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사회과에서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Differentiated Instruction)이 학습자의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수빈 ( Soo Bin Jang ),김경자 ( Kyung Ja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Wiggins와 McTighe(1998, 2004)의 이해 중심 설계 모형(UbD)과 Tomlinson(2001,2005)의 차별화 수업(DI)을 통합하는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이 학습자의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P초등학교 5학년 26명을 대상으로 사회과의 2개 단원을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으로 설계하고 실시하였다. 수업 설계는 모든 학습자가 기대한 이해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백워드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해를 확인하기 위한 수행과제를 교수-학습 활동 설계에 앞서 계획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실의 여러 요소들을 선택할 수 있는 차별화된 학습 활동으로 2개 단원 총 50차시 분의 수업을 설계하고 실시하였다. 10주간의 수업 과정에서 실시한 수행과제 결과,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 심층적인 이해를 형성하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 모형에 따른 수업 설계가학습자의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a program based on the integrated model of UbD and DI on the understanding and the self-regulation of 5th graders in social studies class. To design such program, the integrated model of UbD and DI, suggested by Jay McTighe and Carol Ann Tomlinson in 2006, was used and overall 50 lessons were planned based on two separate social studies units. Following the backward method, two different performance tasks on each unit were developed before planning lesson activities in order to examine students` understanding on big ideas. Also, two identical tests to measure self-regulation were initi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interpret the results of quantified data on understanding and self-regulation, learning logs and journals recorded by students after each lesson were analysed. Synthesizing all those results gathered,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gram design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2015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정책 행위자의 참여 경험 분석

        장수빈(Jang, Soo Bi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3

        이 연구는 2015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했던 행위자가 의사결정 과정을 어떻게 경험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료, 학자, 시민사회 대표 등의 다양한 행위자들이 개정 의제 형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경험했는지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는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정 의제 형성의 특징과 시스템 변화를 한국 사회의 민주화의 흐름과 지난 40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신자유주의 교육개혁 담론의 세계적 확산이라는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뒤이어 2015 개정에 참여했던 21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개정 참여자들이 개정의 중심 의제들의 형성 및 개정 결과를 어떻게 경험하였으며 특히 역학관계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의사결정 구조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을 제시하고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며 글을 맺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how policy a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experienc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dynamics between the various actor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formation of the revision agendas.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I first discuss the recent trends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the growing political voice of education consumers in the context of the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global spread of neoliberal education reform discourse that has been around for more than 40 years. Then I present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with the 21 participants in the 2015 revision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the various actors in the revision and how they assess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I conclude by presenting a perspective on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policy-making in Korea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vision.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탐색: 정책적 활용성을 중심으로

        장수빈 ( Soo Bin Jang ),한동숙 ( Dongsook Ha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정책적 활용성이라는 측면에서 국내 국가교육과정 관련 연구를 분석해 보고 그 동향을 파악하였다. 정책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연구의 양적 및 질적 성장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최근 30년의 기간 동안 국가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발행된 학술 논문 541편을 분석하였다. 질적 메타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정책 단계와 연구결과의 성격에 초점을 맞춰 분석기준을 개발하고 코딩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 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분포는 정책 단계별로 고르지 않게 나타났으며, 정책 형성단계와 산출물에 편중되어 있다. 또한, 개선안 제시보다 실태 파악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비중이 월등히 높으며, 실태 파악 연구의 대상은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국면이나 교육과정 문서(document)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정책형성단계 연구에서의 다양한 접근, 문서 자체의 분석이 아닌 교육과정 문서가 활용되는 국면에 대한 실태 파악, 교육 정책 관련자들의 체계적인 평가 연구 선도와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rends in national curriculum literature focusing 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This foundational study evaluated 541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last three decades to explore their potential for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making. The method of meta-synthesis was used with an emphasis on the policy process and research findings. The analysis revealed that existing literatures are un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olicy process; articles were concentrated on policy formation and policy output stages. Additionally, descriptive research exceedingly outnumbered prescriptive research; most descriptive research focus on curriculum making or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diversifying curriculum policy formation studies, drawing research attention to the stud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policy actors' leading role in expanding the number of curriculum evaluation studies.

      • KCI등재

        교육과정 숙의, 틀 짓기, 미디어의 관계: 2015 국가 교육과정 수학과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장수빈 ( Soo Bin J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1

        이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의 숙의 과정에서 미디어의 잠재성과 비전통적인 행위자의 참여를 2015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수포자" 논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정책을 추진하는 세력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공의 정서를 변화시키기 위해 능동적으로 노력하며, 이러한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을 틀 짓기라고 한다. 틀 짓기는 정책엘리트나 정책혁신가가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정책의 쟁점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하는 것이며 언론을 통해서 일반 국민에게 전달된다. 이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의 숙의 과정에 미치는 정책혁신가와 언론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교육부와 교육 시민 단체인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의 보도 자료에서 틀 짓기가 어떻게 이루어지며, 이것이 다시 언론보도를 통해서 어떻게 국민에게 전달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교육 시민 단체인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은 실증적 데이터 생산 및 배포, 기자회견 등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수포자" 문제를 부각시켰다. 또한 "수포자" 문제의 일정 부분의 책임이 수학 교육과정에 있으며,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이 어렵고 내용이 많은 이유는 수학 학계 및 수학 교육학계의 이해관계 탓으로 틀 짓기 된다. 이러한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의 틀 짓기는 언론보도에서도 그대로 반복되었다. 이 사례는 비전통적인 민간 행위자도 정보, 인력, 리더십, 등의 정책자원을 확보함으로서 교육과정 숙의의 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가 가능할 수 있었던 큰 요인은 복잡한 교육과정의 문제를 "수포자"로 틀 짓기 함으로써 국민들의 관심을 끌고 여론을 형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supoza issue framing with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process in order to explore the potentiality of media coverage and the role of non-traditional policy actor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olicy entrepreneurship and media coverage in the national curriculum deliberation process by analyzing the framing of the press releases of both the citizen organization the World without Shadow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by comparing these with the actual media coverage of the supoza issue. I found that the World without Shadow Education expanded the issue of supoza by producing and disseminating the data to support their rationale. Their framing indicated that the supoza problem was caused by heavy learning contents with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blamed mathematics academics and mathematics educators for such a condition. Their framing was evidently repeated in the media coverage. This case reveals that non-traditional policy actors may influence national curriculum deliberation by securing policy resources that include information, personnel, leadership, etc.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success of their policy entrepreneurship is that they were able to gain and fix public attention by strategically using a rhetorical device, supoza, which evoked a quick and emotional response from the public.

      • KCI등재

        공포자극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반응과 불안수준과의 관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은혜 ( Eun Hye Jang ),이영창 ( Young Chang Lee ),수빈 ( Soo Bin Im ),김숙희 ( Sook Hee Kim ),손진훈 ( Jin Hun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3

        공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불안과 공포 장애를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어왔으며, 공포를 불안의 특수한 한 형태라고 생각하여 불안과 공포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공포 정서를 경험하는 동안 나타나는 자율신경계 반응을 밝히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포 정서를 유발하는 시청각 동영상을 제시하고 심리 반응과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공포 정서의 적합성 및 효과성은 80%이상으로 나타나 공포정서유발자극이 적절하고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율신경계 반응 분석 결과, 공포정서가 유발되는 동안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 피부전도반응의 수, 호흡주기관련 심박률 변화, 호흡수, 심박률분산의 고주파수 성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장박동주기는 감소하였다. 공포 정서에 의해 야기된 자율신경계 반응에서는 불안수준이 높을수록 피부온도, 심박률, 호흡주기관련 심박률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안수준이 높은 아동일수록 공포 정서를 경험할 때 자율신경계 반응의 변화가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atients who suffer from anxiety disorders. However, there is been not enough attention o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between the two populations with and without anxiety disord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ANS responses induced by fear in children.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as follow: All subjects were in upper grade levels in elementary school. ANX(anxiety) scales of PIC(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were used to measure fear anxiety. Audio-visual clips were used as stimulus to provoke fear emotion. Baseline of physiological signals, ECG, PPG, EDA, and SKT, were measured for 30 seconds before the fear stimulus. Physiological signals were then recorded for 2 minutes while fear is evoke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All the children reacted to the fear stimulus with high intensity of fear. Physiological responses showed that SKT, SCR, NSCR, HR, RSA, RESP, HF were increased, while R-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fear induction. Analysis of the level of anxiety an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produced by the experience of fear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KT, HR, and RSA.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anxiety, the higher the levels of SKT, HR, and RSA when children experienced fear.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rough this research that physiological responses to fear i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anxiety each individual.

      • KCI등재

        비내시경 소견의 알레르기비염 분류 도구와 중증도 평가도구의 상관성 연구

        이규진,윤영희,김규석,장수빈,최인화,고성규,Lee, Kyu-Jin,Yun, Young-Hee,Kim, Kyu-Seok,Jang, Soo-Bin,Choi, In-Hwa,Ko, Seong-Gyu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5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 We performed a clinical study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pattern identifications using nasal endoscopy for allergic rhinitis (AR). Methods : We assessed 32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using nasal endoscopy, classifications of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 and total nasal symptom score (TNSS). Results : The watery rhinorrhea score of nasal endoscopy was significantly high in 'persistent and moderate/severe' group (P<0.05). Patients were classified as rhinorrhea group and nasal obstruction group according to nasal endoscopy. TNSS and rhinorrhea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in rhinorrhea group (P<0.05). Conclusions : The result may provide that the watery rhinorrhea of nasal endoscopy is useful as 'Cold' and 'Deficiency'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tool.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보리 도정이 Fusarium 곰팡이독소 저감에 미치는 효과

        백슬기,이미정,나주영,수빈,최정혜,최장남,자영,양정욱,이데레사,Seul Gi Baek,Mi-Jeong Lee,Ju-Young Nah,Soo Bin Yim,Jung-Hye Choi,Jang Nam Choi,Ja Yeong Jang,Jung-Wook Yang,Theresa Lee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곡류의 도정은 곰팡이독소의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리에서의 도정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트리코테씬과 제랄레논 독소에 오염된 겉보리 7점과 쌀보리 4점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정 비율에 따라 도정하였다. 두 종류의 보리는 데옥시니발레놀과 아세틸 유도체(98.1-2,197.8 ㎍/kg), 니발레놀과 아세틸 유도체(468.5-3,965.1 ㎍/kg), 제랄레논(4.1-274.2 ㎍/kg) 등에 동시에 오염되어 있었다. 겉보리를 67%로 도정한 결과 데옥시니발레놀은 90.9%, 니발레놀은 87.7%, 제랄레논은 93.2%가 각각 감소하였다. 70%로 도정한 쌀보리의 경우는 데옥시니발레놀 88.6%, 니발레놀 80.2%, 제랄레논 70.1%이 각각 감소하였다. 두 보리 모두 데옥시니발레놀과 니발레놀의 아세틸 유도체는 100% 감소하였다. 그러나 보리겨는 도정 전 보리에 비해 곰팡이독소가 크게 증가하였다. 겉보리의 겨에서는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이 각각 평균 357%, 252%, 169% 증가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쌀보리의 겨에서는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이 각각 337%, 239%, 554%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낟알의 외피에 존재하는 곰팡이독소가 도정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정을 통해 곰팡이독소가 낟알에서 겨로 집적됨에 따라 보리겨를 인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독소의 오염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Milling can affect the distribution of mycotoxins in small grai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barley, seven hulled barley and three naked barley samples naturally contaminated with trichothecenes and zearalenone were obtained and milled at commonly used rates. Both barleys were simultaneously contaminated with deoxynivalenol and its acetyl derivatives (98.1-2,197.8 ㎍/kg), nivalenol and its acetyl derivative (468.5-3,965.1 ㎍/kg), and zearalenone (4.1-274.2 ㎍/kg). Milling hulled barleys at a rate of 67% reduced the mycotoxins in the grain by 90.9% for deoxynivalenol, 87.7% for nivalenol, and 93.2% for zearalenone. The reduction in naked barleys (milled at a rate of 70%) was slightly lower than in hulled barleys, with 88.6% for deoxynivalenol, 80.2% for nivalenol, and 70.1% for zearalenone. In both barleys, the acetyl derivatives of deoxynivalenol and nivalenol were reduced by 100%. However, barley bran had significantly higher mycotoxin concentrations than the pre-milled grains: bran from hulled barley had a 357% increase in deoxynivalenol, 252% increase in nivalenol, and 169% increase in zearalenone. Similarly, bran from naked barley had a 337% increase in deoxynivalenol, 239% increase in nivalenol, and 554% increase in zearalenone. These results show that mycotoxins present in the outer layers of barley grain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the milling process. As milling redistributes mycotoxins from the grain into the bran, however, it shows that advance monitoring of barley bran is recommended when using barley bran for human or animal consumption.

      • KCI등재

        언어분석기법을 활용한 치과위생사의 의료인화 관련 신문기사 분석: R 프로그램 이용

        김송이,윤가림,강동현,김수진,이시은,장수빈,홍성민,황지훈,김남희,Kim, Song-Yi,Yoon, Ga-Rim,Kang, Dong-Hyun,Kim, Su-Jin,Lee, Si-Eun,Jang, Soo-Bin,Hong, Seong-Min,Hwang, Ji-Hoon,Kim, Nam-Hee 한국치위생학회 2017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7 No.5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trade newspapers related to 'recognition of the dental hygienist as the healthcare professional' using R program and to identify opinions of groups concerned with dental hygienist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contents analysis and cross-sectiona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articles for the last three years in medical and dental newspapers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dental hygienist as the healthcare professional. The collected articles were categorized and classified for each group's opinions about the issue. The key word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the opinions of agreement and disagreement. They were visualized after frequency analysis using R, a big data analysis program. Results: A total of 237 newspaper articles were extracted among 270 ones containing opinions. 245 were positive opinions and 25 were negatives. The main key words of the agreement were 'Amendment of Medical Law', 'Medical Practice', and 'Legal Guarantee of the Practice'. Advocates addressed that the issues should be resolved with the amendment of the law, as dental hygienists are not guaranteed to work based on the current law although they are actually doing the medical practices. Main key words of disagreement were 'Legal Guarantee of the Practice', 'Revision of Medical Technician Law', and 'Review of Job Type'. They described that the problem can be resolved by revising medical technicians act, and it needs to consider as job types of all healthcare professional. Conclusions: In the group who showed the positive opinions, it is possible to utilize measures such as promoting the coopera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developing public consensus through publ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