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자음 색채화 가능성 연구- 우리말 색채어 중심으로 -

        장용선 ( Yong Seon J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우리말 순수 색채어는 오행 사상이 지닌 木, 火, 土, 金, 水의 다섯 가지 색채 메타포인 파랑, 빨강, 노랑, 하양, 검정의 다섯 가지이다. 이 다섯 색채어의 대표 자음인 ㅍ, ㅂ, ㄴ, ㅎ, ㄱ을 오행에 도입하여 한글 색채화 가능성 모델을 만든다면 보다 한국인의 색채 정서에 맞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으리란 생각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우리말 색채어를 활용해 한글 자음 색채화 모델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말 색채어를 중심으로 한글을 색채화 하기 위하여 파랑은 풀인 木에 대응하므로 ㅍ은 파랑에 배속하고, 빨강은 불인 火에 대응하므로 ㅂ은 빨강에 배속하고, 노랑은 땅(누리)인 土에 대응하므로 ㄴ은 노랑에 배속하고, 하양은 쇠인 金에 대응하므로 ㅎ은 하양에 배속하고, 검정은 가라(물)인 水에 대응하므로 ㄱ은 검정에 배속하였다. 본 연구는 한글 가획의 원리를 가색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하여 어도비 컬러 시스템의 c, m, y, k 모델을 사용하였다. 대표 자음의 컬러는 우리말 색채어의 특성을 기반으로 원색과 검정을 사용하였다. 자음의 배속은 우리말 한글 자음 특성을 기반으로 오행의 순행 단계를 맞추어 세분화 하여 색채를 배속을 하였다. 우리말 색채어를 중심으로 한글 색채화 가능성 모델을 만들고자 한 것은 한글 색채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며 한국인의 색채 정서에 맞고 이해하기 편리한 시스템을 만들고자 하였다. Korean color terms are five colors: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the color metaphors of the five phases of tree, fire, earth, iron and water (木, 火, 土, 金, 水) in Five Elements Theory. This study started from an idea that introducing ㅍ, ㅂ, ㄴ, ㅎ and ㄱ,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of these five color terms representative consonants to the Five Elements System and making a likelihood model of coloring Hangul would make a system that would be more suitable for the colors of emotions in Korean, and it aims to make a model of coloring Hangul consonants using the Korean color terms. To color Hangul based on the Korean color terms, since blue color corresponds to grass 木, ㅍ was attached to the position of 木; since red color corresponds to fire 火, ㅂ was attached to that of 火; since yellow color corresponds to earth (world) 土, ㄴ was attached to that of 土; since white color corresponds to iron (Soe) 金, ㅎ was attached to that of 金; and since black color corresponds to Gara (water) 水, ㄱ was attached to that of 水. This study used Models C, M, Y and K on the Adobe Color System to apply the principle of stroke addition in Hangul to the system of color addition for convenience. As the colors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unmixed colors such as primary colors, white color and black color were us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lor terms, and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each consonant was subdivided based on the five stages of the five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consonants and a color was attached to it. The likelihood model of coloring Hangul based on the Korean color terms is made to suggest a new possibility of coloring Hangul and at the same time to make a system that fits color sentiments and is easier to understand.

      • KCI등재
      • KCI등재

        짝 구성 유형이 영어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장용선(Yong-Seon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에서는 어휘 숙달도에 따라 짝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고 짝과 상호작용하면서 어휘 과제를 하는 것이 우연적인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 46명은 상대적인 어휘 숙달도에 따라 상상(n=14), 상하(n=18), 하하(n=14) 등의 세 집단으로 나뉘었다. 우선 참여자들은 사전 어휘 지식을 측정하는 시험을 보았고, 짝과 함께 3주 동안 어휘 과제를 실시한 후 짝의 구성 유형이 어휘 습득에 미친 영향에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지식을 평가하는 사후 시험을 보았다. 2주 후에는 실험 처치 효과의 지속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지연된 사후 시험이 시행되었다. 숙달도가 높은 학생들이 짝 활동을 통해 더 많은 학습 효과를 보았다는 선행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두 참여자의 어휘 숙달도가 같은 상상 집단 혹은 하하 집단보다 어휘 숙달도가 서로 다른 참여자가 짝을 이룬 상하 집단의 성취도가 전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협력적인 짝 활동은 상하 집단에 속한 상위 구성원뿐만 아니라 하위 학생들의 어휘 습득에도 효과가 있었고 이런 결과들을 종합하여 교육적인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grouping participants in pairs according to their relative vocabulary proficiency on the incidental improvement of vocabulary knowledge. Forty six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high(n=14), high-low(n=18), or low-low(n=14)) and took part in the study. They performed three vocabulary activities in pairs as extra-class works. Data were collected from one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test scores before treatment and two posttest scores after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unlike former study results, HL dyads acquired more vocabulary receptively and productively than HH or LL dyads did, which demonstrated that collaborative pair activity was conducive to the growth of vocabulary knowledge. Furthermore, not only higher proficiency participants in HL pairs made greater vocabulary gains than participants in HH pairs did but also lower proficiency participants gained more vocabulary than participants in LL pairs di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edagog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짝/모둠 활동이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장용선(Yong-Seon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짝 또는 모둠 활동에 의해 어휘 과제를 하는 것이 어휘 습득에 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대학생 112명이 세 집단으로 나뉘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짝 집단(n=42)은 두 명씩 짝을 이루어 수업 시간 외에 3회의 어휘 과제를 한 후 공동의 결과물을 제출했고, 모둠집단(n=32)은 4-5명이 한 조를 이루어 수업 시간에 과제를 해서 공동의 결과물을 제출했다. 대조군으로서 개별 집단(n=38)은 수업 시간 외에 혼자 어휘 과제를 하는 전통적인 방식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사전 어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어휘 지식 시험을 시행했고, 실험 처치 후에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지식의 습득을 측정하는 사후 시험을 보았으며, 2주 후에 효과의 지속 여부를 평가하는 지연된 사후 시험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수업 시간에 동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어휘 과제를 한 모둠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높았으며, 수업 시간 외에 과제를 한 짝 집단은 개별 집단보다 결과가 좋지 않았다. 어휘 지식 상·하위 군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어휘 숙달도가 높은 참여자들이 협력적인 모둠 활동을 통해 더 많은 어휘를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을 종합하여 교육적인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pair/group work on the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One hundred and twelv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Pair work group(n=42) performed three vocabulary activities in pairs as extra-class works, and Individual work group(n=38) did them alone. On the other hand, Group work group(n=32) did the activities in groups consisting of four or five people during the class. Data were collected from one pretest and two posttest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collaborative group work was conducive to the growth of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In contrast, pair groups who do not work collaboratively gained least vocabulary knowledge among three groups. From collaborative group work, participants in higher proficiency levels made greater vocabulary gains than those at lower levels. Based on thes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위키를 활용한 상호작용이 산출적 어휘 지식에 미치는 영향

        장용선(Yong-Seon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에서 동료 및 교사와 위키를 활용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이 우연적으로 산출적 어휘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 1학년 학생 82명이 두 집단으로 구분되어 본 연구에 참여했다. 4-5명이 한 조가 되어 7-10분 길이의 영화를 만드는 프로젝트에서 조원들과 교사는 위키로 상호작용하면서 협동하여 영어 대본을 만들었다. 38명(과정 집단)은 위키로 상호작용하면서 영어 대본을 만드는 과정 중에 수시로 교사의 피드백을 받고 수정하면서 최종본을 만들었다. 반면에 44명(결과 집단)은 조원들이 위키로 협력하여 1차 대본을 작성하고 그 결과물에 대해 교사의 피드백을 1회 받은 후 수정하여 최종본을 만들었다. 참여자들의 사전 어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어휘 지식시험을 시행했고, 실험 처치 후에 산출적 어휘 지식의 습득과 유지를 측정하는 사후 시험을 두 번 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위키를 활용하여 동료 및 교사와 상호작용할 때 어휘를 계속 사용할 기회가 많았던 것이 산출적 어휘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과정 집단이 결과 집단보다 조금 더 큰 폭으로 점수가 상승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교육적인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interaction using Wiki in communication-oriented classes taught by native teachers on the incidental improvement of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Eighty two university fresh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irty eight students(Process Group) received process feedback from the teacher while forty four students(Result Group) received result feedback. They were given a short movie project working in a group of four or five people to practice interaction between peers and between students and the tea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one receptive and thre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test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action using Wiki was conducive to the growth of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incidentally due to continuous opportunities to use vocabulary. The students of process feedback group made greater gains of productive vocabulary than those of result feedback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Changes of Monosaccharides Contents in Hydrolysates of Decomposing Plant Residues

        김정제,장용선,신영오,Kim, Jeong-Je,Jang, Yong-Seon,Shin, Young-Oh 한국토양비료학회 199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3 No.1

        The amounts of monosaccharides in acid hydrolysates of decomposing plant residu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were determined. Straw of cereal rice and barley, wild grass cutting, and litters of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trees were treated to decompose for 90 days. Samples for the analysis of mono-saccharides were taken at 3 different periods of incubation. 1. Fractions of monosaccahrides in plant residues steadily decreased with the time of decomposition. In some samples there appeared an intermediate stages where the fractions reached the highest level. 2. Decomposition of barley straw occured at a faster rate than that of rice straw, and so did the decomposition of deciduous litter than that of coniferous litter. 3. Cereal crop residues of rice and barley were richer in monosaccharides than residues of wild grass cutting and forest litters. 4. Distiction between monosaccharides of plant origin and those of microbial origin was not possible to make in this study. 5. Glucose was the predominent monosaccharide and fucose was the monosaccharide contained in the smallest amount. No measurable ribose was detected from any sample. 6. The relative proportion of galactose in creased with the time of incubation. 7. In general, the proportion of fucose decreased with time and so did that of rhamnose, rhamnose of rice straw residue being the exception. 8. The orders of abundance of monosaccharides after decomposition of 90 days were as the following: in rice straw; glucose > xylose > arabinose > galactose > rhamnose > mannose > fucose, in barley straw; glucose > xylose > arabinose > galactose> mannose > rhamnose > fucose, in wild grass cutting; glucose > xylose > galactose arabinose> rhamnose mannose > fucose, in deciduous litter; glucose > arabinose > xylose galactose > mannose > rhamnose = fucose, and in coniferous litter; glucose > xylose > galactose > arabinose mannose > rhamnose > fucose. 볏짚, 보리짚, 산야초(山野草) 그리고 활엽수(闊葉樹)와 침엽수(針葉樹)의 낙엽(落葉)을 채취(採取)하여 실험실(實驗室) 조건하(條件下)에서 90일간(日間)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재료(材料)를 취(取)하여 산가수분해(酸加水分解)한 후(後) 단당류(單糖類)의 함량(含量)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부숙기간(腐熟其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유기물중(有機物中) 단당류(單糖類)의 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다. 중간단계(中間段階)(45일(日))에서는 일시적인 함량(含量)이 증가(增加)가 나타났다. 2. 보리짚이 볏짚보다 빠른 속도(速度) 부숙(腐熟)하였는데 활엽수낙엽(闊葉樹落葉)이 침엽수낙엽((針葉樹落葉)보다 빨리 부숙(腐熟)되었다. 3. 단당류(單糖類)의 함량(含量)은 산야초(山野草)나 산림낙엽(山林落葉)보다 볏짚 및 보리짚에 더 많았다. 4. 식물성(植物性) 단당류(單糖類)와 미생물성(微生物性) 단당류(單糖類)의 정량적(定量的) 구별(區別)은 불가능(不可能)하였다. 5. 단당류중(單糖類中) Glucose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적게 함유(含有)된 당(糖)은 Fucose이었다. Rib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6.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Glactose의 상대적(相對的)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부숙기간(腐熟期間)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Fucose의 상대적(相對的) 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며, Rhamnose도 이와같은 경향이었다. 다만, 볏짚의 경우 Rhamnose의 상대적(相對的) 함량(含量)은 오히려 증가(增加)하였다. 8. 부숙(腐熟) 90일경 각(各) 시료(試料)가 함유(含有)하고 있는 단당류(單糖類)의 양(量)은 다음과 같은 순서이었다. 볏짚 : Glucose > Xylose > Arabinose > Galactose > Rhamnose > Mannose > Fucose 보리짚 : Glucose > Xylose > Arabinose > Galactose> Mannose > Rhamnose > Fucose 산야초 : Glucose > Xylose > Galactose Arabinose > Rhamnose Mannose > Fucose 활엽수낙엽 : Glucose > Arabinose> Xylose Galactose > Mannose > Rhamnose = Fucose 침엽수낙엽 : Glucose > Xylose > Galactose > Arabinose Mannose > Rhamnose > Fucose.

      • KCI등재

        Contents of Monosaccharides in the Hydrolysates of Some Forest Soil Horizons

        김정제,장용선,신영오,Kim, Jeong-Je,Jang, Yong-Seon,Shin, Young-Oh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98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2 No.3

        Monosaccharide content of four forest soils were analyzed. Two soils under coniferous forest trees and another two under duciduous forest trees of Mts. Zeombong and Odae in Kangweon-Do were sampled from the surface horizon down into the subhorizons. 1. The largest amount of monosaccharide is found in the surface organic horizon of each soil and with increasing depth the amount decreases as might be expected considering total organic matter content. 2. Hexoses (galactose, glucose, mannose) predominate over pentoses (arabinose, ribose, xylose) and deoxyhexoses (fucose, rhamnose), the latter being in the smallest amount. Glucose is the most abundant monosaccharide in all samples regardless of vegetation of soil or depth. In general the content of each monosaccharide follows the order of glucose > manrtose > galactose > arabinose > xylose > rhamnose > fucose > ribose. 3. Very little amount of ribose is present even in organic horizons of coniferous forest soils. In samples taken from deciduous forest soils ribose is virtually absent. 4. The relative proportion of monosacchaiide to the total soil organic matter decreases with increasing depth, which may be resulted from the effect of prolonged humification. The total monosaccharide in the organic surface layer amounts to 27-50% of the total organic carbon or 15.7-29% of the total organic matter. Hexoses alone take the largest share of 20-38% of the carbon, or 12-22% of the organic matter. 강원도(江原道)에 위치(位置)한 점봉산(點鳳山)과 오태산(五台山)의 삼림토양(森林土壤)에서 침엽수림(針葉樹林)과 활엽수림(闊葉樹林)으로 나누어 층위별(層位別)로 채취(採取)하여 단당류(單糖類)의 함량(含量)을 분석(分析)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단당류(單糖類)의 함량(含量)은 유기층(有機層)에 가장 많았고 심층(深層)으로 내려갈수록 감소(減少)되었는데 이는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다. 2. Hexose (galactose, glucose, mannose)의 함량(含量)이 절대적으로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Pentose(arabinose, ribose, xylose)의 순서이었고 deoxyhexoe(furose, rhamnese)의 함량(含量)이 가장 적었다. 單糖類의 함량(含量)은 아래와 같다. glucose>mannose>galactose>arabinose>xylose>rahmnose>fucose>ribose. 3. 침엽수림토양(針葉樹林土壤)의 유기층(有機層)에는 극히 적은 량(量)의 ribose만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활엽수림토양(闊葉樹林土壤)에서는 ribose가 검출되지 않았다. 4. 전토양(全土壤) 유기물(有機物)에 대한 단당류(單糖類)의 비율(比率)은 토양(土壤)의 깊이에 따라 감소(減少)했는데 이는 부식화(腐植化)의 효과(效果)라고 생각된다. 표면유기층(表面有機層)의 단당류(單糖類) 함량(含量)은 유기탄소(有機炭素)에 대해 27~50%,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으로 환산(換算)하면 15.7~29%에 해당하며 이 중에서 hexose는 유기탄소(有機炭素)에 대해 20~30%, 유기물(有機物)에 대해서는 12~22 %의 비율(比率)로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5. 각각(各各)의 단당류(單糖類)가 차지하는 비율(比率)은 토양단면(土壤斷面)을 통해 종합해 볼 때 어떤 규칙적인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의 활동(活動)이 일정치 않았기 때문이 아닌가 사료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