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rious Tumors in the 4th Ventricle in Adults: MRI Findings

        장기현,한문희,Jang, Gi-Hyeon,Han, Mun-Hui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3

        일차성 제4 뇌실 종양은 소아에서는 흔하지만 성인에서는 드물다. 접하게 되는 질병명의 경우에도 환자의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 저자들은 16세이상의 환자로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고 자기공명영상에서 제4 뇌실에 병변이 있었던 증례들을 수집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는 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병리학적으로 확진되었다. 저자들이 경험한 다양한 제4뇌실 종양들은 상의세포종 8예, 상의하세포종 1예, 맥락총 유두종 3예, 성상세포종 3예, 수모세포종 1예, 림프종 2예, 표피양낭 2예, 수막종 1예, 흑색종 1예, 해면혈관종 1예, 그리고 전이암 1예 등이었다. 저자들은 주로 제4 뇌실에 병변이 있었던 다양한 종양을 소개하고, 임상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기술할 것이며, 대부분 비특이적이었다. 그러나, 몇몇 증례에서는 특이적인 신호강도나 종양의 성장양상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었다. Primary fourth ventricular neoplasms are common in children but rare in adults, and the disease categories encountered differ according to the patient's age. This study reviewed the records of patients aged 16 years or over, who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and were found to have fourth ventricular lesions. Most patients then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leading to specific pathologic diagnosis. The various fourth ventricular tumors encountered were ependymoma (n=8), subependymoma (n=1), choroid plexus papilloma (n=3), astrocytoma (n=3), medulloblastoma (n=1), lymphoma (n=2), epidermoid cyst (n=2), meningioma (n=1), melanoma (n=1), cavernous hemangioma (n=1) and metastasis (n=1). We describe the various tumors located mainly in the fourth ventricle and review their clinical presentation and the radiological findings, the majority of which were nonspecific. In some cases, however, specific signal intensity or the growth pattern of the tumors was use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 KCI등재

        단백질 용액의 CT감쇠와 MR신호강도에 관한 연구

        최대섭,장기현,김순,이현경,오연희,김승현,이성우,Choe, Dae-Seop,Jang, Gi-Hyeon,Kim, Sun,Lee, Hyeon-Gyeong,O, Yeon-Hui,Kim, Seung-Hyeon,Lee, Seong-U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6

        목적:단백질 용액의 농도 변화에 따른 CT감쇠와 MR신호강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0-55%농도의 소 혈청 알부민 용액을 시험관에 담아 CT와 MR을 시행하였으며, 정상 뇌조직의 CT감쇠 및 MR신호강도와 비교하기 위하여 알부민 모형을 머리 둘레에 띠처럼 두르게 하여 뇌 CT와 MR을 또한 촬영하였다. 결과:알부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T감쇠는 정비례하여 증가하였다.MR T1강조영상의 경우 35%용액에서 가장 높은 신호강도를 보인 후 급격하게 신호강도가 감소하였으며, T2강조 영상에서는 5%용액에서 생리식염수와 비슷한 신호강도를 보였고,그 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FLAIR)영상과 확산강조영상에서는 10%용액에서 가장 높은 신호강도를 보인 후 점차적으로 신호강도가 감소하였으며,ADC는 농도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정상 뇌조직과의 비교에 있어 CT의 경우 20%이상의 용액에서 뇌회질이나 백질보다 높은 감쇠를 보였다. MR T1강조영상의 경우 10-45%용액에서 뇌회질과 같거나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T2강조영상에서는 35%이상에서 뇌회질보다 낮은 신호강도를, 40%이상에서 뇌백질보다 낮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FLAIR영상의 경우 5-35%용액에서 뇌회질보다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결론:알부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T감쇠는 정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MR신호강도는 T1강조영상에서는 35%용액에서, FLAIR영상과 확산강조영상에서는 10%용액에서 각각 가장 높은 신호 강도를 보였고, 그 후 점차적으로 신호강도가 감소하였으며, T2강조영상에서의 신호강도와 ADC는 농도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PURPOSE: To correlate CT attenuation and MR signal intensity with concentration of protein solution. MATERIALS AND METHODS: CT and MR examinations of a phantom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solutions of various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 to 55% were performed. CT Hounsfield units(HUs), MR signal intensities,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s (ADCs) of each albumin solution were measured, and CT HUs and MR signal intensities of the solu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erebrospinal fluid (CSF), white matter, and cortical gray matter. RESULTS: CT HU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lbumin concentration. On T1-weighted images(T1WI), signal inten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albumin concentrations of up to 35% but then decreased. On T2-weighted images(T2WI), gradually decreasing signal intensity and increasing albumin concentration were oibserve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FLAIR) and diffusion-weighted images (DWIs) showed that signal intensity peaked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he ADC of the solution gradually decreased as concentration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brain structures, the CT HUs of solutions at concentrations of over 20% were higher than those of white and gray matter. At T1WI, the signal intensities of 10-45% solutions were similar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gray matter. At T2WI, the signal intensities of solutions above 25, 35, and 40% were lower than those of CSF, gray matter, and white matter, respectively. FLAIR images showed that the signal intensities of 5-35% solutions were higher than that of gray matter. CONCLUSION: The CT attenuation of albumin solution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MR signal intensities peaked at 35% concentration on T1WI and at 10% on FLAIR and DW images, respectively,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2WI and ADC map images showed gradually decreasing signal intensity and ADC as albumin concentration increased.

      • KCI등재

        삼차원 회전혈관영상을 이용한 정상 두개내혈관 직경의 측정

        한문희,이승로,함창곡,장기현,Han, Mun-Hui,Lee, Seung-Ro,Ham, Chang-Gok,Jang, Gi-Hyeon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0 No.2

        목적: 삼차원 회전혈관영상을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군에 따른 정상 두개내혈관 직경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대상과 방법: 정상으로 추정되는 두개내혈관 177예(125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회전혈관조영술 후 재구성한 삼차원 혈관영상에서, 내경동맥 4부위(해면동분절, 안동맥부위, 상상부위, 원위 내경동맥부위)와 중뇌동맥 2부위(근위부, 원위부), 그리고 전뇌동맥 1부위(중간부) 순으로 각각의 직경을 측정하고 성별, 연령군별(<30세, 30-39, 40-49, 50-59, 60$\leq$) 평균을 구하였다. 각 부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 및 중뇌동맥에서 연령층간(저령층<50세, 고령층$\geq$50세) 직경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 부위별 직경의 평균치는 다음과 같다: 남자(mean$\pm$SD); 4.61$\pm$0.69, 3.96$\pm$0.60, 3.48$\pm$0.45, 3.61$\pm$0.50, 2.44$\pm$0.32, 2.44$\pm$0.37, 1.81$\pm$0.32, 여자; 4.29$\pm$0.57, 3.83$\pm$0.56, 3.37$\pm$0.56, 3.52$\pm$0.48, 2.32$\pm$0.37, 2.30$\pm$0.36, 1.76$\pm$0.34. 성별 차이는 40대에서 분명하였고, 전뇌동맥을 제외한 6부위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유의하게 크거나(내경동맥 4 지점과 원위부 중뇌동맥) 큰 경향(근위부 중뇌동맥)을 보였다. 중뇌동맥 근위부 직경은 남자 고령층(2.59$\pm$0.35 mm)이 저령층(2.35$\pm$0.27 mm)에 비하여 의미 있게 컸으며(p value<0.05), 여자에서는 고령층의 수치(2.38$\pm$0.37 mm)가 저령층(2.28$\pm$0.37 mm)에 비하여 큰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 value: 0.14). 원위부 직경은 남녀 각각에서 고령층(남자, 2.63$\pm$0.43; 여자, 2.39$\pm$0.35 mm)이 저령층(남자, 2.34$\pm$0.29; 여자, 2.21$\pm$0.34 mm)에 비하여 의미 있게 큰 수치를 보였다. 결론: 정상 두개내혈관 직경은, 성별 차이가 40대에서 분명하였고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크거나 큰 경향을 보였으며, 중뇌동맥 직경은 성별에 상관없이 고령층이 저령층에 비하여 의미있게 크거나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령층의 중뇌동맥 근위부 직경은 남자가 2.59$\pm$0.35 mm, 여자가 2.38$\pm$0.37 mm이었고, 원위부 직경은 남자가 2.63$\pm$0.43 mm, 여자가 2.39$\pm$0.35 mm 이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normal intracranial artery diameter according to sex and age, using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rotational ang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wenty-five adults with normal intracranial arteries who underwent 3D rotational angiography (n=17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rterial diameter was measured at four sites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cavernous, paraophthalmic, supraclinoid, and distal), that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at two (proximal and distal), and that of the anterior cerebral artery at one (middle). For each sex and age group (<30, 30-39, 40-49, 50-59, $\geq$60 years), the mean diameter of the artery at these seven sites was calculated, and differences analysed. In addition, the middle cerebral artery diameter was compared between a younger group (<50 years) and an older group ($\geq$50 years). Results: The mean diameter at each site for each sex was as follows: male (mean${\pm}$SD): 4.61${\pm}$0.69, 3.96${\pm}$0.60, 3.48${\pm}$0.45, 3.61${\pm}$0.50, 2.44${\pm}$0.32, 2.44${\pm}$0.37, 1.81${\pm}$0.32; female: 4.29${\pm}$0.57, 3.83${\pm}$0.56, 3.37${\pm}$0.56, 3.52${\pm}$0.48, 2.32${\pm}$0.37, 2.30${\pm}$0.36, 1.76${\pm}$0.34. For those in their 40s, the diameter at five sites (all four sites of the internal cerebral artery and a distal middle cerebral artery)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For other age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was absent, or was significant at only one (cavernous internal cerebral artery for those in their 30s) or two (proximal and distal middle cerebral artery for those in their 50s) of the seven sites. In the older age group, the diameter of the proximal middle cerbral artery was 2.59${\pm}$0.35 mm in males and 2.38${\pm}$0.37 mm in females. For the distal middle cerebral artery, the corresponding figures were 2.63${\pm}$0.43 and 2.39${\pm}$0.35 mm, respectively. For both sex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ge groups were significant. Conclusion: For those in their 40s, the normal diameter of the intracranial artery at most arterial site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The normal diameter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was significantly greater or tended to be greater among the older group than the younger group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2.59${\pm}$0.35 mm and 2.38${\pm}$0.37 mm at the proxinal site, and 2.63${\pm}$0.43 mm and 2.39${\pm}$0.35 mm at the distal site).

      • KCI등재

        삼차원 회전혈관영상에서 발생하는 영상 왜곡 요인에 대한 모형연구

        한문희,이승로,함창곡,김희찬,장기현,Han, Mun-Hui,Lee, Seung-Ro,Ham, Chang-Gok,Kim, Hui-Chan,Jang, Gi-Hyeon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0 No.3

        목적: 모형 연구를 통하여 삼차원 회전혈관영상의 영상왜곡과 관련 있는 요인을 규명하고 삼차원 영상에 적합한 조영제 농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네가지 모형(1. 교차금속막대, 2. 단금속막대, 3. 단조영제막대, 4. 수중조영제막대: 300, 250, 200, 150 Img/ml 농도)을 제작하여 C-arm의 회전면, 직교면(회전면과 90$^{\circ}$), 중간면(45$^{\circ}$), 근접회전(20$^{\circ}$), 근접직교면(70$^{\circ}$)에서 회전조영술을 시행하고, 삼차원 영상을 만들었다(삼차원 회전조영술). 각 평면에서 얻은 삼차원 영상은 두 명의 신경방사선의사에 의해 직교면에 있는 막대 영상과 비교하여 음영도, 균질도, 그리고 경계의 명확도를 등급화(저$.$중$.$고등급)하여 화질을 평가하였다. 영상영역의 부위별 왜곡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금속막대 직교면, 근접직교면, 그리고 중간면 영상의 중심부, 중간부, 변연부의 절단면 영상을 평가하고, 직경(수직 및 수평)을 측정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네 가지 모형의 삼차원 영상은 근접직교면과 중간면에서 직교면과 차이가 없이 모두 고등급의 화질을 보였으나 회전면과 근접회전면에서 모든 모형은 화질이 저하되었고, 특히 금속모형의 회전면 영상은 세가지 항목에서 모두 저등급이었다. 금속막대에 비하여 조영제막대가 그리고 300과 150 농도에 비하여 200과 250 농도가 등급이 더욱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단금속막대의 부위별 절단면 영상과 직경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삼차원 회전조영술 영상은, 직선형의 물체가 회전면에 평행할수록 그리고 물체 고유의 X선 감쇄 정도가 심할수록, 영상 왜곡이 증가하였고, 이는 X선경화인공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왜곡은 조영제 농도가 200-250 Img/ml 인 경우에 가장 적었으며, 생체 외 삼차원 혈관 영상을 위한 가장 적합한 농도로 추정된다. Purpose: To determine, by means of a phantom study, the distortion-related factors and appropriate iodine concentration fo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rotational ang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Four phantoms were created: crossed metal rods, one metal rod, one contrast rod, and a contrast rod under water. Iodine concentrations were 300, 250, 200, and 150 Img/ml, respectively. For each phantom, rotational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the rotational, right-angled (90$^{\circ}$to rotational), intermedial (45$^{\circ}$), close to rotational (20$^{\circ}$), and close to right-angled (70$^{\circ}$) planes. Two-dimensional projection images were transferred to a workstation at which 3D images were produced using the volume rendering technique. Image quality in each plane was evaluated in terms of opacity, homogeneity, and margin sharpness, which were graded as low, intermediate or high by two neuroradiologists who used images obtained in the right-angled plane as the standard reference. The same assessors evaluated in terms of the same parameters, cross-sectional images obtained at the central, intermedial, and peripheral portions of one metal rod positioned in the right-angled, close to right-angled, and intermedial planes, and in order to compare the values at different sites, one neuroradiologist measur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ameters of each cut image. Results: Three-dimensional images of all four phantoms were high quality in the close to right-angled and intermedial plane, but in the rotational and close to rotational plane were degraded. In particular, metal rod images obtained in the rotational plane were poor for all three items. In these two planes, image quality was better for the contrast rod than the metal rod, and at 200 and 250 Img/ml concentrations than at 300 and 150 Img/ml concentra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quality, nor in measured values of the diameter between cut images. Conclusion: A three-dimensional image was more distorted when a linear object was placed at a lesser angle to the rotational plane and when inherent X-ray attenuation was greater, a finding which must be closely related to the beam-hardening artifact. Distortion was least at 200-250 Img/ml of iodine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thought to be most appropriate for in-vitro 3D angiography.

      • KCI등재후보

        실험적으로 유발한 가토 VX2 암종의 종양 혈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 및 혈관 조영술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과의 비교

        김영훈,한준구,정진욱,이경호,김석준,최병인,장기현,Kim, Yeong-Hun,Han, Jun-Gu,Jeong, Jin-Uk,Lee, Gyeong-Ho,Kim, Seok-Jun,Choe, Byeong-In,Jang, Gi-Hyeo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5

        목적: 실험적으로 가토의 대퇴부에 유발한 VX2 암종의 종양 혈관상을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초음파 및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의 조영 증강 양상으로 평가하고 양자의 소견을 비교하며 조영 증강 양상의 차이를 유발하는 병리 조직학적 근거를 규명하는데 있다. 대상과 방법: 가토의 대퇴부에 이식된 30개의 VX2 암종에 대해 조영 전 출력 도플러 초음파 영상을 얻고 미세기포 초음파 조영제를 정주 하여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 영상을 얻은 후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조직 절편을 얻어 영상 소견과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연관 분석하였다. 조영 전 및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와 혈관 조영술 영상에서 종양 혈관의 분포 양상을 분석하고 종양내 혈관 밀집도 점수 및 종양의 전체 면적에 대한 혈관 면적의 백분율을 구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괴사정도, 섬유혈관성 간질 및 피막의 발달 정도를 분석한 뒤 이를 영상 소견과 연관시켜 보았다. 결과: VX2 암종의 종양 혈관상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검사에서 무혈관성이 9예, 주 변부 분포형이 15예, 미만성 분포형이 6예였다. 혈관 조영술에서는 8예가 무혈관성, 14예가 주변부 혈관 분포, 그리고 나머지 8예는 미만성 혈관 분포를 보였다. 혈관 분포의 양상은 두 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관 밀집도 점수와 혈관 면적 백분율은 조영증강 출력 도플러와 혈관 조영술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 미만성 혈관분포를 보였던 예들은 종양의 경계가 분명하고 피막과 섬유혈관성 간질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괴사정도, 피막 및 섬유성 간질의 발달 정도는 출력 도플러 초음파 및 혈관 조영술의 혈관밀집도 점수, 혈관 면적 백분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가토의 대퇴부에 유발한 VX2 암종은 조영 증강 출력 도플러 초음파와 혈관 조영술에서 무혈관성에서부터 과혈관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양 혈관상을 보였고 이러한 종양 혈관의 양상은 괴사정도, 섬유성 간질 및 피막의 발달 정도 같은 병리 조직학적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urpose: To describe findings of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in experimentally induced VX2 carcinomas in rabbit thigh and to correlate the imaging findings with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0 VX2 carcinomas were implanted in rabbit thigh, and after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as performe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umor vascularity; to assess its grade and the percentage of a tumor area occupied by vessels,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s well as DSA, were used. The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capsule were histopathologically determined. The findings of power Doppler sonograph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SA and the imaging features were correlated with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Results: At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the signal was either avascular (n=9), peripheral (n=15) or diffuse (n=6), while at DSA, the corresponding totals were eight, fourteen and eigh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DSA, both in their depiction of the distribution of patterns of tumor vascularity and as regards their findings of grade and percentage of vascular area. As determined by both conventional and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and by DSA,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a capsule correlated with grade and the percentage of vascular area. Conclusion: Experimentally induced VX2 carcinomas in rabbit thigh demonstrated various patterns of tumor vascularity, and the findings of enhanced power Doppler sonography correlated with those of DSA. Tumor vascularity, as demonstrated by two imaging modalities, correlated closely with grade of necrosis and the development of fibrovascular stroma and a capsule, as revealed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 KCI등재

        협측 공간 병변: CT와MR영상소견에 기초한 새로운 분류법

        한문희,한문희,제환준,최혁재,김영준,김인원,장기현,Han, Mun-Hui,Han, Mun-Hui,Je, Hwan-Jun,Choe, Hyeok-Jae,Kim, Yeong-Jun,Kim, In-Won,Jang, Gi-Hyeon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0 No.2

        목적: 협측 공간 병변의 CT와 MR 영상소견에 기초한 새로운 분류법을 소개하고, 협측 공간 병변의 감별진단에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조직병리학적 또는 임상적으로 진단된 62예의 협측 공간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병변은 그 형태학적 모양과 주변 공간으로의 침범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형으로 분류하였다. 협측 공간에 국한되어 있고 명확한 경계를 가진 경우를 1형, 협측 공간에 국한되어 있고 불명확한 경계를 가진 경우를 2형, 그리고 여러 공간을 동시에 침범한 경우를 3형으로 하였다. 결과: 다형성선종,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B-cell 임파선암, 세엽세포암종, 횡문근육종, 사구종양, 사기질모세포종은 1형으로 분류되었고,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감별은 불가능하였다. 농양, 감염이 동반된 유피낭종, Kimura 병, 선낭종암은 2형으로 분류되었다. T-cell 임파선암, 신경섬유종, 혈관기형, 두경부 염증, 이물육아종은 3형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은 다른 영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CT와 MR 영상소견에 기초한 이 새로운 분류법은 협측 공간 병변의 감별진단에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present a new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T and MR imaging findings of buccal space lesions, and to propose guidelines for their radiologic differentiation. Materials and Methods: Sixty-two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or clinically diagnosed buccal space lesion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morphologic appearance and extension to adjacent space as either (1) a mass with a distinct margin, confined to the buccal space; (2) a mass with surrounding infiltration, confined to the buccal space; or (3) a multi-space occupying mass. Results: Type 1 included pleomorphic adenoma, ex-pleomorphic adenoma, carcinoma, B-cell lymphoma, acinic cell carcinoma, rhabdomyosarcoma, glomus tumor and ameloblastoma, and differentiation between malignant and benign neoplasms was not possible. Type 2 included adenoid cystic carcinoma, abscess, complicated dermoid cyst, and Kimura disease. T-cell lymphoma, neurofibroma, vascular malformation, inflammation, and foreign body granuloma pertained to type 3, and each type-3 entity showed different imaging characteristics. Conclusion: This new classification based on CT and MR imaging characteristics may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predict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uccal space lesions.

      • SCOPUSKCI등재

        화소기반 형태분석 방법을 이용한 내측측두엽 간질환자의 회백질 부피/농도 감소평가; FDG PET과의 비교

        강혜진 ( Kang Hye Jin ),이호영 ( Lee Ho Yeong ),이재성 ( Lee Jae Seong ),강은주 ( Kang Eun Ju ),이상건 ( Lee Sang Geon ),장기현 ( Jang Gi Hyeon ),이동수 ( Lee Dong Su ) 대한핵의학회 2004 핵의학 분자영상 Vol.38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내측 측두엽 간질환자의 MR 영상에 화소기반 형태분석방법(VBM)을 적용하여 회백질 부피감소를 보이는 영역을 뇌 전체를 관찰하여 찾아내고자 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적용된 VBM 방법이 내측측두엽 간질환자의 간질병소의 편측성을 평가하기에 쓰일 수 있을지 조사하였다. MR영상으로 VBM 결과를 FDG PET의 SPM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2명의 좌측 내측측두엽 간질환자와 11명의 우측 내측측두엽 간질환자의 T1 강조영상을 각각 37명의 정상 대조군의 영상과 비교하였다. 모든 영상을 표준 뇌 표준판에 공간정합한 후, 평균영상을 생성하여 연구-특정적 뇌 표준판을 만들고 이 연구 측정적 표준판에 다시 비선형 공간정규화 하였다. 영상을 분할하여 회백질영상을 추축하고 변조한 후 편평화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의 차이를 SPM99를 이용하여 허위발견률을 기준으로 통계처리하였다. FDG PET 영상을 SPM을 이용하여 정상대조군 22명과 비교하였다. 결과: 좌측 내측측두엽 간질환자는 좌측의 해마와 편도체 영역에 회백질 부피/농도가 감소하였고, 뇌의 양측 소뇌, 전대상회, 방추상회의 부피/농도가 감소하였다. 우측 내측측두엽 간질환자는 우측 해마에서 회백질이 감소하였다. 좌측 내측측두엽 간질은 좌측 측두엽과 시상 우측 내측측두엽간질 환자는 우측측두엽에 광범위한 부위에 FDG 섭취가 감소하였다. 결론: VBM 방법을 적용한 결과 간질원인 병소 해마와 해마주변영역에서 유의하게 회백질 부피/농도가 감소하였다. FDG PET SPM 분석에서 간질원인병소의 대사 감소를 찾을 수 있었던 것처럼, 이 연구에서 적용한 변조 VBM 방법은 내측측두엽 간질환자의 간질원인병소를 편측화할 수 있었고 내측측두엽을 제외한 다른 뇌영역의 해부학적 변화를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에 비하여 간질원인병소인 좌우측측두엽의 넓은 부위에 FDG 섭취가 감소하여 대조되었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find brain regions in which gray matter volume was reduced and to show the capability of voxel-based morphometry (VBM) analysis for lateralizing epileptogenic zones in medial temporal lobe epilepsy (mTLE). Th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 PET). Materials and Methods: MR T1-weighted images of 12 left mTLE and 11 right mTL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37 normal controls. Images were transformed to standard MNI space and averaged in order to create study-specific brain template. Each image was normalized to this local template and brain tissues were segmented. Modulation VBM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observe gray matter volume change. Gray matter was smoothed with a Gaussian kernel. After these preprocess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oftware (SPM99). FDG PET imag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2 normal controls using SPM. Results: Gray matter volum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left amygdala and hippocampus in left mTLE. In addition, volume of cerebellum, anterior cingulate, and fusiform gyrus in both sides and left insula was reduced. In right mTLE, volume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right hippocampus. In contrast, FDG uptake was decreased in broad areas of left or right temporal lobes in left TLE and right TLE, respectively. Conclusions: Gray matter loss was found in the ipsilateral hippocampus by modulation VBM analysis in medial temporal lobe epilepsy. This VBM analysis might be useful in lateralizing the epileptogenic zones in medial temporal lobe epilepsy, while SPM analysis of FDG PET disclosed hypometabolic epileptogenic z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