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모색

        장재홍 ( Jae Hong Jang ) 한국응용경제학회 2009 응용경제 Vol.10 No.2

        이 글에서는 지역정책이 헌법적 기초를 갖는 국가 정책 의제 중 하나라는 점, 그리고 그것은 지역간 경제적 수렴을 위한 차등화 정책을 의미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클러스터 정책 틀은 여전히 유효하며, 이를 토대로 인프라 정책을 보완한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참여정부 지역정책의 문제점을 조감하고 신정부의 정책이 참여정부의 정책과 다른 점, 광역경제권 구상 및 기초생활권 구상, 초광역개발권 구상 등 신정부 주요 정책의 쟁점, 향후의 지역정책 기조 및 신정부 지역정책 보완 방향, 수도권 규제 완화 관련 주요 연구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I presented a definition of regional policy as the policy for inter-regional economic balance through the catching-up process of lagged regions. On this definition the regional policies of the previous Roh Moo-hyun government and the present Lee Myung-bak government were compared. I argued that the cluster-based policy framework is still valid but should be complemented with infrastructure policies for the better policy-mix. The relationship betwee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other regions, and the needed areas of future study were also presented.

      • KCI등재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장재홍(Jang Jae hong),박인우(Park Inn 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s of the various forms of learner interaction on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SNS-based Instru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publ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nd only 107 data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the non-response and insincere response. The SNS-based Instruction used questions, answers, discussions, real-time data sharing, assignments, and vo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 SNS-based Instruction, the effect of learner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learning flow. Secondly, learner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mediated by learning flow. Thirdly, learning flow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Fourthly, learner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learning outcomes mediated by learning flow. Fifthly, learning flow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NS-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study the educational use of SNS. 본 연구는 SNS 활용 수업을 통해 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각 변인간의 구조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경기도 도시에 소재한 공립초등학교 6학년 135명으로 하였으며, SNS 활용 수업 후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 중 무응답 및 성실하지 않은 응답을 제외하고 총 107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SNS 활용 수업은 질의·응답, 토의·토론, 실시간 자료 공유, 과제 제출, 투표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에 정적인 영향(.83)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상호작용은 학습 몰입을 매개하여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69)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84)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상호작용은 학습 몰입을 매개하여 인지된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7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몰입은 인지된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9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중등 교육현장에서 SNS 활용 수업의 효과성 탐색이 필요하며, SNS 활용방법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장재홍 ( Jae Hong Jang ),고유정 ( Yujung K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다양한 경로의 미디어가 쏟아내는 막대한 양의 정보, 높은 미디어 사용시간으로 인해 청소년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의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영향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의 잠재집단 및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종단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 연구(BELS) 제 2차년도(2017년), 3차년도(2018년) 데이터 사용하였고, 부산광역시 소재 중2, 중3 중학생 266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 잠재집단은 두 시점 모두 4개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으로 나누어졌으며, 학년의 종단적 변화에 따라 학생들의 미디어 비판적 사고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많을수록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이 높은 집단에 속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독서활동이 많을수록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이 높은 집단에 속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토의·토론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이를 즐기는 태도를 가질수록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이 높은 집단에 속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이 매우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으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토의·토론에 대한 태도 향상이 중요하였다. 다섯째, 국어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이 높은 집단에 속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의 종단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 증진을 위한 제언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adolescents is being emphasized due to the huge amount of information pouring out from various media channels and the high media usage time among adolescents. However, systematic research on examining the level of adolesc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on media and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on the ability is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to identify latent groups, longitudinal changes of adolesc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on media, and factors affecting the ability. For the study,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BELS)’s 2nd year (2017) and 3rd year (2018) data, which included 2,663 of 2nd and 3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 Results showed that potential groups for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on media were divided into four potential profile types at both time points, and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on media improved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change of grade. The students tend to belong to the group with high critical thinking ability on media when they communicate more with their parents; they are engaged in more reading activities;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and enjoy debate and discussion; and they score high on Korean language learning achieve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enhancement in debate and discussion attitude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transit from low to high group and that Korean language learning achievement was a common factor influencing longitudinal changes in critical thinking ability on media. The current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on media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워싱턴 컨센서스 이후의 지역정책 논의 동향과 시사점

        장재홍(Jang, Jae-Ho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3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른바 워싱턴 컨센서스에 입각한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성찰 위에 지역정책의 논거와 추진방향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특히 지역 간 차별화의 타당성에 대한 세계은행과 EU 및 OECD의 대립, 크루그먼(P. Krugman)의 신경제지리학(NEG)의 유용성에 대한 자기비판, 클러스터 정책의 보편화 및 유효성에 대한 비판 등 중요한 이론적, 정책적 논쟁이 진행 중이다. 본고에서는 최근의 지역정책 논의 동향을 개관하고, 세계은행과 EU/OECD 간의 논쟁을 정리한 다음 지역정책의 정체성, 적정 공간 범역, 지역발전의 형평성과 효율성, 지역 간 차별화 방향 등의 관점에서 논평하였다. 이러한 논평에 입각하여 향후 지역정책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 제언하였다. 지역정책의 위상 확립과 패러다임 재정립, 광역경제권 전략 추진 기반 강화 등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발전위원회의 위상 및 기능 강화, 중앙부처간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이 선결과제이다.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2009, the neo-liberalist paradigm of economic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Washington Consensus has been criticized and a chorus of voices began to proclaim that it has ended. In regional policy area the World Bank published an important report based on the Washington Consensus view and the EU/ OECD also published a few important reports based on the Post-Washington Consensus policy framework in 2009 and 2010. In addition P. Krugman self-critic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NEG in 2011 which is a theoretical basis of the World Bank report.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recent trends in regional policy and evaluate the debates between the World Bank and the EU/OECD on the rationale and the framework of regional policy. I made a few suggestions on the future framework of the Korean regional policy; establishing the status of regional policy in the national policy agenda, strengthening the basis of the 5+2 Economic Region development policy, enhanc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cluster policy.

      • KCI등재

        특수대학원 재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영향요인

        민홍기(Hong Gy Min),장재홍(Jae Hong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특수대학원 재학생의 학업지속과 영향요인을 탐색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K대학 특수대학원 소속 11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으로 개인적 측면에서는 심리적 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을, 배경적 변인인 성별, 연령, 학기를, 환경적 측면에서는 교수-학생 관계, 동료학습자의 사회적 지지, 학교의 교육서비스 질을 영향요인으로 설정하여 학업지속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은 특수대학원 학생들의 학업지속의향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대학원 학생들의 성별과 재학 학기는 학업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연령의 차이에 따라 학업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셋째, 동료 학습자의 사회적 지지는 학업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과 학교 교육서비스 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을 촉진하고, 동료학습자들과의 관계 형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및 활동의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특수대학원생들이 학업을 지속하려는 의지를 더욱 강화하고, 학문적 성공과 경력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cademic persiste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graduate students in special graduate schools.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13 participants affiliated with the special graduate school of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Specifically,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immersion a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gender, age, and semester as background variables. At the environmental level, factors such as the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social support from peers,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school were set as influencing factor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se variables affect the intention for academic persistence. Results First,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immersion were found to have a consiste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for academic persistence among graduate students in special graduate schools. Second, gender and semesters of stud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academic persistence among special graduate school students. However, age difference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for academic persistence. Third, social support from pe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academic persistence. However,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scho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Conclusion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activities that enhance students' self-efficacy and major immersion, and suppor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fellow learners, has been identified. Furthermore, recommendations have been proposed to strengthen the determination of graduate students in special graduate schools to persist in their academic pursuits, and to foster academic success and career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