: reflection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 with objects/conceptions,` and `problem solvingⅡ: reflection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 with community/ inquirer,` comprising a total of 42 items; (b) the questionnaire for the `basis of inquiry` consisted of three factors:`will of conducting inquiry,` `attitudes of conducting inquiry,` and `structure of communication,` comprising a total of 17 items. Second, we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positive recognition generally on their science classes in terms of the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but they had relatively negative recognition on the factors of problem recognition based on recognition of inconsistency, problem solving accompanied with reflection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 with objects/conceptions, and attitudes of conducting inquiry based on severity and fallibilism,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the science education were given.

      • KCI등재

        다문화학생들을 위한 과학디지털교과서 구성 원리의 제안 및 교과서 사례 탐색

        강다연(Kang Da Yeon),장진아(Chang Jina),마틴 산야(Martin Sonya 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 기회의 증대를 위하여 디지털교과서의 구성 원리를 제안하고, 구성 원리를 포함한 교과서 사례들을 탐색해 보았다. 먼저, 다문화 배경의 언어학습자들의 교과 학습과 언어학습을 함께 증진하기 위한 수업 모델인 SIOP(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을 바탕으로 다문화학생들을 위한 과학 디지털교과서 구성 원리를 제안하였다. 이 구성 원리를 바탕으로 2015 개정 3-4학년 과학 디지털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교과서는 다양한 표상과 탐구 활동을 제공하는 등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과학 내용을 문화적, 언어적 배경 지식과 연관시키지는 못하고 있었으며, 언어학습 측면을 지원하기에는 미비한 점들이 있었다. 이에 디지털교과서의 공간 확장성을 이용하여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 하였다. 다양한 문화적, 언어적 배경을 고려한 과학 디지털교과서는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을 증진하고 언어학습을 돕는 교육 자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principles for using digital textbooks to expand science learning opportun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using the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SIOP) model. SIOP is a tool for integrating content and language learn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Based on principles adapted from SIOP,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showing how science digital textbook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esenting science concepts and organizing science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we demonstrate how digital science textbooks, which provide various forms of media representation and in q uiry activities can promot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our analysis of grades 3 and 4 textbooks found some limitations as it is difficult to relate some scientific knowledge to multicultural students’ diverse backgrounds and there were some limitations for supporting some aspects of language learning. Building from this analysis, the authors propose ways to support science learn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by using digital textbooks and we discuss the need to improve features of science digital textbooks to expand their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resource that can help multicultrual students learn not only science, but also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