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신체적 기능과 정서 상태

        장정미,강현숙,Chang, Chong-Mi,Kang, Hyun-Sook 한국재활간호학회 2004 재활간호학회지 Vol.7 No.1

        Introduction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in the elderly caused by a fall. Method :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urvey. Its subjects consisted of the 299 elderly over 65 yea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0.0 program package.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core for AD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ll group. 2) Grip strengt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ll group. 3) Lapse of the motion sitting and standing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fall group. 4) One-leg-standing time with the eyes open and closed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fall group. 5) Return time of 3m walk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fall group. 6) The score for dizz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all group. 7) The score for fear for a fall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all group. 8) The score for falls efficac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ll group. Conclusion: ADL, muscle strength, balance, dizziness, fear for a fall, falls efficacy and depression turned out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fall of the elderly.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develop and applicate the fall prevention program regarding these above risk factors.

      • 일개 지역의 아토피 천식 안심학교 실태조사

        장정미 ( Chong-mi Chang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15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16 No.1

        To observe the prevalence rate of allergic diseases, an ISAAC-based survey of 5,301 students in 10 asthma-safe schools was conducted. Out of the recovered 4,925, 4,815 were sampl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asthma, lifetime prevalence of diagnosis was 6.7%, lifetime prevalence of symptoms 11.3%, 12-month prevalence of diagnosis 4.4%, and 12-month prevalence of treatment was 2.4%. In atopic dermatitis, lifetime prevalence of diagnosis was 34.8%, lifetime prevalence of symptoms 24.43%, 12-month prevalence of diagnosis 15.5%, and 12-month prevalence of treatment was 13.1%. In allergic rhinitis, lifetime prevalence of diagnosis was 42.5%, lifetime prevalence of symptoms 47.9%, 12-month prevalence of diagnosis 42.8%, and 12-month prevalence of treatment was 32.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more efficient local health services for a ubiquitous decline of the prevalence allergic diseases, through supervision of patients, improved environments, and education.

      • 재가노인의 낙상과 삶의 질에 관한 구조모형

        장정미 ( Chong-mi Chang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11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12 No.3·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falls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and to examin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model and actual data. Twelve measurable test variables were used to estimate falls and quality of life. They included the internal variables ; falls, quality of life, degre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the external variables ; muscle strength, balance, dizziness, fear of falling, fall efficacy.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 10 out of 18 hypotheses were accep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degree of ADL were balance, fear of falling, and fall efficacy.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falls were balance, fear of falling.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were balance, fear of falling, fall efficacy, degree of ADL and falls. The result showed that 21% of the variance of falls was explained, 26% for quality of life and 65% for degree of ADL. This study had a high power of explanation of falls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because, although 50% of falls are environment related, the model focuses on personal variables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individual.

      •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국내간호연구 동향분석

        장정미 ( Chong-mi Chang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13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14 No.2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acquire the trends of Korean nursing research on the Allergic Diseases. Methods: Total of 22 research articles selected from 17 nursing journals published i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type of allergic disease, title of journal, subject, study design, intervention method, and measuring variables. Results: Allergy-related research is increasing, asthma has the most. Experimental research 5 is all quasi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using Aroma therapy, Educational program, Integrated and specific treatment program, Respiratory nursing program, Social support as nursing intervention. Conclusion: Oriental medical understanding and approach on the allergic diseases help to develop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herefore, continuous nursing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it as one of evidence-based and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s.

      • KCI등재

        보건소 업무 중요도 및 공간 적절성에 관한 연구

        장정미(Chang, Chong Mi),이소은(Lee, So E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과거의 보건소의 기능이 전염병 관리나 가족계획사업과 같은 1차 보건사업에서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보건으로 점차 확대되고 다각화로 변화됨에 따라 보건소 업무에 따른 보건소 공간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으로 유기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보건소의 업무와 프로그램, 이와 관련된 공간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보건소 사업프로그램이 다양해짐에 따라 현재 보건소 업무 중요도와 공간 적절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지역주민의 보건 서비스를 위한 보건소 공간계획에 필요한 기초 자료 및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경기도 소재 지역의 보건소 직원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국내외 정보 D/B 및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와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조사는 보건소에 20년 이상 근무 경력의 직원 3명을 대상으로 Depth Interview 방식을 활용하여 보건소 각 기능과 공간의 특성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설계, 조사, 분석의 순으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에는 논문, 관련서적 및 참고문헌의 선행연구를 통해 보건소 업무 중요도와 공간 구성의 적절성에 대한 고찰과 설문지를 통한 분석 및 보건소 업무공간에 관련한 제언이 포함되어진다. 업무중요도 분석 결과, 업무중요도의 125점(5점) 중 평균 96.15점(3.85점)으로, 이 중 결핵관리가 업무중요도가 가장 높았고, 금연사업, 보건교육, 만성질환 순으로 업무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검진이 업무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타나났다. 공간적절성은 165점(5점) 중 평균 94.55점(2.87점)으로 공간적절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예방 접종실이 공간적절성이 가장 낮고 다음은 방문보건실, 민원실 순으로 공간적절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의 중요도와 공간 적절성을 현재 보건소에서 운영 중인 조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질병관리와 행정사무를 제외한 의료검사, 건강증진, 지역보건, 감염병 관리는 업무의 중요도와 공간적절성이 역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 중요도에 비해 공간은 협소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보건소에서 업무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고 공간이 기획되어진 것으로, 향후 보건소 공간 계획 수립 시 업무 중요도를 고려한 공간 배분과 지역 사회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공간 계획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the past, community health centers used to engage in primary health projects including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and family planning. Today their functions have become extensive and diversified gradually for the health of residents in the community. It is time to initiate discussion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space in community health centers according to their tasks. There is a rising need to investigate the tasks and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which have been developing organicall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ncerned space. The reality, however, indicates poor research efforts for the topic.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of curren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ly diverse projects and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providing basic data and guidance needed to make space plans for community health centers to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better health service. The study employed the survey technique for its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6 staffer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It was accompanied by literature study on the information databases, papers, and publications including books home and abroad and also a primary preliminary study, which involved three staffers with a career of 20 years or longer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a depth interview and classified the functions and spatial feature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results were then used in questionnaire design, survey, and analysis in the order.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esent study encompassed papers, related books, and references in previous studies, investigations into the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tial composition of community health centers, analysis of questionnaire responses, and proposals for the working space of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analysis results of task importance show that they scored mean 96.15 points(3.85 points) out of 125(5) and that tuberculosis management recorded the highest task importance, being followed by anti-smoking projects, health education, and chronic diseases in the order. Checkup recorded the lowest level of task importance. The appropriateness of space was low at mean 94.55 points(2.87 points) out of 165(5). The vaccination room recorded the lowest level of space appropriateness, being followed by the visiting healthcare room and the civil service room in the order. The study then analyzed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that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were currently running and found inverse correlations between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in medical examination, promotion of health, local healthcare,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Disease control and administrative affairs were exception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some important tasks were given small space. Tho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made spatial plans without taking task importance into consideration. They will serve as basic data in future spatial plan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to allow for spatial allocation according to task importance and spatial planning for organic connections with th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수면장애에 관한 동서의학적 고찰 및 국내 간호연구 분석

        전상희 ( Sang Hee Chun ),장정미 ( Chong Mi Cha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문헌고찰을 위주로 하는 연구는 특정 건강분제에 대해 이론 적 근가를 제공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방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와 함께, 그 주제에 대한 경향을 파악할 수도 있고, 각종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신뢰도가 높은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영구는 이러한 목적으로 수면장애에 대한 문헌을 동서의학적으료 고찰하고, 국내 수면간호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수면 장애를 가진 대 상자들에게 효과적인 중재 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수면장애에 대한 동양의학적 고찰을 통해 불면과 기면이 건강에 중요한 요소로 고금(古今)의 의서에 나티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면장애를 위기(衛氣)의 작용으로 보고 약물과 침구(鍼灸), 정신심리치료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음영의 균형과 조화를 회복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부자리의 두께나 조명과 같은 물리적 수면환경과 함께 잠을 잘 때의 올바른 자세 등에 대해서도 그 이유와 함께 언급하고 있어 앞으로 다 학제적 접근을 통한 수면장애 중재방볍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 하고 있었다. 서양의학적 고찰을 통해서는 수면의 이유와 충분한 수면량 수면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간 등에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뇌파검사와 같은 각종 현대과학기술 방법을 통해 개인의 삶 에서 1/3을 차지하는 긴 시간동안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 들을 알아냄으로써 다얀한 수면장애의 종류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약물치료의 부작용을 보완하고자, 대체요법을 포함하여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앞으로 수면의학의 분야가 더욱 확대될 젓이며, 이 분야에서 간호사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리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었다.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 수면 관련 국내 간호연구 분석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수면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2000년 이후에는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실험 설계의 연구들이 급증하고 있고, 제공된 간호중재는 발반사,향요법, 마시지, 수지요법, 이압요법 등과 같은 한방대체요법을 위 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 설계와 비실험 설계 모두 환자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환자와 노인이 수면과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대상자로 연구된 것은 환자 와 노인이 환경적으로 생리적으로 수면과 관련된 많은 문제를 유발할수 있는 취약계층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 대상자 수는 실험 설계 중 36-40``정으로 한 연구가 가 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Cohen (1988)의 power analysis틀 근거로 유의수준의 효과크기와 검정력을 고려하여 대상자수를 선정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험 설 계에서 20명 이하의 대상자로 이루어진 연구와 70명 이상의 대상자로 이루어진 연구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실험 설계 중 대 조군이 없이 단일군으로 반복 측정 혹은 전후비교를 한 연구는 Cohen(1988)의 power analysis틀 근거로 유의수준의 효과크기와 검정력을 고려하였을 때 20명 이하의 대상자로도 충분하고, 실험군을 2개의 집단으로 하고 대조군이 있는 설계를 하여 수행된 연구들은 70영 이상을 대상자로 하여야 Cohen (1988)의 power analysis를 근거로 유의수준의 효과크기와 검정력이 고려되므로 이러한 점에서 대상자의 수를 선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실험설계로 진행된 36편의 연구 중에서 순수 실 험 설계로 이루어진 연구는 전혀 없고, 단일군 설계로 진행된 연 구는 11편(30.6%)으로 실험설계의 1/3을 차지하였는데 이러한 연구 설계는 무작위와 대조군이 없이 진행된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된다. 수면관련 측정 변수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수면양상이 가장 많이 측정한 변수로 나타났는데, 수면관련 변수 중 수면양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용된 도구는 4개의 하부요인인 수면양상, 수면평가, 수면결과, 수면저해요인으로 구분하여 Oh,Song과 Kim (1998)이 연구하여 개발된 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This study is to summarize of Western-Eastern books and articles on sleep disturbances and to analyze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in Korea. Methods: The Western-Eastern books and articles on sleep disturbance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70 articles published from 1981-2008 of Korean nursing research about sleep disturbances were reviewed using a structured form, Results: In Oriental medicine, the main cause of sleep disorder is unbalance of Yin and Yang, the treatments are herb therapy, acupuncture, moxibustion, psychotherapy, sleep hygiene, etc. In Western medicine,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 is dyssomnia, parasomnia, mental/neurologic or other medical disorders, proposed sleep disorder and the treatments are pharmacotherapy, cure treatment of sleep hygiene, ca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 number of nursing research and experimental study about sleep disorder in Korea is increasing. The most common subjects were hospitalized patients and the elderly, Of the 34 experimental studies, foot reflexology was the most commonly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Conclusions: Nurses should concern more on patients` or clients` sleep disturbances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This literature study is useful for the access to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sleep disturbances.

      • 재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정화,강현숙,김원옥,왕명자,장정미,Kim, Jeong-Hwa,Kang, Hyun-Suk,Kim, Won-Ock,Wang, Myung-Ja,Chang, Chong-Mi 한국재활간호학회 2006 재활간호학회지 Vol.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Stroke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249 Stroke Patients who had visiting at the hospital and health care center. The research tools were FIM, CES-D, ATD PA, Quality of life Scal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program in which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used examina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Resul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FIM and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physical disabilit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IM and depression and physical disability. Depress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ith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d depression and to improve patients physical functional status in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