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E 환경에서 실내 위기관리를 위한 스마트 장치 기반의 재난대피 시스템

        장민수,정우용,임경식,Jang, Minsoo,Jeong, Wooyong,Lim, Kyungshik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5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0 No.5

        This paper describes a novel disaster evacuation system using embedded systems such as smart devices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In indoor environments deployed with the Bluetooth Low Energy(BLE) beacons, smart devices detect their indoor positions from beacon messages and interact with Map Server(MS) and Route Server(RS) in the Internet over the LTE and/or Wi-Fi functions. The MS and RS generate an optimal path to the nearest emergency exit based on a novel graph generation method for less route computation, called the Disaster Evacuation Graph(DEG), for each smart device. The DEG also enables efficient processing of some constraints in the computation of route, such as load balancing in situation of different capacities of paths or exits. All data interfaces among three system components, the MS, RS, smart devices, have been defined for modular implementation of our disaster evacuation system. Our experimental system has been deployed and tested in our building thoroughly and gives a good evidence that the modular design of the system and a novel approach to compute emergency route based on the DEG is competitive and viable.

      • KCI등재

        무선 단말의 처리능력과 동적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에이전트 기반의 적응적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법

        장민수,성채민,김진구,임경식,Jang, Minsoo,Seong, Chaemin,Kim, Jingu,Lim, Kyungshik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5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0 No.6

        In order to provide smart devices with high quality multimedia streaming services, an adaptive streaming technique over HTTP has been received much attention recently and the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standard has been established. In DASH, however, the technique to select an appropriate quality of multimedia based on the performance metrics measured in a smart device might have some difficulties to reflect the capabilities of other neighboring smart devices and dynamic network conditions in real time. To solve the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novel software agent approach, called DASH agent (DA), which gathers and analyzes the device capabilities and dynamic network conditions in real time and finally determines the highest achievable quality of segment to meet the best Quality of Experience (QoE) in current situa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provides higher quality of multimedia segments with less frequency of quality changes to lower quality of multimedia segments.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과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제시된 체험 활동 과제의 부합도

        장민수(Minsoo Jang),이상봉(Sangbong Yi)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 과제가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기술 시스템’영역에 제시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의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과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매우 부합하는 체험 활동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주)교학도서, (주)삼양미디어이다. 둘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9종((주)교문사, (주)금성출판사, 두산동아, (주)미래엔, 비상교육, 씨마스,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이다. 셋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보통 수준의 과제를 제시하는 교과서는 교학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행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대부분의 체험 활동 과제들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problem-solving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textbooks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is end, the revised 2015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and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were analyzed, and an analysis frame was developed to produ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he textbook that presents the task of hand-on activities that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solving problem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the Kyohakdoseo and Samyang Media. Second, out of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9 kinds of textbooks that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are Kumsung Publishing, Doosan Dong-A, Mirae-n, VISANG education, CMASS, Wonngyojaesa, Jihak-sa. Third, out of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he textbook that presents the average level of tasks to achievement standards on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 Kyohaks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hand-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hapt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curriculum.

      • KCI등재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서 표준 교육의 목표와 주요 내용

        장민수(Minsoo Jang),김흥민(Heungmin Kim) 표준인증안전학회 2017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7 No.4

        이 연구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표준과 관련된 교육 목표와 주요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표준 교육에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교육과정 문헌과 그에 따르는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7차 교육과정까지는 표준에 관한 학습 목표와 내용에 대한 직접적인 제시는 없고 제도 통칙, 한국산업표준(KS) 등의 표준과 관련된 일부 용어의 서술 정도만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공학 기술’ 과목에서 표준 관련 학습 내용이 제시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과정의 ‘기술․가정’ 과목에서 표준 관련 성취기준과 내용이 제시되었고, 고등학교 과정의 ‘기술․가정’과 ‘공학 기술’ 과목에서 표준 관련 성취기준과 내용이 제시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과목에서 표준과 관련된 성취기준과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related to standard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ndard-related educational goals and main contents presented at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of the curriculum and the accompanying textbooks were analyzed. There was no direct presentation to the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tandard-related up to the 7th curriculum, but it was a description of several terms related to the standard of the system, KS, and other standards. In the course of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 of the standard-related learning was present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and contents related standard were presented in the subject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course. And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Engineering Technology’ subjects of high school course, achievement criteria and contents related standard were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contents of standards were presented concretely in the subject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실내 빌딩 환경에서 부하 균등을 고려한 대피경로 산출

        장민수 ( Minsoo Jang ),임경식 ( Kyungshik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5 No.7

        본 연구는 복층 건물에서 실내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피경로들을 산출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 은 Disaster Evacuation Graph(DEG)를 도입하여, 탐색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 또한, 대피 경로 상의 인원수용능력과 그에 따른 인원 분산 을 동시에 고려한다.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된다. 이 때 각 단계는 Horitzontal Tiering(HT)과 Vertical Tiering(VT) 단계라 한다. HT 단계에서는 특정 층 임의의 공간으로부터 계단으로 향하는 가능한 최적의 경로를 산출한다. 그리고 모든 층에 대해 HT 단계를 수행한 이후, 각 층의 모든 공간으로부터 건물 입구나 옥상과 같은 안전지대로 향하는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VT 단계에서 HT 단 계의 결과들을 통합한다. 이러한 단계별 과정에서 각각, 층 내 모든 공간으로부터 계단으로 향하는 경로와 각 계단으로부터 안전지대로 향 하는 경로가 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그래프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티어링(tiering) 기법이 이용된다. 제 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빠른 탐색과 인원 분산을 위해 기존에 연구되었던 경로탐색 알고리즘들과, 경로탐색에 소요된 시 간 및 사용자 대피시간을 비교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에 비해 더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산출한다. 특히 경로 탐색을 위한 시간복잡도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높은 층으로 구성된 큰 규모의 건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lgorithm for searching evacuation paths in indoor disaster environments.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improves the time complexity to find the paths to the evacuation exit by introducing a light-weight Disaster Evacuation Graph (DEG) for a building in terms of the size of the graph. With the DEG, the method also considers load balancing and bottleneck capacity of the paths to the evacuation exit simultaneously. The behavior of the algorithm consists of two phases: horizontal tiering (HT) and vertical tiering (VT). The HT phase finds a possible optimal path from anywhere of a specific floor to the evacuation stairs of the floor. Thus, after finishing the HT phases of all floors in parallel the VT phase begins to integrate all results from the previous HT phases to determine a evacuation path from anywhere of a floor to the safety zone of the building that could be the entrance or the roof of the build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ath produced by the algorithm. And, in order to define the range of graph to process, tiering scheme is used. In order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computing times and evacuation times are compared to the existing path searching algorithms. The result shows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existing algorithms in terms of the computing time and evacuation time. It is useful in a large-scale building to find the evacuation routes for evacuees quickly

      • 3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중성선 전류 제거를 위한 새로운 저가형 능동전력필터

        장민수(Minsoo Jang),최세완(Sewan Choi),김기용(Kiyong Kim) 전력전자학회 2002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최근 상업용 빌딩, 주거용 빌딩 및 공장등의 저 전압 3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PC, UPS, 정류기기, 조명장치 및 사무용기기등 비선형 부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 이로 인한 과도한 중성선 전류는 중성선의 고장, 변압기의 과열 및 중성선과 접지사이의 전압강하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br/> 본 논문에서는 3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중성선 전류 저감을 위한 새로운 능동전력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제어가 간단하고 부하용량대비 인버터등 장치의 용량이 작아 저가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안한 시스템은 이론적인 분석과 모의실험 및 실험에 의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한다.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학점제 도입에 따른 미래지향적 공동실습소 개편 표준안 개발

        장민수(Jang Minsoo),송낙현(Song Nakhyun),이찬(Lee Chan)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 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경험 기회 제공과 신산업분야 고졸인재 양성을 위한 공동실습소의 개념, 역할과 기능, 설립 및 조직 등 중심의 개편을 위한 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실습소 관련 문헌과 공동실습소 개편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동실습소를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공동실습소 10년 이상의 근무 경험 교원 2명, 직업계고등학교교장 및 교감, 공동실습소 담당 장학사, 직업교육 분야의 교수, 산업체 전문가 등 공동실습소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공동실습소 개편 관련 문헌과 사례 분석, 현장방문조사, 전문가 FGI 등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동실습소 개편 표준 방향, 운영 목적, 설치 주체 개선, 역할과 기능의 확대, 전담인력 배치, 운영 조직 개선, 필요 경비와 예산 지원 등으로 도출되었다. 공동실습소 설치 조례 등 법령 정비를 중심으로 도출한 공동실습소 개편 표준안을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실습소의 운영 목적을 학생의 진로 및 직업 능력 개발을 통한 직업 세계의 적응과 필요한 역량 함양을 지원하고, 교원의 전문성 제고로 하였다. 아울러 공동실습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교육감이 설치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둘째, 공동실습소의 역할과 기능은 진로교육 및 신기술분야의 직업 능력 함양을 위한 실습,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 운영과 산학협력 지원, 교원의 전문성 제고 연수강화, 학생의 진로 및 직업 능력 함양을 위한 연구개발 등으로구분되었다. 셋째, 공동실습소의 인력은 교육감이 센터장, 부센터장, 행정실장을 임면하도록 하였다. 또한, 전담인력은 전문성과 자질 등을 고려한 교원과 행정인력을 배치하도록 하였다. 넷째, 공동실습소의 조직은 직업 능력함양 및 진로체험 지원, 교원연수, 산학협력 지원, 행정지원 담당 부서를 두도록 하였다. 다섯째, 공동실습소의예산은 교육청이 운영비, 시설 및 기자재 확충비, 인건비, 학교지원 경비, 연구개발비, 학생실습비, 교원 연수비등을 중심으로 지원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various learning experience opportunities for learn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develop a standard for reorganization centered on the concept, role and function, establishment and organization of a public practice centers for nurturing high school graduates in new industr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public practice centers and the case of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ere analyzed. In addition,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the public practice centers. In addition, a targeted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7 experts in the public practice centers, including two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the public practice centers, the principal and vice-principal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supervisor in charge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a professor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and an industry exper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field visit surveys, and expert FGI were as follows. The direction of the standard for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as derived from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purpose and installation subject, the expansion of roles and functions, the allocation of dedicated manpower,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organization, and the necessary expenses and budget support. The following is the standard draft for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hich was drawn from the revision of laws such as the ordina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First,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as to support students adaptation to the world of work through development of career paths and vocational skills and to develop necessary competencies, an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addition, the name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 was changed so that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became the main body of the establishment. Second,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ere divided into practice to cultivate vocational skills in career education and new technology fields, support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trengthen training to enhance teachers expertise, and R&D to cultivate students career and vocational skills. Third, for the manpower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ppoints and dismisses the head of the center, the head of the deputy center, and the head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In addition, for the dedicated manpower,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anpower were as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s. Fourth, the 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as to have departments in charge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nd career experience support, teacher training,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upport, and administrative support. Fifth, the budget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as suppor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focusing on operating expenses, facility and equipment expansion expenses, labor costs, school support expenses, R&D expenses, student practice expenses, and teacher training expenses.

      •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 저감

        김현정(Hyunjung Kim),장민수(Minsoo Jang),최세완(Sewan Choi),원충연(Chungyeun Won),김규식(Gyusik Kim) 전력전자학회 2002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본 논문에서는 다이오드 정류기에 단상인버터와 변압기를 이용하여 영상고조파 전류를 주입함으로 서 순수한 정현파 입력전류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고조파 저감기술을 제안한다. 본 방식은 주 전력의 흐름에 직렬로 스위칭소자가 연결되지 않아 전력손실이 적으며 보조회로로서 사용된 변압기의 턴비를 조정하면 인버터 스위치의 전류정격을 작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방식의 타당성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 KCI등재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 개발

        송낙현(Song, Nakhyun),장민수(Jang, Minsoo),김정은(Kim, Jeongeun)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학습자 중심의 교육, 원격교육 활성화 등 초중등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 흥미 및 동기 유발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교수학습 자료로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기본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좋은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자 및 교원 등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공인된 연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미래형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교육수요자가 만족하는 교과서개발이 가능하도록 전문성을 함양한 교과서 개발 전문 인재의 양성을 위해 교육부, 시도교육청, 교육연구기관 등에 산재(散在)된 교과서 관련 연수교육과정의 표준안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교과서 관련 연수 교육과정으로서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설문조사, FGI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교과서 유형별 개발과정의 이해’, ‘교과서 개발 기획’, ‘교과서 체제 구성’, ‘교과서 집필의 실제’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23개의 각 영역별 교과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도출하였다. 교과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개발함으로써 질 높은 교과서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조성이 펼쳐질 것이며, 교과서 개발자에 대한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uch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revitalization of remote education, educational demands for learning interest and motiv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are increasing. Textbooks are the most basic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can be said to be basic guides for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However, despite the need for systematic and accredited training for textbook developers and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good textbooks, such opportunities are lacking. Accordingly, in prepar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is a future-oriented curriculum, training courses related to textbooks scattered across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the process is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 plan for the Cyber Training Institute training program for textbook developers to manage the quality of textbooks as a textbook training curriculum for textbook develop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alysis, survey, and FGI research methods were used. As a result of using the research method, the four types of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for each textbook type’, ‘textbook development planning’, ‘textbook system composition’, and ‘textbook writing practice’ Classified into domains, a total of 23 textbook cyber training institute training programs for each domain were derived. By developing a standard for the textbook cyber training center training program, it is expected that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be create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high-quality textbooks, and the competence of textbook developers will be strengthened.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교원양성 경로별 현장직무연수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분석

        송낙현(Nakhyun Song),장민수(Minsoo Jang),김정은(Jeongeun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의 목적은 기술과 산업환경변화와 함께 전문교과 교원의 전공 분야 실무능력이 중요해짐에 따라 전문교과 교원 양성경로에 따라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필요성과 참여의사, 운영, 및 개선 등에 대한 인식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토대로 현장직무연수 인식에 대한 조사도구를 3개 영역 13개 문항으로 개발하여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 14,754명을 모집단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온라인으로 4일간 진행하였으며 총 67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문항별 기술통계분석, 문항별 신뢰도 분석 및 교원양성경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의 교원양성경로별 모든 집단에서 현장직무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기술분야’ 현장직무연수의 필요성, ‘산업체 실무 경험이 없는 교원의 실무역량 제고’ 에 대한 현장직무연수 참여 의사, ‘단기 연수(1주일 내외)’ 참여 의사는 교원양성 경로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은 현장직무연수 개설 수요조사 등의 운영은 기존 Top-down방식에서 Bottom-up방식으로 개선 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은 현장직무연수가 교원들의 전공 수준 및 생애단계별 요인들을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인 연수로 개선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경우 교수자로서의 전문성과 더불어 전공분야의 실무를 지도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전문교과 교사를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생애단계별 연수 개설 및 운영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field job training, intention to participate, operation, and improvement, as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practical skills in major fields became important along with changes in technology and industrial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tool on the recognition of field job training was developed into 13 questions in 3 area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feasibility review,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4,754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for 4 days, and a total of 670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e data analysis, a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or each item,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item, and teacher training path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groups by teacher training paths of vocational high school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recognized that field job training was necessary.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new technology" field job training,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ield job training for "improvement of practical skills of teachers without practical experience in industrial companie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hort-term training (about a week)"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 training paths. Second,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have a high demand to improve their operation from the existing top-down method to the bottom-up method. Third,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hope that field job training will be improved to a more systematic training in consideration of teachers" major level and factors by life stage. In the case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y have the expertise as instructors and the specificity of guiding the practice of their major fields. Therefore, follow-up research is needed for professional and systematic life-stage training for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