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숙희 ( Sook Hee Jang ),김창숙 ( Chang Sook Kim ),김미란 ( Mi Ra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계를 보인 변수는 용돈수준이었다. 이를 사후검증한 결과 용돈이 매우 부족하다고 한 대상자가 그렇지 않는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용돈이 충분하다고 한 대상자가 그렇지 않는 집단보다 더 높게 높게 나타났다는 Cho (2000)와 Choi와Suh (1999)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였다. 이는 용돈이 매우 부족하다고 한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생활보호 대상 등의 저소득층으로서 사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변수는 직업유무, 건강상태, 질병유무, 생활비 부담이었고, 건강상태와 생활비 부담은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업유무에 따라서는 직업이 있다고 한 대상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직업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지만 직업이 없는 노인에 비해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았다고 한 Kim (2005)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현재 직업의 유무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수 있었다.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매우 나쁘다고 응답한 대상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Ahn (2005), Park 등(2004)과 Kim (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인지할수록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의 건강상태가 양호하면 노인의 자아존중감도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노인의적절한 건강증진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병유무에 따라서는 질병이 없다고 한 대상자에서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Kim (200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만성적인 질병을 갖고 사는 노인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질병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질환을 조절하고, 질병이 양호한 범위 내에서 관리하므로 자신들이 주관적으로 질병이 없다고 여길 때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으며, 실제로 질병이 없어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도 있으므로 노인분야에서 일하는 간호사나 종사자는 노인들에게 질병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생활비 부담에 따라서는 자신이 부담한다고 한 대상자와 자신과 자녀가 함께 부담한다고 한 대상자에서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ark 등(2005)과 Kim (2003)의 연구 결과와비슷한 맥락으로 국가 보조나 타인에게 의존하거나 자녀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노인보다 본인이 경제적 능력이 있는 사람이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미미한 평균값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분석한 결과로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혼자 산다고 한 대상자와 결혼한 딸과 함께 산다고 한 대상자, 결혼한 아들과 함께 산다고 한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혼자 사는 노인에 비해 두 부부만 사는 노인에서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Song (2003)의 연구 결과와는 다른 결과였다. 또한 동거가족형태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Moon (2000)의 연구 결과와도 다른 결과였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노인들의 의식 속에 노후 부양의 책임은 자녀에게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미혼의 자녀는 출가시켜야 자신의 책임과 의무를 다했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살고 있기 때문에 결혼한 자녀와 함께 사는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건강하다고 한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Song (2003)과 Moon (200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건강한 노인들이 생활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단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는 자아존중감은 15%를 설명하였고, 생활만족도는 12%를 설명한 것으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노인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이나 가족들, 기관들에서는 노인들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할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노년기를 보내는데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고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지 해주고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study was undertaken from June 1 to July 15, 2008 to asses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volunteers. Method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determined using previ-ously established and accepted methods. Data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imple regression. Results: Subject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closely related. The relationships of social support/self-esteem, social support/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Social support accounted for 15% of self-esteem and 12%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Social suppor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ocial support, which sustains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represents one of the best strategic nursing interventions.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과 고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장숙희 ( Sook Hee Jang ),박재경 ( Jae Kyoung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과 고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 능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를 토 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자의 행복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직업과 자아 이미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먼저 직업을 살펴보면, 상업, 사업, 서비스를 가진 직업군에서 행복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업의 분포가 너무나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비교라 할 수 없겠다. 대상자 중 57.5%가 전업 주부였는데, Park과 Kim (2009)의 연구에서는 전업주부와 직장이 있는 주부는 행복에 대한 지각의 차이가 없으며, 직업을 가진 주부에서도 직업의 종류가 아닌 직업의 성취 정도가 행복에 영향을 미침을 보고하였다. 이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상업, 사업, 서비스의 직업군에서 행복정도가 높게 나온 것 은 아마도 대상자가 자유롭게 봉사를 할 수 있는 시간적, 경제 적 여유가 있는 직업성취도가 높은 구성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 다른 하나는 대상자의 자아 이미지 만족정도였는데, 대상자 가 자아 이미지에 매우 만족할수록 행복이 높음을 나타내 주었다. 이는 자아 이미지에 대한 만족정도와 행복과의 관계는 순 상 관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 이미지란 개인이 대상인 객체 로서의 자기 자신과 관련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느낌의 총 체로서(Rosenberg, 1979), 인간은 의식적이든 무의식 적이든 생활경험에 근거하여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끊임없이 평가하며, 그 평가 결과는 자존감의 기초가 된다. 자기평가에서 중요한 한 가지 기준은 이상적 자기상이며 자신이 지녀야 한다고 생각하는 특성들을 의미한다. Moerretti와 Higgins (1990)는 실제적 자기상과 이상적 자기상의 격차가 적을수록 긍정적 자존감과 주관적 안녕이 증가함을 보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긍정적인 자아 이미 지를 위해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필요하며, 자신이 가치 가 있다는 태도와 신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대상자의 고독감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월수입이 100만 원 미 만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경제적 수준이 낮으면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이는 여러 선행연구들의 결과들(Lee, 2004; Yang & Hong, 2003)과 일치하며, 수입원인 직업이 없을 때 고독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입과 고독감간의 관련성을 나태 내고 있는 Kwon (1998)의 연구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아마도 경제적 수준은 대상자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중요 한 수단이므로 낮은 경제력을 가진 집단에서는 대상자의 다양한 기본적인 욕구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저소득 집단에서는 자 기계발과 목표를 추구하는 것이나 사회적으로 안정된 지위를 얻고 인정을 받는 것이 고소득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태이므로 저소득 집단에서의 높은 고독감은 예상할 수 있는 결과로 보여 진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문직의 직 업군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전문직의 과제가 단순한 직무가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역량을 필요로 하며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어 직업가치 인식 수준이 높아 지기 때문에 이러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자기효능감이 다른 직업 종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해석되며, 높은 자기효능감 을 가진 집단이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집단보다 직업 가치 인식수준이 높다는 Lee (2003)의 연구가 이를 뒷받침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취미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로서의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미활동은 휴식과 재미를 줌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고, 강요가 아닌 스스로 선택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높은 자기효능감이 내제되어 있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가설 1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이 고독감에 영향(β=-.450)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으나,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인 자기효능감의 교호작용을 투입한 결과는 유의하지 않아(p>.05), 가설 2는 행복과 고 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 되어 기각되었다. 그러므로 봉사자에게 자기효능감이 없어도 행복만으로도 고독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Yoon (1996)은 노인들이 자원봉사 활동을 함으로써 고독감이나 소외 감이 해소된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이유가 봉사 기관에 대한 소속감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소속감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이 높아진다는 Lee (2008)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노인 고독감의 저하의 이유가 주관적 안녕 즉 행복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이 고독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해준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복이 높다는 여러 연구결과 (Koo & Kim, 2006; Park & Kim; 2009)들을 근거로 행복과 자기효능감의 교호작용시 고독감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계적 분석에서 오직 행복만이 고독감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고독감 해소를 위해서는 행 복을 더욱 증진시켜야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봉사자의 고독감을 감소하기 위해서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적용한 행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 하다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roll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lonely-ness of hospice volunte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hospice volunteers in G City. This study uses the happiness scale that Lee and Yu developed, the loneliness scale that Russell revised and Park translated, and Bandura`s self-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OVA, and hierarchal regression by using SPSS 12.0. Results: The happiness scale of the subjects, based on general traits, was significant in occupation and image. The loneliness scale was significant in monthly income. The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 in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hobby. The happiness of the volunteers affected lonelines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loneliness of the volunteers, self-efficacy did not have controlling influence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happiness can affect loneliness without the controll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As such, it would be beneficial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happiness of hospice volunteers.

      • 아쿠아로빅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김창숙(Chang-sook Kim),장숙희(Sook-hee Jang),김영재(Young-jae Kim),박명희(Myung-hee Park),이숙자(Suk-ja Lee)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9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quarobics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in elderly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enty-six elderly women enrolled in an Aquarobics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6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a week during the period of 12 week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sessed using the instruments to measure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before and after the aquarobics exercise program. Data was collected between September and December in 2006, and analyzed by frequency, paired with a t-test, using a SPS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ility,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quarobics exercise can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in elderly women.

      • 당뇨병환자의 자기조절교육 프로그램 효과와 지속에 관한 연구

        홍명희 ( Myeong Hee Hong ),유주화 ( Joo Wha Yoo ),구미옥 ( Mee Ock Gu ),김순애 ( Soon Ai Kim ),이정림 ( Jeong Rim Lee ),구민정 ( Min Jeong Gu ),강양교 ( Yang Gyo Kang ),장숙희 ( Sook Hee Jang ),박봉숙 ( Bong Suk Park ),심강희 ( Ka 대한당뇨병학회 2009 임상당뇨병 Vol.10 No.3

        연구배경: 당뇨병 치료의 성공여부는 환자 자신의 자기간호행위에 달려있으므로 환자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일회적인 교육은 단기적으로 관련 지식과 행위를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나 장기적인 행동변화나 일상활동의 조절에는 제한점을 갖는다. 따라서 행위 조절을 유도하는 다른 중재 방법을 포함시킨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지속적인 행위 변화 효과를 기대하게 하므로 본 연구는 일반적인 당뇨병교육을 이수한 사람들 가운데 인슐린 주사요법으로 치료받고 있는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자기조절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여 당뇨병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을 높이고, 자기간호행위를 증진시킴으로써 혈당조절을 개선하고, 그 효과가 얼마간 지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환자들로 6개월 이상 인슐린 치료를 받고 있고, 당화혈색소 7.5% 이상인 자로 실험군 46명, 대조군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자기조절 교육을 받은 군이고, 대조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군이며, 독립변수는 자기조절교육 유무이며, 자료 수집은 교육을 시행하기 전, 4주간의 자기조절교육을 실시한 직후, 교육 후 2개월, 교육 후 6개월로 정하여 자기효능, 자기간호행위, 자기조절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4회에 걸쳐 수집하였고 혈당조절 측정은 교육 전, 교육 후 2개월, 6개월에 실시하였다. 결과: 1) 자기간호행위정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5.286, P=0.025). 자기간호행위는 시기에 따른 차이(F=5.336, P=0.005)가 두 군 간에 유의하였고,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F=5.514, P=0.004) 또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효능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29.409, P=0.000). 그러나 시기에 따른 차이(F=0.945, P=0.392) 및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F=1.442, P=0.241)은 두 군 간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혈당조절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F=0.627, P=0.432), 시기에 따른 차이(F=4.641, P=0.013)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F=0.843, P=0.430)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4주간의 자기조절교육 프로그램은 자기효능이나 자기간호행위는 증가시켰지만, 혈당조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가 6개월 이상 장기적인 연구인 까닭에 대조군의 탈락자가 많이 발생한 점, 환자나 의료진 모두 인슐린 용량 증감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어려웠다는 점, 또한 10년 이상 당뇨병을 가지고 살아가는 환자들의 생활습관의 변화를 유도하기는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뇨병관리에 필요한 자기효능 및 자기간호행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반복적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4-weeks self-regulation education program makes the diabetic patients, who are treated with injection of insulin, to improve their glucose adjustment and how long this effect will be persisted by self-care and improvement of self-efficacy. Methods: This research is object for 46 persons of test group and 37 persons of control group in type2 diabetics who are under the medical care more than 6 months and above HbA1c 7.5%. Test group is defined as self-regulation educated group and control group is not. Independent variables are defined whether self control education is trained or not. We compared self care score and self efficacy score with pre-education, post-education, at the point of 2 month later and 6 month later. Results: 1) The extent of self-care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F=5.286, P=0.025). Self care indicates that it is connected to difference of period (F=5.336, P=0.005), lapse and interaction among the groups. 2) Self-efficacy appears to have shown the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F=29.409, P=0.000). However, self efficacy does not seems to be connected with the gap of period (F=0.945, P=0.392), lapse, and interaction among the groups (F=1.442 P=0.241). 3) Blood glucose adjustment dose not show th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F=0.627, P=0.432), However, the gap of period (F=0.627, P=0.432) has an effect to connect with blood glucose adjustment. Meanwhile, that is not seemed to connect with lapse and interaction among the groups (F=0.843, P=0.430).

      • KCI등재
      • 일부지역 여대생들의 성 지식과 성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 간호·비 간호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장숙희 順天靑巖大學 1998 論文集-順天靑巖大學 Vol.22 No.1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sex knowledge and need for sex educ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no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work are 170 nursing students and 163 non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in sunchu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 1, nov. 10, 1977 using questionaire developed by Le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was 76.85 and of non nursing students was 66.27 (maximum score for sex knowledge was 100). Among 5 items pregnancy showed the highest score (79.29) and anatomy of reproductive system showed the lowest score (70.00) for nursing students. For non nursing students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howed the highest score (77.96) and the contraception showed the lowest score (51.01). 2. 100% nursing students and 98.2% non nursing students answered 'yes" about the need of sex education The reasons for need of sex education were as followed in order of highest frequency coping well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55.5%), preventing wrong sexual curiosity (19.3%), helping to understand the other sex (11.6%), reducing social problem like as single mothers, illegal abortion and etc (11.6%), reducing infection with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2.4%). 3. Among 5 items of sex education for both nursing and non nursing student the physiology of reproductive system showed the highest need for sex education (nursing students 166.% ; non nursing students 13.95%) and th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howed the lowest need for sex education (nursing students 3.26% ; non nursing students 6.23%). 4. The results from the tests for the sex knowledge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18.34, p=.000), receiving sex education (t=3.59,m p=.000), family type (t=0.86, p=.05), family sexual attitude (f=3.73, p=0.02).

      • 일부지역 부인의 산전 산후 지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장숙희 순천청암대학 1989 論文集-順川看護專門大學 Vol.13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inhabitants for the knowledge and attitude pre & postpartum care in part provincial women. Used data are 201 married women between the ages 21 to 55. And so this study was initiated from Ist, August 1989 to 15th, August 1989, and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showed the follwing;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men for the total 201 respondents, about 44.3 percent of all snbjects were between 31-35 year old the highest and average age was 32.3 year old. From the standpoint of educational background, a group of high school graduates was 53.2 percent the highest. The mean frequency number of pregnancies was 2.7 and average number of living children of women was 1.8 number. 2. The knowlege and Attitude of prepartum care ; when the first visit to antenatal clinic, number of antenatal care, a place of Delivery, Baby sex, position of baby, nutrition supplement of pregnancy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ir age level(p<0.05); E.D.C do a Sum, nutrition supplement of pregnancy, late pregnancy attention, Breast Ca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p<0.05) 3. The knowlege and Attitude of postpatum care ; why a lot of eating becouse postpartum, first feeding type of newborn baby, why breast milk beeding becous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ir age level(p<0.05); a period postpartum, feeding time after Delivery, food type of postpartum, why a olt of eating becouse postpartum, postpartum exercise, nipple care before feeding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p<0.05)

      •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 With special Reference to Soon Cheon Nursing Junior colleage.

        장숙희 순천청암대학 1986 論文集-順川看護專門大學 Vol.11 No.-

        As it prouides nusing students the opportunity for correlating principle and practic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of fus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d principles of guidance and curriculum for rousing education by surveying veconigations and attitudes of students of nursing school.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November 21 to December 9, and students were given questimnaire. First answer is 143 student, and second is 147 student, and Total answer is 190 student, but first answer and second answer is same person.(150 zinior) Data analysis include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error, p-Value. pearson Corre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AZUKCY through computer stratistic disposition. Results are as for lows ; 1. Level of Satisfaction of contents ( mean Score = 2.5 ) revealed to be Low. 2. Level of Satisfaction of environment ( mean Score = 3.21 ) revealed to be high. 3. Level of Satisfaction on hours ( mean Score = 2.77 ), guidance ( mean Score = 2.93). 4. Level of Satisfaction of evaluation ( mean Score = 2.87 ). 5. Level of Satisfaction of relation ship ( mean Score = 2.63 ). 6. Level of Satisfaction revealed to be Low ( total mean Satisfa ction Score = 2.88).

      • KCI등재

        노인의 건강 상태,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장숙희 노인간호학회 2006 노인간호학회지 Vol.8 No.1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82 elderly over 65, from October 1, 2005 to October 30, 2005 in G city. The instrument used were health status scale developed by Young-Hee Choi et al. (1990),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Jee-Won Park (1985) and partially amended by Joo-Woo Hong (1999), and life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Jin Yoon (1982). Data were analys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PC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health status of subject, The mean score for physical health status was 2.6± 23, psychological health status was 2.4± 39. The mean score for social support was 3.4± 88. The mean score for life satisfaction was 2.0± 52.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perceived health status, share of living expense and illness existence.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ocket money.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living together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illness existence and pocket money. 5.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ed physical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r=.662, p=.000), physical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r=.303, p=.006), physical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r= .514, p=.000),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r=.489, p=.000),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r=.818, p= .000),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r= .375, p=.001). From above result,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themselves a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to affect life satisfaction Thu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nursing intervention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