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진미정 ( Meejung Chin ),성미애 ( Miai Sung ),손서희 ( Seohee Son ),유재언 ( Jaeeon Yoo ),이재림 ( Jaerim Lee ),장영은 ( Young Eun Chang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3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family life and relationships as well as how these changes affect perceived stress among married men and women.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family time use, household work, child care, leisure activities, income and expenditures along with relationships between spouses and children using a sample of 627 married persons surveyed online from May 19 to 25,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time spent on household work, child care, and family leisure have increased and that the perceived burden of household work and child care has also increase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ime use, household work, and child care. Leisure activities have changed toward more time watching TV or online media and playing online games and less time on outdoor activities, shopping, and meeting friends. About 38% of respondents reported a reduction in household income and 22% reported an increase in household debt. The majority experienced no change in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children, approximately 20% of the sample reported a positive change in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children. The findings of multivariate regression indicated that change in work time, negative change in household economy, negative change in household work and negative change in relationships with spouses were associated with marital stres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negative changes in child care and in relationships with children did not affect stress among married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 :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장영은(Young Eun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학령전기 어머니의 우울이 가정환경을 매개로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연구」 자료 중 5(2012년), 6(2013년), 7(2014), 8차(2015) 및 10차년도(2017년)에 수집된 1,381가족의 어머니와 아동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전기 어머니의 우울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령전기 어머니의 우울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 가정환경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가정환경은 집행기능곤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학령전기 어머니의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초등학생 자녀의 발달에 적합한 가정환경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환경은 다시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가정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이 집행기능곤란을 덜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정환경의 부분매개효과와 더불어 학령전기 시기 어머니의 우울이 초등학교 3학년 시기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 역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머니 우울에 대한 조기 평가와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하였고, 아동의 집행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과정으로서의 가정환경의 역할을 조명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longitudinal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during the preschool years on 3rd grader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rough the mediation of home environment. The data from the study sample of 1,381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5th, 6th, 7th, 8th, and 10th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as used to conduc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depression during the preschool yea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hen children were 3rd grade.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home environment at 1st grade. Home environment was also associated with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Second, according to the SEM analysis, the greater maternal depression predicted better quality of home environment later. The home environment, in turn, had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such that children who were living in richer home environment showed les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Home environment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for maternal depression and shed lights on the role of home environment as a parenting process influenci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 KCI등재

        어린이를 위한 독일 메르헨 -아동문학으로서의 독일 메르헨에 대한 역사적 고찰

        장영은 ( Young Eun Chang ) 한국브레히트학회 2007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16 No.-

        Diese Arbeit konzentriert sich in geschichtlicher Hinsicht auf die Entwicklung der deutschen Marchen fur Kinder. Die deutschen Marchen verwirklichen die Idee der romantischen Kunst wie Novalis betont, "Marchen ist der Kanon der Poesie". Seitdem Herder und Rousseau die Stellung des Kindes und die Werte der Volksdichtung erkannt haben, weil sie darin den ursprunglichen Volksgeist fanden, richteten viele Dichter ihre Aufmerksamkeit auf die Umarbeitung der Volksmarchen und das Dichten von Marchen. Als reprasentatives Beispiel zahlt man Grimms Marchensammlung "Kinder- und Hausmarchen". Die Romantiker wie L. Tieck, E T.A. Hoffmann und W. Hauff verknupfen ihre Marchen und deren Handlung mit der zeitgenossischen deutschen burgerlichen Gesellschaft. Dadurch entstehen ``das Wahnsinnsmarchen`` und ``das Wirklichkeitsmarchen``. Die Marchen wie Aurelies(Sophie Grafin von Baudissin) "Elfenerziehung"(1849), Robert Reinicks "Prinz Goldfisch und das Fischermadchen" (1850), Theodor Storms "Die Regentrude"(1863), Heinrich Seidels "Die grune Eidechse"(1880), Victor Bluthgens "Die sieben Hulegeisterchen"(1881) gehoren zu den Meisterwerken, die im 19. Jahrhundert entstanden. Schriftsteller wie Wilhelm Busch, Manfred Kyber, Erich Kastner, James Kruß, Michael Ende, Paul Maar, Christine Nostlinger, Cornelia Funke u. a. bereichern heutzutage durch ihre zahlreichen Marchen Themen und Stoffe. Es ist auch bemerkenswert, dass die mit der Phantasie unvereinbarte Wirklichkeit innerhalb des Marchens thematisiert und poetisiert wird. Sie ermoglicht es, die Wirklikeit und die Wunschphantasie kritisch aufzuzeigen.

      • KCI등재

        독일어권 현대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타자성과 다문화성

        장영은(Chang, Young-E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코기토 Vol.- No.71

        이 논문은 독일어권 현대 아동청소년문학 가운데 최근 80/90년대 이후의 청소년소설에 주목하여 장르적 특성과 대표작품들을 살펴보고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오스트리아 여성 아동청소년문학작가 레나테벨쉬의 『디다, 혹은 낯선 아이』를 선택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현대 독일어권 청소년소설은 한편으론 18세기부터 서사문학의 전통에 자리하던 ‘고전적 내지 전통적인 청소년소설’의 서사적 전통과의 연관관계 속에서 세대 간의 갈등과 국가 사이의 다양한 문화적 갈등이 대두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청소년문화현상을 문학의 주제로 채택하여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집중시킨다. 급변하는 사회구조와 매체의 발달로 현실과 가상세계를 오가는 청소년들은 자아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동시에 개인의 자아와 외부세계 및 환경에 대한 인식사이에 두드러지는 ‘타자성’을 인지하는 시기에 자리한다. 아울러 급변하는 사회구조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다문화성’의 사회적 환경속에서 다른 문화, 다른 사람 사이의 공감적 소통이 요구되는 현실 상황에서 청소년의 ‘사이의 문화’를 문학의 담론으로 채택하고 있는 청소년소설은 화해와 상생을 위한 대안모색에 중요한 인식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80년대와 90년대의 청소년소설은 새로운 청소년의 문제영역과 행동양식, 사회화과정과 가치인식 등을 형상화하며 한 명 내지 여러 명의 청소년 주인공을 중심으로 주로 청소년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소설의 내용이 전개된다. 그리고 ‘전통적 청소년소설’에서는 주로 남자주인공이 선보였지만, 현대 청소년소설에서는 소녀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면서 전통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유로워지려는 해방적 소녀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리고 90년대의 청소년소설은 70년대와 80년대 초반의 청소년문화가 기성세대에 대항하는 저항적 성격을 강하게 표출하였던 것과는 달리, 90년대에 이르러선 환경, 자연, 가족 등을 둘러싼 일상문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들의 공통적인 특성은 작품의 청소년주인공들이 여러 나라와 글로벌시티로 이동하면서 겪는 이국적인 또는 낯선 문화들에 대한 체험들이 부각된다는 점이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청소년은 일종의 유목민처럼 다양한 국가경계를 넘나들고, 또는 광섬유로 연결된 네트워크와 사이버 공간을 오가며 낯선 사람들과 낯선 문화들을 만나고, 그들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자신 역시 낯선 문화의 낯선 사람일 수 있다는 인식에 도달하며, 현대사회의 ‘다문화성’과 ‘문화적 다수성’을 체험하는 것이다. 레나테 벨쉬는 『디다, 혹은 낯선 아이』를 통해서 ‘타자성’과 ‘다문화성’의 주제를 과거시대인 2차 세계대전 시기의 디다라는 소녀아이의 관점에서 풀어낸다. 그러나 그녀가 다루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의 소재들은 현대의 청소년이 겪는 정체성의 위기와 문화적 갈등을 함의한 소재들과 유사하며, 특히 디다의 내적 독백은 현대 청소년독자를 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대인에 대한 오스트리아인들의 태도, 아버지의 재혼으로 인한 낯선 사람들로 구성된 기정, 전쟁을 피해 정든 고향을 떠나서 생활하게 되는 난민으로서의 생활, 미국과 러시아 점령군인과의 체험 등은 ‘그 여자아이’라는 의미의 ‘디다’로만 불리던 한 소녀가 스스로 우르젤이라는 자신의 이름을 찾아가는 내면여행에서 타자성과 다문화성을 인식하는 중요한 체험들이며 전체 소설은 열린 결말과 함께 끝을 맺고 있다. 벨쉬의 청소년문학 텍스트는 청소년의 사회화 괴정에서 청소년이 맞닥뜨리게 되는 현사회의 타자성과 다문화성을 선취하여, 독자인 청소년에게 과거와 현대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단절된 세대 사이의 소통의 장이 되며, 심리적 감정세계와 인지적 판단 사이에서 이타적으로 낯선, 다른 것을 바라보고 상호문화적 성찰과 공감적인 소통이 가능한, 기존의 가치판단에서 자유로운 미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 에리히 케스트너의 초고본 『개들 앞으로 가는 길 Der Gang vor die Hunde』에 나타난 서사적 특징 - 『파비안』과의 판본비교를 중심으로 -

        장영은 ( Chang Young-eun ) 한국헤세학회 2018 헤세연구 Vol.40 No.-

        에리히 케스트너는 소설 『파비안 Fabian』(1931)의 초판본에 앞서, 초고본 『개들 앞으로 가는 길 Der Gang vor die Hunde』이라는 제목의 소설을 출간하려고 하였으나, 편집과정에서 출판장의 지시로 제목이 ‘파비안’으로 바뀌고, 내용도 일부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출판하기에 이른다. 이 연구는 그동안 케스트너 연구에서 간과되었으나, 최근 스벤 하누쉐크 Sven Hanuschek가 펴낸 초고본 (1931) 『개들 앞으로 가는 길』(출간 2013)을 토대로 초고본과 『파비안』사이의 상이한 텍스트들에 주목하여 초고본의 서사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소설 『파비안』은 작가 케스트너의 경험과 삶의 경로 등이 반영되어 자서전적 경향이 매우 짙은 작품이다. 초고본 텍스트의 각 요소를 『파비안』과 비교하였을 때, 초고본의 중요한 서사적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보고하는 시점에서의 함축적 기술이 두드러진다. 동시대에서 일어나고 있는 정치적 현안에 대한 저널리스트적인 보고형식의 서술이 강조되면서 비평과도 같은 함축적 서술이 돋보인다. 이때 케스트너의 동시대의 저널리즘에 대한 비판이 초고본에서는 더욱 날카롭게 표현된다. 둘째, 케스트너는 대상과 사실에 대한 냉철한 인식을 바탕으로 ‘신즉물주의’의 서사 방식을 취하면서도, 초고본에서는 각 등장인물들의 특징이 캐리커처 기법을 통해서 더욱 과장되거나 우스꽝스럽게 풍자되고 있다. 셋째, 케스트너는 동시대의 사회적 현상을 ‘얼룩거울’에 비쳐진 일그러진 이미지처럼 풍자적으로 서술하여 독자에게 매개함으로써, 동시대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대립 및 경제위기의 상황과 부조리한 사회현실에 대한 인식을 더욱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대적 위기 상황과 정체성 상실에 대한 불안감의 원인을 철저하게 파고들어 독자에게 현실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놓으려고 하였다. Der vorliegende Aufsatz befasst sich mit der Analyse von Erich Kästners Roman Fabian und dessen Urfassung Der Gang vor die Hunde (1931), wobei die epischen Merkmale aufgrund eines Fassungsvergleiches zwischen dem Roman Fabian und seiner Urfassung herausgearbeitet werden. Anhand der neuesten Forschungsergebnisse von Sven Hanuschek, der im Jahr 2013 die Urfassung zusammen mit einem ausführlichen editorischen Bericht herausgegeben hat, kann man nun Kästners ursprüngliche literarische Intention untersuchen, die er mit dem Roman Fabian verfolgte. Damit werden auch der Kästnerforschung neue Impulse gegeben. So werden in diesem Aufsatz einige Textpassagen aus Der Gang vor die Hunde, die aufgrund der Zensur des Verlegers im Roman Fabian stark gekürzt bzw. gestrichen wurden, herangezogen, um deren epische Merkmale zu analysieren. Dabei treten vor allem die Reflexionen und die satirische Kritik der zeitgenössischen Gesellschaft sowie die Kästners Anspruch auf Wirklichkeitserkenntnis deutlich hervor. Zu den wichtigsten narrativen Merkmalen in der Urfassung gehören die sachlich-nüchternen Dialoge zwischen dem Protagonisten Fabian und seinen Mitmenschen und ausführliche realistische Darstellungen, die autobiographischen Charakter haben. Besonders deutlich werden seine scharfe Kritik sowohl hinsichtlich des zeitgenössischen politischen und wirtschaftlichen Untergangs als auch der gesellschaftlichen ideologische Konflikte.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독일 리얼리즘 문학에 나타난 유령과 현실인식의 문제 -테오도르 슈토름의 초기작품 『벽난로 옆에서 Am Kamin』를 중심으로-

        장영은 ( Young Eun Chan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6

        이 논문은 독일 리얼리즘 문학 대표작가들 가운데 한 사람인 테오도르슈토름(Theodor Storm, 1817∼1888)의 초기 작품들 중에서,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유령이야기’ 『벽난로 옆에서 Am Kamin』(1862)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 작품을 통해서 작가 슈토름이 드러내고자 했던 현실인식의 문제를 작품 내재적 분석방법을 토대로 고찰했으며, 현실인식에서 두드러지는 슈토름 특유의 리얼리즘적 관찰시각과 유령 환상을 회고적 이야기로 재구성해내는 슈토름의 서술기법을 분석하고, 그 연관관계를 규명하고 자 하였다. 특히 독일에서 1830년대 이후 복고반동의 정치현실 가운데 ‘반동의 도구’로 일컬어지던 ‘유령이야기’를 리얼리즘문학의 범주 안에서 다룸으로써 탈낭만화를 시도하고 있는 슈토름의 리얼리즘적 문학세계와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의 서술구조분석은 슈토름의 후기 문학세계와도 연계된 서사전략을 밝히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틀이야기(Rahmenerzahlung)의 ‘이야기 모임(Erzahlgesellschaft)’에서 틀속이야기들(Binnenerzahlugen)로서 유령이야기들이 서술자 ‘노신사’를 중심으로 이틀 동안 소개된다. 이때 과거의 유령이야기들은 슈토름의 동시대의 ‘현재’와 연계하여, 인간 삶의 다양한 모습들로 재현되는 가운데, 회고된 사실들의 정합성 역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다층적 서사구조 속에서 반추된다. ‘섬뜩함(das Unheinmliche)’과 ‘유령적인 것(das Gespenstische)’과 같은 비현실적 요소들이 회상을 통해서 이야기되는 허구적 현실 안에서 경험적 재현 가능성을 드러내게 된다. 이때 유령이야기는 과거와 현재의 중첩된 대립 현상을 인식시키고, 과거의 기억을 되살리는 매개체로서 기능하면서, 과거와 이어지는 ‘현재’에 대한 통합적 사고를 가능케 한다. 즉 문학의 허구성이 인간의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재현해내는 표현체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 과거를 회상하는 주체인 서술자에게 현재에 대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고, 미래로 연결된 과거와의 치열한 대립을 넘어서, 과거와 현재의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과거와 화해할 수 있는 의식의 형성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작가 슈토름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경험할 수 없는 초월적 존재와 인과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현실의 현상들을 다양한 서술자의 관점으로 회고함으로써 슈토름의 ‘회상’이라는 서술기법이 강조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By the Fireside (AmKamin, 1862), which is one of the earliest works by Theodor Storm (1817-1888) - a representative writer of realism in Germany - and is one of the ghost stories that have not been introduced to Korea. In By the Fireside, Storm opposed the romantic literary tradition of Germany and the return of literature to the unrealistic past and attempted to deromanticize literature by dealing with, in the category of realism literature, “ghost stories” that had been regarded as a “reactionary tool” amid the political confrontations between restoration and reactionism after the 1830s. From the socio-historical perspective, the work reflects the political circumstances and the critical situations of 19th century Germany. The work contains the frustrations over the civilian revolution in 1848, a sense of crisis in the wake of the Schleswig-Holstein War (Schleswig-Holstein Krieg) in the 1860s, and anxiety and fear of the contemporary Germans.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is a ghost story within the narrative (Binnenerzahlugen) in the narrative society (Erzahlgesellschaft) of story (Rahmenerzahlung). The main characters of the story include an old man (alter Herr), his wife, and a young woman Clarchen. The story unfolds in a pattern that the old man recollects and says to the audience at a tea-meeting society (Teegesellschaft) what he had experienced or heard - to be more specifically eight ghost stories - for two days. Meanwhile, the old man introduces the ghosts of the past to the audience and asks them to focus on “here & now” - the present and the actual situations. The “ghost stories” of Storm enables the readers to recollect the culture-related memories that had been cut off among the people in the midst of tensions of life and death. As the diverse aspects of realistic human life unfolded in relation to Storm’s “present” of the contemporary times, the accuracy of the stories being recollected is dealt with very importantly and is ruminated in the multilayered narrative structures. As the amplified sense of fear and feeling of revulsion among the audience are being expressed, the hitherto repressed emotions are emphatically exposed. Meanwhile, such unrealistic elements like the feeling of revulsion (das Unheinmliche) and the ghostlike thing (das Gespenstische) are reenacted in the fictional reality through the recurrent recollections. Besides, the relations between human souls and physical bodies are dealt with through the recollection of the dead ghosts, which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rearrange the present situations by memorizing again the forgotten past that had been severed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narrative techniques of “recollection” here have an important fun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ciousness in which the narrator reaffirms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narrator who is the subject of recollecting the past, overcomes the severe confrontations with the past linked to the future, recognizes the self-identity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reconciles with the past.

      • KCI등재

        미하엘 엔데의 시대 비판적 상상력과 인종주의적 세계 -엔데의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를 중심으로

        장영은 ( Chang Young-eun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7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37

        Der vorliegende Aufsatz widmet sich der Analyse von Michael Endes (1926∼ 1995) Kinderroman Jim Knopf und Lukas der Lokomotivfuhrer (1960), der im Vergleich zu seinen beiden anderen Werken Momo und Die unendliche Geschichte relativ seltener untersucht ist. Endes erster Roman erbrachte einen Paradigmenwechsel in der deutschen Kinder- und Jugendliteratur nach dem Zweiten Weltkrieg und bereicherte diese mit einem neuen Kindheitsbild Industriezeitalters, das wiederum auf das Kindliche der romantischen literarischen Tradition rekurriert. Nach Endes Tod wurden etliche Forschungen zu seinem Werk publiziert, die dazu verhelfen, auch Jim Knopf und Lukas der Lokomotivfuhrer aus einer vollig neuen Perspektiven zu interpretieren. In diesem Bezug soll die Studie Darwins Jim Knopf (2009) der Kunsthistorikerin Julia Voss vorgestellt und damit ihr neuer Forschungsansatz zu Endes Jim Knopf und Lukas der Lokomotivfuhrer untersucht werden. Ihre Hypothese besagt, der Roman sei eine `Parodie von Charles Darwins beruhmten Expeditionsbericht Die Fahrt von Beagle`. Sie legt viele Bezugspunkte zwischen Ende und Charles Darwin offen, wie etwa das Motiv der Kindesentfuhrung und die Anlehnung der Figur Jim Knopf an die reale historische Person “Jemmy Button”, einen Jugendlichen, der 1832 aus Feuerland nach England verschleppt und nach erst zwei Jahren in seine Heimat zuruckgebracht wurde. Charles Darwin hatte ihn auf der zweiten Expedition von Robert FitzRoy auf dem Forschungsschiff HMS Besgle kennengelernt.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wird das Augenmerk auf die zu Lebzeiten Endes nicht zur Kenntnis genommenen autobiographischen Bezuge in seinen Werken - wie seine Erfahrungen in einer rassistischen Bildungspolitik des Dritten Reichs unterworfenen Schule - und der Anklang dieser Kindheitserlebnisse und seiner sozialkritischen Ansichten im Werk Jim Knopf gerichtet. In der Phantasiewelt von Jim Knopf spiegelt sich Endes Kritik an der von den Nationalsozialisten vereinnahmten darwinischen Evolutionstheorie und an der rassenideologisch gepragten Bildungspolitik des Dritten Reichs wider. Die Phantasie ermoglicht einen Bruckenschlag zwischen Realitat und utopischer Gesellschaft und daruber hinaus die Selbstheilung der Verletzungen, die einst in der Kindheit zugefugt wurde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