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법(灸法)과 intense pulsed light(IPL)의 특성 비교 및 광선구(光線灸)의 한방임상(韓方臨床) 활용(活用)

        장인수,선승호,남동현,금수연,서형식,Jang, In-Soo,Sun, Seung-Ho,Nam, Dong-Hyun,Kum, Su-Eun,Seo, Hyung-Sik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0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3 No.3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inciples between moxibustion and the 'Intense pulsed light (IPL)' an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photo-moxa for the Korean medicine fields. Methods : The characteristics of moxibustion, IPL, parabolic reflector moxa and the dermatology surgical use of moxibustion were reviewed in the literature. Results : IPL is one type of light treatments that is employed by radiating the short-pulse wave, which is transformed from the light of high intensity. There has been used parabolic reflector in Asia for more than 2,000 years, and this hand-held device used for moxibustion in traditional medicine. Moxibustion is one of the treatment tools in Korean medicine using the heat energy. The fluence or energy density of IPL in clinical circumstances is similar to parabolic reflector moxa of moxibustion. IPL and parabolic reflector moxa shared same treatment principle employing the heat energy. Therefore IPL could apply for many indications in Korean medicine as a moxibustion tool and acupuncture. Conclusions: IPL may be plausible to be a fascinate method in phototherapy of Korean medicine.

      • KCI등재

        현대문학 : 구자운 시의 상징과 그 변모 과정

        장인수 ( In Su Jang )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9

        구자운 시의 문학사적 의의는 대부분 1950년대 그가 썼던 도자기 시에서 해명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1960년대 그의 시에 나타난 사회적 관심과 실존적 절망, 세계 보편성의 확보에 대한 관심은 소홀히 다루어졌다. 구자운의 시 세계를 통시적으로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상징법`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그의 분신으로서 도자기, 실솔, 바다, 목애 등을 내세우는 독특한 상징법을 활용했다. 1950년대의 도자기 상징은 그가 『현대문학』의 전통주의 펌핑 메커니즘의 영향 속에서, 그리고 자신의 신체적 불구에 대한 보상 심리에서 만들어낸 것이다. 4·19 이후 그는 `60년대사화집` 동인에 가담하면서 전통주의 노선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정치적·실존적 자유에 대해 노래했다. 그 과정에서 실솔, 바다 등의 상징을 만들어냈다. 1960년대 그는 시적 이상과 현실적 가난 사이에서 매우 힘들어했다. 그는 여대생 목애와의 연애를 통해 예술적 구원을 찾는다든지 다솔사에 머물면서 종교적 구원을 찾는다든지 했다. 비록 그 시도들이 현실도피적인 데로 흐른 탓에 모두 실패하고 말았지만, 그의 `상징법`은 한국시나 동양시를 넘어서 세계 보편성을 획득하기 위한 일관성 있는 고투의 산물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구자운의 사후 출간된 전집은 그의 유고 발굴을 통해 그가 다시 동양시로 회귀하고 있는 듯한 오해를 널리 퍼뜨렸다. 사실 만년의 구자운은 동양적인 시들을 여전히 서랍 속에 묵혀둔 채 죽음의식을 담은 시들을 발표했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의 구조적 의미는 미구에 닥칠 절대적 불행에 비추어서만 현재적 삶의 가치를 찾아내는 우울증적 전치에서 찾을 수 있다. 도자기 시들이 불구에 대한 보상 심리에서 나온 일종의 우울증적 산물이었던 것과도 일맥상통하는 구조이다. To understand diachronically about Gu Ja-wun`s poetry, we need to have concern for his poetical symbols. He had a keen interest in the poetical symbol. For example he made use of ceramics, cricket, sea, girl. His symbol of ceramics in 1950s` had made by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alism that had represented by pumping mechanism of Contemporary Literature, and under the compensation for his physical disability. After 4·19 he got out of the traditionalism, and he participated in 1960s` Anthology. Through the symbol of cricket and sea, he sung the political freedom and the existential freedom at that time. In 1960s` his soul was filled with suffering because of poverty. He made a desperate attempt to find the redemption in love with the young girl, Mok-ae, or in conversion into Buddhism. Even though he failed in his attempts, his poetical method of symbol deserve admiration. Because it was the product of his consistent efforts to get the universality over the Korean poetry and oriental poetry. Gu Ja-wun`s posthumous complete-works gave currency to misunderstanding that he had wanted to come back to the oriental vision in his beginning period by discovering unknown poems in his drawer. But, in fact he did not want to return to his oriental poetry. On the contrary he published the new pieces of work on death, the posthumous work had remained in his drawer. The structural meaning of the death-awareness in his later poetry had found in the melancholiac displacement that he had not found the worthy of the present life as long as he had left a matter out of account about the absolute unhappy.

      • KCI등재

        한하운 문학의 형성 배경과 주제 의식

        장인수 ( Jang¸ In-su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0 No.-

        『한하운 시초』(1949/1953)에는 실향민이자 한센병자인 한하운의 페이소스가 강하게 배어 있다. 그의 고향 상실은 그를 무조건 승인해주는 어머니적인 존재의 상실을 수반한다. 그에게 ‘자연’과 ‘여성’은 적대적이기만 하다. 그 소외감으로 인해 그의 시는 신체 탈락의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와 자조적인 어조를 갖게 된다. 그는 자신의 존재 자체를 죄악시하는 세상에 대해 결백을 호소하고 벌의 부당성을 절규한다. 이러한 주제의식은 김소월 등 선배 시인에게는 없던 것이다. ‘한하운 시집 사건’은 그에게 전화위복이 되어, 그는 박거영의 인간사에서 『보리피리』(1955) 등 여러 권의 저서를 출판하여 상업적으로 성공한다. 『보리피리』에서 그는 자신을 승인해주는 대타자로서의 ‘여성’, ‘자연’과 화해한다. 그리고 ‘자연’은 ‘국토’로 환유적인 활강을 한다. 그는 이 순수문학론적인 방법의 학습을 통해 ‘국가’의 승인을 구한다. 그러나 이 학습된 자연관은 그의 가치관과 마찰을 빚는다. 그의 휴머니즘은 한센병자를 인간으로서 승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불행을 날것으로 절규하는 대신 그것을 보편적인 인간의 차원에서 다룰 수 있게 된다. 인기 작가가 된 그는 사회적인 실천에 치중한다. 이후 그는 ‘공론’이라는 수필 동인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등 점차 시에서 멀어진다. The Selection of Han Ha-wun's Poems(1949/1953) is strongly imbued with the pathos of Han Ha-wun, a displaced and Hansen's patient. The loss of his hometown meant the loss of the maternal other. Even though he is a patient of Hansen's disease, he wanted to be someone who would love him unconditionally. But the nature and the girl were hostile to him in his first selection. His poems had a grotesque image of physical elimination and a self-helpful tone. He would accept it as a guilty for his actions, but he could not agree that its existence itself was a guilty. He rejected the guilty of existence. His untidy voice made him a true poet. He became famous for the case of Han Ha-wun's anthology and published several selections with the help of a vigorous publisher, Park Geo-young. The Oaten Pipe(1955) became a bestseller. In this selection, he reconciled with the nature and the girl as the other who acknowledge himself. Nature slide into a nation through a metonymical expansion in this selection. He wanted to be more certainly recognized by the state through accepting the literature discourse of the purism. But it was different from what he really thought. He argued that from a humanistic point of view, Hansen's patient was also human. He was increasingly distanced himself from poetry and focused on social practice.

      • KCI등재

        어둠 속의 목소리, 김석범 소설의 방법론으로서 발화 충동 - <관덕정>과 <유방 없는 여자>를 중심으로-

        장인수 ( Jang¸ In-su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김석범 소설 <관덕정>(1962)과 <유방 없는 여자>(1981)는 그 형식상의 커다란 차이에도, 어떤 ‘목소리’에서 추동된 작품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 목소리는 어둠 속에 떠도는 것으로서 이미 발화 주체를 특정할 수 없다. 이 논문은 그 ‘목소리’가 제주 4·3 사건과 그 역사적 반복으로서 광주 5·18 민주화운동을 말하고자 하는 충동에서 온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관덕정>의 허물 영감은 경찰에 포섭되어 살해된 빨치산의 모가지를 들고 그 친족을 확인하며 돌아다닌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서푼이가 그를 찾아와 어떤 모가지를 자신에게 팔라고 부탁한다. 그녀는 실체라기보다 유령적인 목소리로서 등장한다. 관덕정 앞 강제 구경의 장면에서 그녀는 공적인 장에 출현하여 빨치산의 모가지를 오빠로 확인하는 순간 살해된다. 그녀는 안티고네처럼 국가에 맞서 인륜을 주장하다가 죽임당한 것이다. 처음에 허물 영감은 국가의 법을 어기면서까지 그녀의 부탁을 들어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는 G리에서 친족까지 조작하면서 행해지는 선거 운동의 양상을 본 데다, 강제 구경의 현장에서 서푼이가 살해되자 국가의 정통성에 의문을 품는다. 그는 서푼이와 신원미상의 모가지를 장사지냄으로써 국가의 상징 질서와 대립하고 이야기 속 인물로 승격된다. 그를 행동하게 한 것은 발화 주체를 특정할 수 없는 목소리였다. <유방 없는 여자>의 내레이터는 1980년 광주에서 벌어진 참상을 사건의 현장에 있지 않았음에도 사실로 확신한다. 이 확신은 어떤 근거에 입각한 것이 아니다. 내레이터는 제주 4·3 사건 때도 그랬으니 광주에서도 참혹한 일이 있었으리라고 본 것이다. 그는 제주에서 밀항해온 사람들에게 4·3의 참상을 전해 듣는다. 그는 그 참혹한 사연이 담담한 목소리로 전해지는 것에 인지 부조화를 느낀다. 그 담담함은 4·3을 경험한 사람들이 참상을 남의 이야기하듯이 신체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는 말할 수 없었다는 데서 기인한다. 쓰시마 농가의 어둠 속에서 그는 밀항해온 두 여인의 목소리를 통해 트랜스 상태에서 4·3의 제주에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그 목소리는 발화 주체의 신체에서 분리되어 어둠 속을 떠돌면서 그가 4·3을 말하도록 부단히 충동질한다. "Kwandeokjeong"[觀德亭](1962) and "Woman without breast"(1981), two fictions written by Kim Seok-beom were inspired by any voice. The voice is already unknown to the subject of pronouncing, and it floats without its master in the da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the voice came from the impulse to talk about the Jeju 4.3 incident and its historical repetition, the Gwangju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Old man Deng-bo[허물영감] of "Kwandeokjeong" is recruited by the police. He takes on the task of wandering around while searching for the relative with the cut-off head of a partisan. One night, A woman called Seo-pun visits him and asks him to steal the cut-off head. At the scene, she appears in a ghostly voice rather than in substance. She appears in a public place of Kwandeokjeong and is shot as soon as she confirms that the cut-off head of a partisan is her brother. She resembles Antigone, who claims that natural laws are more important than national laws and then dies. At first, old man Deng-bo thought he couldn't do her a favor, even breaking the laws of the state. But he becomes suspicious of the legitimacy of the nation when he sees a landed proprietor trying to win parliamentary elections even by manipulating relatives. Moreover, he couldn't help but watch Seo-pun be killed because she failed to betray her humanity. He is at odds with the nation's symbolic order by burying the penniless victim. The voice of the speaker who already did not exist made him act. A narrator of "Woman without breast" concludes that the massacre in Gwangju is true even though there is no evidence. This is because the same thing happened during the Jeju 4.3 Incident. He hears about the tragedy of the 4.3 incident from people who smuggled themselves from Jeju Island. He wonders if they are calmly telling a terrible story. The demeanor was caused by the desire to separate the cruel from one's own body. In the darkness of the Tsushima[對馬島] farmhouse, he experiences a transition experience through the voices of the two women who have been smuggled. Through the calm voices of the two women, he feels like he is at the scene of the 4.3 incident. The voice, too, is separate from the speaker, which is the writer's own inner urge to talk about the 4.3 Incident.

      • KCI등재

        전시 이념 ‘문화’를 둘러싼 상징투쟁

        장인수 ( Jang In-su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4 No.-

        전시 이념 ‘문화’는 국방부 정훈국, 문교부 국민사상연구원 주변의 관학적 지식 엘리트에 의해 형성된다. 그것은 한국전쟁의 대의명분을 찾는 과정에서 중요한 기호로 부상한다. 지식 엘리트에게 ‘문화’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외래문화에 응전해가면서 새롭게 창조해야 할 대상이었다. 이렇게 형성된 ‘문화’는 정훈 계통, 문총과 종군작가단의 문인에 의해 전파된다. 이 기획과 전파의 구도 안에는 이미 ‘지식의 위계’가 전제되어 있었고, ‘문화’라는 기호는 전시기 상징투쟁의 장을 연다. 문인들은 이념으로서 ‘문화’와 구체적 ‘생활’의 괴리를 느끼며 번민한다. 임긍재는 ‘생활’의 문제를 ‘모랄’의 차원으로 다룸으로써 이 괴리를 봉합하고자 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것은 문화를 규범적인 것으로 성역화하는 길로 이어진다. 전시기 ‘문화’는 점점 초월적 기표가 된다. 적치하에서 부역 혐의를 받은 문인은 ‘문화’를 정치와 무관한 반공·자유주의적 기호로 전용한다. 그러나 이 전용 자체가 지극히 정치적 행위였음은 물론이다. 전시기 많은 문인이 ‘문화’라는 기호로 상징투쟁에 참여함으로써 ‘정치’에 관여하고자 한다. 문화보호법을 둘러싼 혼란 속에서 그들은 ‘문화’를 일종의 ‘칭호’로서 획득하고자 경쟁한다. 또 여성의 풍기 문란과 부산의 퇴폐한 세태 등을 ‘문화’가 아닌 것으로 상대화함으로써 ‘규율하는 언어’로서 ‘문화’를 전유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들은 칭호와 상대화의 상징투쟁을 통해 지배계급의 원리를 재생산하는 데 부지불식간에 가담하게 된다. The wartime ideology “culture” is formed by the government-run intellectual elite arou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s AFIED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National Institute of Thought. It becomes an important sign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justification of the Korean War. For the intellectual elite, “culture” was not a matter of either capitalism or communism, but of responding to foreign cultures and creating new ones. The culture formed like this is spread by the AFIED, and the War Writers’ Group. Within this composition of planning and propagation, “the hierarchy of knowledge” was already premised, and the sign of “culture” opens the stage for symbolic struggles during the wartime period. Writers suffer from the difference between wartime ideology “culture” and specific “life”. Lim Geung-jae seeks to bridge this gap by treating the issue of life as a “moral” dimension. But as a result it leads to a path to sanctifying culture as normative. The wartime ‘culture’ becomes an increasingly transcendent significant. Writers accused of collaboration under the enemy rule use “culture” as anti-communist and liberal symbols unrelated to politics. But of course, the appropriation itself was extremely political. Many wartime writers want to engage in “politics” by participating in symbolic struggles under the sign of “culture.” Amid the chaos surrounding the Cultural Protection Law, they compete to acquire ‘culture’ as a kind of ‘title’. In addition, the writers aims to transfer “culture” as a “discipline language” by relativizing women’s promiscuity and Busan’s decadent world as not “culture.” However, they unconsciously participated in reproducing the principles of the ruling class through a symbolic struggle for title and relativiz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노리타케 가즈오(則武三雄)와 식민지 조선의 문단

        장인수 ( in s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노리타케 가즈오(則武三雄)는 조선총독부에서 일하면서 1940년대 식민지 조선의 문단에서 활동한 일본의 시인이다. 다나카 히데미쓰의 「취한배」에서 그려지듯 그는 사상적으로는 사회주의에서 전향한 낭만적 성격의 인물이었다. 그는 자비출판으로 『압록강』이라는 문집을 상재하기도 했다. 당시 사토 기요시, 가라시마 다케시 등 경성제대를 중심으로 한 학맥에서 제외 되어 있던 그는 경성의 문인사회에서 주변부에 속했다. 그 점이 오히려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과의 교류를 용이하게 했다. 그는 『국민문학』과 『조광』등에 발표한 리뷰를 통해 많은 조선인 작가들과 그 작품들에 대해 논했다. 조선인 작가들에게 그는 일본어로 작품 활동할 것을 권했는데, 그것은 언어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전시하에서 일본어로라도 쓰는 것이 낫다고 본 것이다. 그것은 김사량, 김소운 등의 관점과도 일맥상통한다. 전시체제 하에서 그는 조선문인보국회의 간사가 되었지만, 국책에 호응하기보다는 전쟁에 대해 회의하는 시를 쓰고, 자신의 서정성을 지켜가려고 했다. 그의 산문에서 우리는 체제에 동원된 식민지 문인들의 표정을, 그의 시에서는 식민지에 온 일본인 작가의 자의식과 조선 문인들에 대한 호의적 시선을 엿볼 수 있다. Noritake Kazuo[則武三雄] was an employe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he was also a Japanese poet who was very active during his stay in colonial Joseon, especially 1940s. Tanaka Hidemishu[田中英光] described Noritake as a romantic convert in his fiction, "the drunken boat". Noritake published the book of his works at his own expense. The book was to do with the Yalu[鴨綠江]. He was an outsider in the Gyeongseong`s literary world. At that time, the literary world was controlled by the elite who graduated from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Ipso facto, he could become confidential with colonial writers and poets. He often commented on their works in his critical reviews that were reported in the National Literature and in the Light of Joseon. He often advised them to work in Japanese, not Korean. He believed that was naughty but nice in the war-time. In fact, Gim Sa-ryang thought so too. In 1943, he became an assistant administrator of the Joseon Writer`s National Patriotic Association, but he was not a warmonger. He gave skeptical responses about the war in his poems. He wanted to keep his lyricism. We can find the colonial writer`s look in his proses, and see the division between the member of the empire and the lyrical poet of the homeland in his poems.

      • 동영상 기반 산불 감지 학습 모델 분석

        장인수(In-su Jang),김광주(Kwang-Ju Kim),임길택(Kil Taek L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정형적인 형태가 있는 객체 검출 기법과는 달리 화재 인식은 시간에 따란 형태가 변하는 비정형적인 객체를 검출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이미지 한 장을 이용하는 딥러닝 네트워크 기반 검출 기법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시간에 따른 변화를 인지하기 위해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촬영된 카메라와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모션 정보가 다르게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인식을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대량의 데이터가 요구되며, 확보된 데이터에 최적화된 딥러닝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제 화재 동영상에서 불꽃과 연기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동영상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또한, 다양한 동영상 기반 인식 모델에 대해 구축된 데이터 셋을 활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결과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제국의 절취된 공공성 - 베를린올림픽 행사 "시"와 일장기 말소 사건

        장인수 ( In Su Ja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은 일본 국가대표로 출전해 우승한다. 그것을 기념하여 사이조 야소(西條八十)는 『요미우리신문』에 <우리의 영웅!>(我等の英雄)이라고 하는 행사시를 게재한다. 그 시에서 사이조 야소는 손기정의 승리를 ‘우리(일본인)의 승리’로 규정하면서 ‘내선일체의 사상’과 일본의 국가주의를 현창한다. 손기정의 쾌거는 식민지 조선에서도 신문·라디오 등의 미디어를 통해서 빠르게 전파된다. 『조선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각각 심훈, 서항석의 기념시를 게재한다. 기념시에서 그들은 손기정의 승리를 ‘민족의 승리’로 바라보면서 감격한다. 그들은 ‘고토’, ‘조국’, ‘옛조선’과 같이 제국에 의해 금지된 기호들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민족의 공적 감각을 고양시키는 데 주력한다. 이러한 민족적 감격과 흥분 상태는 양 신문사의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이어진다. 그 사건으로 인해 양 신문사는 폐간되거나 무기한 정간되고, 많은 관련 자들이 고초를 겪는다. ‘비국민적인 태도’가 문제시되었으나, 그 사건은 사실 일본 저널리즘의 사진 이미지를 훼손하여 그 저작권을 침해한 사건일 따름이었다. 심훈과 서항석의 시가 제국의 메시지를 절취하여 국가가 없는 식민지적인 질곡의 상태에서 공적 감각을 단련시킨 사건이었다면, ‘일장기 말소 사건’은 그연장선상에서 제국의 시각적 이미지를 절취하고 제국의 공공성을 교란시킨 사건이었다. Son Gi-Jeong raced for the Japan team and won the marathon race at the 1936 Berlin olympics. To commemorate it, Saijo Yaso[西條八十] wrote an occasional poem, "Our hero" in the Yomiuri Shimbun. In "our Hero", Saijo declared Son``s win in a victory for ``our Japan``, and propagated the policy of ``Korea and Japan are one`` as a result. Son``s heroic achievement was rapid dissemination through the media in the colonial Chosun. Sim Hun``s occasional poem was posted on the Chosun Jungang Ilbo, and Seo Hang-seok``s poem was posted on the Dong-A Ilbo. In their poems, they have so much excitement in Son``s victory defined as a people``s victory. They inspire public sense of the race citing the banned symbols by the Empire. This nationalistic fever brought about the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The incident has led two newspapers are shut down or indefinitely be suspension, and many people involved in had difficulties. The authorities brought their unpatriotic attitudes into question, but the essence of the incident was Japanese newspaper picture of a copyright violation. Shim and Seo trained public senses that had been the case in colonial state``s ordeal in their occasional poems by cutting messages of the empire. And then an extension of it, the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was an incident which disrupts the publicity of the empire by cutting images of the empire.

      • KCI등재

        일반논문 : 노희경 드라마에 나타난 게임적 요소와 그 구조적 의미 -「빠담빠담」과 「괜찮아 사랑이야」를 중심으로

        장인수 ( In S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2010년대 노희경은 게임적인 요소를 수용하면서 작법의 변화를 꾀한다. 「빠담빠담」(2011~2012)에서 그녀는 타임 슬립 장치와 메타서사적인 캐릭터를 드라마에 끌어들인다. 그리고 「괜찮아 사랑이야」(2014)에서는 ‘선택지’와 환상을 드라마에 끌어들인다. 그녀의 드라마에서 중요한 것은‘선택’의 문제다.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인생=이야기’는 달라진다. 그녀의 주인공들은 이 선택의 힘을 처음에는 믿지 않는다. 어떤 선택을 하면 필연적으로 누군가 상처를 입는다고 그들은 생각한다. 그래서 선택을 회피한다. 그러나 선택을 하지 않아도 누군가는 반드시 상처를 입는다. 따라서 그 ‘선택의 잔혹함’을 받아들이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하나의 이야기를 선택해야 한다. 노희경은 그렇게 선택된 ‘인생=이야기’가 우리가 선택하지 않은 분기의 이야기를 포기한 대가로 얻은 것이라는 점에서 그 자체로 소중한 것이라고 본다. 그녀의 실험은 신자유주의로 인한 세계의 유동성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생존에 대한 감각이 일층 예민해져가는 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대변한 것이다. 살아남기 위해 우리는 이 신자유주의적 상황을 ‘전제’로서 받아들인 가운데,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인생=이야기’를 선택/결단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그녀의 서사는 친숙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사전략은 선택을 강요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돌린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In the 2010, Noh Hee Kyung is attempting to make changes in the method of composition. She is adopting the game element. In “Padam padam”(2011~2012) she adopted the device a time slip and the meta-narrative character. And in “It`s all right, this is love”(2014) she made good use of the branching type narration and the fantastic figu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 matter of choice’ in her recent works. The ‘Life=story’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at we choose. Her protagonists do not believe the power of choice. At first they think which doesn`t necessarily choose someone will get hurt. For that reason, they avoid the choice. But even if we don`t choose someone is wounded. Therefore we have to accept the cruelty of the choice to survive. We have to choose the story of one. The chosen story is a precious in itself, because we got in return given up the story what we don`t make a selection. Her experiments reflect an atmosphere of the neo-liberal society. The liquidity of the world is increasingly expanding. We struggle every day to survive in the world of flux. The people familiar with the survival game of the neo-liberalism sympathize with her works. However this narration strategy has a problem. It enforce a choice, and it is asking individuals to the responsibility abou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