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참당귀 추출물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문영자 ( Young Ja Moon ),장순애 ( Soon Ae Ja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4 No.2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cessed food with the effect of extract from Angelica gigas Nakai by assess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okie samples were prepared with shredded extract from Angelica gigas Nakai at varied levels of 0, 1, 3, and 5%. The pH of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ed extract from Angelica gigas Nakai and the dens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5% added group(p<0.05). The spread factor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ed extract from Angelica gigas Nakai increased(p<0.05). The Hunter color`s L value in cookie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a, b values in cookies increased(p<0.05). The hardness of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added extract from Angelica gigas Nakai increased(p<0.05). The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were lower in added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the storage period of cookies passed. The results of sensory characteristics demonstrated that 1% added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reference among all the items of added Angelica gigas Nakai extract(color, odor, taste, hardness, crispness and overall quality) and the added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indicated possibilities for developments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cookies.

      • KCI등재

        차전자피와 글루코만난의 혼합 첨가가 고지방 식이를 한 흰쥐의 혈청지질과 변지방배설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임문이(Moon Yi Yim),장순애(Soon Ae Jang),이승근(Seung Geun Lee),이선영(Sun Yung Ly)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3

        비슷한 특성을 보이는 두 가지의 수용성 식이섬유, 차전자피와 glucomannan는 모두 혈청 지질과 변 배설, 체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20% 고포화지방 식이와 동시에 식이무게의 1.58%에 해당하는 차전자피와 glucomannan의 혼합분말을 8주간 섭취하게 하고 체중과 혈청지방 및 변배설, 그리고 체지방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과 pair-fed control군, 식이섬유 섭취군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차전자피와 glucomannan은 수용성 식이섬유 중 비교적 적은 복용량으로 체중을 감소시키고, 변의 건조 중량, 수분 함량, 지방함량 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부작용 없이 변 배설을 도와주었으며 장에서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고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어줌으로서 바람직한 체지방 저하 효과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들은 차전자피와 glucomannan의 혼합투여가 체지방 감소와 혈청지질 개선, 변비해소 등에 효과적인 방법이며 특히 지방 섭취가 많은 현대인에게 지방 배설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mixture of two water-soluble dietary fibers, psyllium husk and glucomannan, on serum lipids, fecal fat excretion and body fat. Twenty one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control, pair-fed control and test group) and fed a high saturated fat (20% lard) diet (control diet) or a test diet (psyllium husk and glucomannan added to the control diet at the level of 0.9% and 0.68%, respectively) for 8 weeks. Pair-fed control rats were allowed to eat the amount of diet consumed by test group the preceding day. The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of tes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ese of control group. The mean values of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lower in test group than in pair-fed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ood intake. The dry weight and water content of feces and fecal fat excretion were markedly greater in test group than in control groups.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est group than in two control groups. The rats of two control groups had higher body fat contents than that of test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ation of the two water-soluble dietary fibers, psyllium husk and glucomannan, can be used as a potent lipid-lowering agent in individuals consuming high saturated fat diet.

      • 초등학생용 학교생활 기본심리욕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이명숙 ( Lee Myung Sook ),장순애 ( Jang Soon A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7 교육학논총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본심리욕구 이론에 근거하여 학교생활 맥락에서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 기본심리욕구를 평가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학교생활 기본심리욕구 척도(BPNSLS-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School Lif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를 구축하여 타당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심리욕구의 특수성 차원을 고려하여 학교생활 상황에서의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의 3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총 18 문항을 구축하여, 전문가 패널의 검토 절차를 거쳐 예비척도의 내용타당도를 검증 하였다. 일차적으로 구축한 예비척도를 초등학교 학생 5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문항 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 및 요인 구조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교생활 기본심리욕구 척도의 준거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이와 관련된 변인들인 학교행복감,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참여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타당화 근거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학교생활 기본심리욕구 척도가 이와 관련한 추후 연구와 교육실제에 던지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school lif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BPNSLS-ESS). In this study, a total of 521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Korea were participated. First, 18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execu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18 items composed of 3 sub-factors such as autonomy, relatedness. competences were extracted. Also the total explained variance of the 3 sub- factors was found to be 57.354%.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ere performed. The factor structure model fit-indices of CFI, TLI, and RMSEA were met the acceptable threshold and were confirmed structurally suitable model. The reliability Cronbach α for the BPNSLS was .921, and Cronbach α of the sub-factors ranged from .817 to .85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PNSLS can be used as a valid instrument.

      • KCI등재

        건조방법에 따른 포도 가공부산물의 품질특성

        육홍선(Hong-Sun Yook),김경희(Kyoung-Hee Kim),장순애(Soon-Ae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9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포도 가공부산물의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포도부산물의 건조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색도, pH, 항산화성분 및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회분, 조지방, 조단백 함량은 열풍건조시료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결과, L값(명도)과 a값(적색도)은 동결건조 한 시료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b값(황색도)의 경우 열풍건조시료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H는 열풍건조시료의 pH가 동결건조시료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동결건조시료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열풍건조시료에 비해 동결건조시료에서 비교적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환원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의 경우, reducing power 및 FRAP 값이 동결건조시료에 비해 열풍건조시료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수치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열풍건조시료에 비해 동결건조시료가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Improvement in the utilization of grape pomac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grape pomace was analyz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drying method such as 80℃ hot air and freeze (-70℃) drying process. For proximate composition,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s of hot air drying sample were higher than freeze drying sample. The lightness and redness values of freeze drying sample were higher than hot air drying sample, but yellowness of hot air drying sample was higher.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anthocyanins were higher in freeze drying sampl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of freeze drying sample were higher than hot air drying sample. The reducing power and FRAP value of hot air drying sample was higher than freeze drying sample. The result indicated that freeze drying method is slightly better than hot air drying method for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쑥 첨가 매작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변화

        김경희(Kyoung-Hee Kim),김수정(Soo-Jeong Kim),윤미향(Mi-Hyang Yoon),변명우(Myung-Woo Byun),장순애(Soon-Ae Jang),육홍선(Hong-Sun Y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이 있는 쑥 분말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한과의 일종인 매작과를 0%, 1%, 3%, 5%로 제조한 후 60±1℃에서 가속저장하면서 7일 간격으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매작과의 색도 측정 결과 쑥 분말 첨가에 따라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매작과의 경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 맛, 물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3% 쑥 분말 첨가 매작과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매작과의 산가 및 과산화물가의 경우 변화 양상이 동일하였고, 수치는 쑥 분말 첨가량이 높을수록 감소,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수소공여능 측정 결과 쑥 분말 첨가에 의해 수소공여능이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저장기간의 미생물 변화 측정 결과, 무첨가군 및 쑥 분말 첨가군 모두에서 저장기간 동안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총 호기성 세균, 곰팡이 및 효모군은 쑥 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총 호기성 세균, 곰팡이 및 효모군이 매작과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항미생물 효과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미생물 작용은 호기성 세균보다 곰팡이 및 효모군에서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매작과에 대한 쑥 분말의 첨가는 전반적인 기호도 및 항산화성, 미생물학적으로 저장성이 우수하여 매작과의 저장성 향상 및 맛 증진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gwor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ejakgwa. Maejakgwa were prepared with mugwort powder at levels 0%, 1%, 3% and 5% (60±1℃, 14 days).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of Maejakgwa significantly reduced depending on mugwort powder. The hardness of Maejakgwa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torage period and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ugwort powder. In the sensory evaluations, the Maejakgwa prepared with 3% added mugwort powder received higher acceptance scores for the properties of color, taste, hardness, crispiness, adhesive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As the mugwort powder content increased,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torage period,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of all sample increased but growth rate of these value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mugwort powder.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via the addition of mugwort powder and de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Maejakgwa with mugwort powder showed a stronger antimicrobial effect in yeasts and molds than in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Also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mugwort powder and de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results show that addition of the mugwort powder to foods with fat such as Maejakgwa would be a useful way to enhance the antioxidant quality, sensory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 KCI등재

        표고버섯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이미라(Mi Ra Lee),오득실(Deuk Sil Oh),위안진(An Jin Wee),윤병선(Byung Sun Yun),장순애(Soon Ae Jang),성창근(Chang Keun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표고버섯 물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6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고지방식이와 함께 표고버섯 물추출 분말을 1%, 3%, 5% 수준으로 첨가하여 12주간 공급하였다. 고지방 식이섭취는 체중, 혈청지질 농도 및 지방조직 무게를 증가시켰다.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는 고지방식이로 증가된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대조군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첨가군은 고지방 식이군보다 체중 및 피하지방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변배설량은 3%와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첨가군에서 고지방 식이군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는 고지방식이로 인해 증가된 간조직의 지방축적과 지질과산화물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군에서 지질과산화물 형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총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지방식이군은 간조직의 조직염색에서 지방간이 심하게 진행된 것이 발견되었고,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군은 지방세포에 지방이 침투하지 않은 간지방증 소견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표고버섯은 체중 및 체지방 감소, 그리고 혈청지방 농도 개선에 효과가 있어 비만관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Lentinus edodes water extract powder (LEP) in mice fed a high fat diet (HF, 45% kcal fat). Mice were administrated a HF diet supplemented with 1%, 3%, or 5% LEP for 12 weeks. Consumption of HF diet caused increases in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adipose tissue weights. Serum TC and TG levels in the LEP-supplemented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C group. Supplementation with 5% LEP significantly suppressed body weight gain and reduced the weight of subcutaneous adipose tissue compared to the HF group. HF diet ingestion resulted in higher lipid content and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However, LEP supplementation inhibited accumulation of hepatic lipids induced by HF diet, considerably decreased MDA levels, and elevated total antioxidant activity in the livers of mice in the 5% LEP group. Histopathologic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ivers of mice fed HF diet developed hepatic steatosis, whereas LEP-treated groups showed small fat dropl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term supplementation with LEP may also have an ameliorating effect on HF-induced obesity.

      • KCI등재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김미선(Mi-Seon Kim),김경희(Kyoung-Hee Kim),조지은(Ji-Eun Jo),최종진(Jong-Jin Choi),김영진(Young-Jin Kim),김종환(Jong-Hwan Kim),장순애(Soon-Ae Jang),육홍선(Hong-Sun Y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눈개승마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tyrosinase 저해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눈개승마의 생리활성효과와 식품 보존제 및 화장품 원료 등의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눈개승마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335.88±2.26 ㎎/g GAE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눈개승마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IC50이 0.06 ㎎/mL, n-butanol 분획물이 0.25 ㎎/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0.5㎎/mL)은 ethyl acetate, n-butanol 분획물이 각각 99.16±0.09%, 89.29±0.64%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과 FRAP value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80.76±0.61%(ethyl acetate), 72.34±0.79%( n-butanol)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5㎎/mL의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이 59.08±0.98%로 나타났다. 항균활성은 chloroform 분획물(0.1 ㎎/disc)이 B. cereus(14 ㎜), B. subtilis(12.5 ㎜), S. aureus(10.8 ㎜), E. coli(20.7 ㎜)와 같이 4종류의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E. coli(17.2 ㎜, 0.5 ㎎/disc)에 대해 나타내었다. 눈개승마 chloroform 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는 B. cereus가 50 ㎍/mL, E. coli가 25 ㎍/mL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눈개승마의 ethyl acetate와 n-butanol 분획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chloroform 분획물은 높은 항균력을 가지고 있어 눈개승마의 분획물들은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olvent extra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which were extracted by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whiten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of fractions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 showed the highest value (335.88±2.26 ㎎/g GAE) on ethyl acetate fraction. The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were 0.06 ㎎/mL and 0.25 ㎎/mL as IC50 values on DPPH radical scavenging, and 99.16±0.09% and 89.29±0.64% o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Also, reducing power and FRAP value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ethyl acetate fraction. The SOD like activity showed 80.76±0.61% on ethyl acetate and 72.34±0.79% on n-butanol.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at 5 ㎎/mL) were 59.08±0.98 % on ethyl acetate fraction.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 cereus (14 ㎜), B. subtilis (12.5 ㎜), S. aureus (10.8 ㎜), E. coli (20.7 ㎜) at 0.1 ㎎/disc and the inhibition zone diameter of ethyl acetate fraction was 17.2 mm against E. coli at 0.5 ㎎/disc.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chloroform fraction against B. cereus and E. coli were 50 and 25 ㎍/mL,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could be used as functional material for food additive ingredient and chloroform fraction could b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a food preservative.

      • KCI등재

        건조방법과 감마선 조사에 따른 포도가공부산물의 색상 변화 및 항산화활성

        조지은(Ji-Eun Jo),육홍선(Hong-Sun Yook),김경희(Kyoung-Hee Kim),백종연(Jong-Yeon Baek),문영자(Young-Ja Moon),박성진(Sung-Jin Park),장순애(Soon-Ae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2

        본 연구는 폐자원인 포도가공부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 마련을 위해, 열풍 및 동결건조한 뒤 1~20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포도가공 부산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색도는 열풍건조시료의 경우 3 kGy에서 가장 높은 L값과 a값을 나타낸 후 조사선량 증가에 따른 감소를 나타내었고, 동결건조시료의 경우 가장 높은 조사선량인 20 kGy에서 가장 높은 L값과 b값을 나타내어 열풍건조라는 고온의 전처리를 통한 색소의 파괴가 미리 진행되어 감마선 조사에 따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3 kGy의 감마선 조사는 열풍건조한 포도가공 부산물 시료의 색택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풍건조시료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3 kGy 조사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조사선량 증가에 따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비조사구보다는 조사구에서 더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을 나타냈다. 동결건조시료 메탄올추출물의 경우, 비조사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조사구에서는 3 kGy 조사구가 가장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및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의 측정 결과 역시 페놀화합물 함량의 측정결과와 마찬가지로 열풍건조시료의 메탄올추출물에서 3 kGy 조사구가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시료를 1~5 ㎎/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열풍과 동결건조시료 모두 3 kGy 조사구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3 kGy의 감마선 조사는 포도 가공 부산물의 색택 및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공부산물 활용의 측면에서 볼 때, 감마선 조사에 따른 포도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증가는 미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나 큰 의미를 갖지 못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quality featur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by-products. This experiment was to arrang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functional material using grape by-products which were useless resources. Hot-air and freeze drying were followed by the gamma irradiation of 1~20 kGy. Hunter's color value, in case of hot-air drying, showed the highest L and a value in the 3 kGy, and it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exposure dose. In the case of freeze drying it showed the highest L and b value at the highest exposure, 20 kGy. It was considered that the breakdown of the pigment through high temperature processing was launched and the influence according to the gamma irradiation was not shown. The gamma irradiation of 3 kGy appeared to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color of the grape by-products which went through hot-air drying. The conte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in case of hot-air drying,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the 3 kGy irradiation and it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exposure dose; in contrast, the higher phenolic contents showed in the irradia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In case of freeze drying, the highest phenolic contents appeared in the control but 3 kGy showed the highest one in the irradiated group. Results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and ABTS indicated that 3 kGy showe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hot-air and freeze drying. Therefore, it was found that gamma irradiation of 3 kGy could improve the color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by-products, but an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by-product due to the gamma irradiation was a little affected in the aspects of by-product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