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의 ㅸ의 음운론적 지위와 본질

        장석 ( Zhang Shu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선학들이 오랫동안 ㅸ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아직까지도 ㅸ의 음운론적 지위와 관련된 논의가 진행 중이고 계속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ㅸ은 짧은 시간에 나타났다가 사라진 것으로 보아 다른 자모보다 특이하다. 따라서 ㅸ의 制字 원인을 비롯한 ㅸ의 본질에 대해 정확히 설명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두 문제를 논의하였다. 본고는 ㅸ과 관련된 음변화, 최소대립쌍, 분포, 그리고 ㅿ, ㅇ과의 비교를 통해 ㅸ의 음운론 지위를 살펴보았다. ㅸ은 수의적인 ‘ㅂ→w’ 혹은 ‘ㅂ→Ø’의 한 단계이므로 음소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 그리고 ㅸ과 다른 분절음의 진정한 최소대립쌍이 확인되기 어렵기 때문에 ㅸ은 음소가 아니었을 것이다. 또한, 분포적으로는 ㅸ과 ㅂ이 포괄적 분포를 이루고 있으므로 역시 ㅸ이 음소로 해석되기 어렵다. 한편, ㅸ의 성격과 비슷한 ㅿ, ㅇ이 음소로 해석되기 어렵기 때문에 ㅸ도 음소가 아니었을 것이다. 본고는 ㅸ의 소리 인식, 制字 원인, 그리고 ㅸ으로 고유어를 표기하는 원인을 논의하여 ㅸ의 본질을 밝혔다.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은 모두 외국어에 능통하고 SLM 이론에 따르면 일반인보다 더 많은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ㅸ의 制字 원인은 훈민정음 문자의 체계성, 외국어의 한글 표기와 관련된다. 한편, 세종은 소리보다 형태를 더 중요시하는 표기 의식을 가지고 있고 집현전 학자들은 精密的 표기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표기 의식은 ㅸ으로 고유어를 표기하는 원인이다. The scholars have long studied the phonological status of ㅸ, but discussions are still under way. And since ㅸ appeared and disappeared in a short time, it is more unusual than other let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explain the essence of ㅸ. These two issue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ㅸ was a step in the numerical ‘ㅂ→w’ or ‘ㅂ→Ø’ in Korean of the 15th century. So ㅸ did not function as a phoneme.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ㅸ was not a phoneme becaus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Minimal Pair of ㅸ and other Segments. In addition, ㅸ and ㅂ are in a comprehensive distribution, so it is also difficult to interpret ㅸ as a phoneme. Meanwhile, the ㅿ and ㅇ were difficult to be interpreted as phonemes. Therefore, ㅸ would not have been a phoneme. King Sejong and the scholars are all fluent in foreign languages. According to the SLM theory, King Sejong and the scholars were able to identify more voices than ordinary people. In addition, ㅸ is a letter made for the systematicness of Hunminjeongeum consonants, and for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This is the cause of ㅸ’s creation. And King Sejong has a notation consciousness that places more emphasis on form than sound and the scholars have a strong tendency to narrow transcription. This is the reason why ㅸ is used to mark the Native Korean.

      • KCI등재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의 음운 자격

        장석 ( Zhang Shu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본고는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의 음운 자격을 밝히려는 연구이다. 2장에서 어원에 따라 한자어에 있는 △과 고유어에 있는 △을 나누어 그들의 음운자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韓國 日母 漢字音의 변화는 ``z > j >Ø``로 보고 日母는 15세기부터 이미 접근음 [j]를 거쳐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대부분 △을 가진 한자어의 중성 자리에 활음 [j] 또는 [i] 모음이 존재했기 때문에 △을 가진 한자어에서 △이 발음될 수 없다. 그리하여 ``신(人):신(信)``, ``일(日):실(室)``, ``육(肉):슉(叔)``을 비롯한 단어들은 서로 최소대립쌍을 이루지 못하고 △을 음소로 볼 수 없다. 또한, 고유어에 있는 △은 형태소 경계와 형태소 내부에 모두 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은 ㅅ에 소급할 수 있고 수의적인 ``ㅅ→△``의 음변화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과 ㅅ은 변별적 대립을 이루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은 음소로 보기어렵다.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과 같은 계열에 있는 □, ㅇ은 음운 변화 과정에서의 음성표기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은 음소가 아니고 ``ㅅ>Ø``의 변화 과정에서의 한 음성 표기로 생각한다. This paper makes a phonological study on Semi-dental(△). Chapter 2 makes a phonological study on the △ in Sino-Korean and Korean respectively. The change of Korean ilmo(日母) words is like ``z > j > Ø`` and ilmo began to disappear after becoming [j] since 15th century. Because there was a [j] glide or [i] vowel in the medial of most vocabulary with △, so △ in Sino-Korean vocabulary cannot be pronounced. Therefore the words like ``인(人):신(信)``, ``일(日):실(室)``, ``육(肉):슉(叔)`` are not minimal pairs and △ is not a phoneme. The △ in Korean can appear both in the morpheme boundary and morphemic internal. But since this △ is formed by voluntary phonological rules, △ and ㅅ cannot form a distinctive opposition. Thus we conclude that △ was not a phoneme in Late Middle Korean. In the Late Middle Korean, the ㅸ and ㅇ, which are in the same series with △,can be considered to be phonetic symbols in the phonological change. So the △ is not a phoneme, but a phonetic symbol in the phonological change of ``ㅅ>Ø``.

      • KCI등재후보

        중국 소수민족의 전통 무용에 관한 연구 - 태족의 공작춤 공연사진을 중심으로 -

        장석 ( Zhang Shuo ),양종훈 ( Yang Jong Hoon ) 한국사진학회 2018 AURA Vol.0 No.40

        In this study, China traditional dance in Dai Peacock Dance as the center, aims to study the dance show photos that how to better capture the essence of the dance shooting photos, how to more accurately through the photos to show the dance itself with emotion, and the art of how to use static photo art to perfect this dynamic the performance of dance and its use in modern art, through the depth of expression photos to dig out the dance itself has the charm and artistic value, will be the most wonderful moment of eternal freeze dance. As far as dance art is concerned, photographs are also one of the ways to record the vocabulary of the dance. If a photograph can perfectly reproduce the emotional expression contained in the dance, a photo will also be one of the most intuitive and most recorded features of a dance record. Through the sorting and classification of many Peacock Dance pictures, it is not difficult for us to find out some of the techniques and methods of shoo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