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태운 ( Kim Tae-woon ),문현식 ( Moon Hyun-shik ),김충열 ( Kim Chung-yeol ),강미영 ( Kang Mee-young ),임효인 ( Im Hyo-in ),조민기 ( Cho Min-gi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의 식생구조와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대왕암 도시숲의 생물종다양성을 보존하고, 향후 관리방안 확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항목은 토양특성, 중요치, 종다양도, 연륜생장량과 절간생장량, 치수발생량 등이었다. 토양특성은 토양 pH 6.70~7.19의 약알카리성을 나타내어 토양산도 관리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유기물(0.47~0.56%)과 전질소(0.47~0.56%)도 유효범위 내에 있거나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인산 함량(10.08~22.82 ppm)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용적밀도는 0.47~0.52g/cm3로 나타나 토양의 입단구조발달이 활발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요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상층에서는 곰솔, 중층에서는 왕벚나무, 하층에서는 주름조개풀과 억새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대왕암 도시숲은 전체적으로 층위별 출현종수도 적고 중층의 발달이 빈약하여 불안정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종다양도 지수는 상층에서 0.153~0.289, 중층 0.316~0.327, 하층 1.270~1.291로 분석되었으며, 상층과 중층의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0.321~0.452, 0.548~0.679로 나타났다. 최대종다양도에 대한 종다양도의 값이 근접할수록 안정적인 구조인데, 본 조사지의 상층과 중층에서 종다양도와 최대종다양도 지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대왕암 도시숲의 상층과 중층의 식생이 불안정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곰솔 성목의 평균연륜생장량은 혼효림 2.20 mm/yr, 곰솔 성목림 1.80mm/yr, 해안가 곰솔림 1.60 mm/yr의 생장량을 보였으며, 평균연륜생장량에 대한 조사지별변이계수는 혼효림 37%, 곰솔 성목림 56%, 해안가 곰솔림 65%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의 평균연륜생장량은 혼효림 1.60 mm/yr, 곰솔 성목림 1.56 mm/yr, 해안가 곰솔림 1.27 mm/yr로 모든 조사지에서 생장감소가 나타났고, 평균연륜생장량 대비 각각 27%, 13%, 21%의 생장감소율을 보였다. 곰솔 성목의 형상비는 혼효림 41.5, 곰솔 성목림 47.0, 해안가 곰솔림 46.6으로 대왕암 도시숲의 곰솔은 수목의 건전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곰솔 식재목의 절간생장량은 35.3~50.4cm의 범위에 있었으며, 천연갱신된 곰솔은 27cm의 절간생장량을 보였다. 치수발생량은 해안가에 위치한 곰솔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by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ewangam urban forest. This study analyzed soil properties,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annual ringwidth increment, internodal growth and seedlinggenesis of P. thunbergii. The soil pH was 6.70~7.19 and the contents of OM, TN, available P were 6.76~8.85%, 0.47~0.56% and 10.08~22.82ppm, while the soil bulk density was 0.47~0.52g/cm3.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analysis, P. thunbergii for upper layer, Prunus yedoensis for middle layer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for lower layer were respectively high. The species diversity of Shannon ranged from 0.153 to 0.289 for upper later, 0.316 to 0.327 for middle layer and 1.270 to 1.291 for lower layer. The evenness and dominance for upper and middle at all sites ranged from 0.321 to 0.452 and 0.548 to 0.679. The average annual ringwidth increment of mature P. thunbergii was 2.20 mm/yr for mixed forest, 1.80 mm/yr for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1.60 mm/yr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CV) was 37% for mixed forest, 56% for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65%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The average shape ratio of mature P. thunbergii was 41.5 for mixed forest, 47.0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46.6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This indicates that P. thunbergii in Daewangam urban forest has high health. Internodal growth of planted and natural regenerated P. thunbergii ranged from 27 to 50.4cm, and the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showed the highest seedlings.

      • KCI등재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한 울산 대왕암 도시숲의 관리방안

        김충열 ( Kim Chung-yeol ),문현식 ( Moon Hyun-shik ),김태운 ( Kim Tae-woon ),조민기 ( Cho Min-gi ),강미영 ( Kang Mee-young ),안기완 ( Ahn Ki-wan ),임효인 ( Im Hyo-i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을 대상으로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도시숲 관리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대왕암 도시숲을 방문한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특성으로 남녀의 비율이 크게 차이나지 않고, 30~40대가 주요 이용 방문객이며,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지역 거주자가 주요 이용 방문객이나 타 지역 거주자도 상당비율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2~3회 방문비율이 가장 높았고, 주로 가족과 친척 단위로 1시간~2시간 정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객 만족도 분석에 있어 `주요 기능`, `숲 상태`, `경관/조화` 분류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산책로 상태`, `시설물 상태` 분류에서는 보통이상 수준의 만족도를 나타내며, 재방문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대왕암 도시숲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산책로 상태`, `시설물 상태`의 보통 이상의 만족도는 앞으로 만족도 향상을 위한 향후 개선방안과 관리전략 수립이 필요하여 여러 측면을 고려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울산 지역 거주자와 타 지역 거주자에 따른 만족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방문빈도와 방문목적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용객들은 대왕암 도시숲이 타 수종으로의 전환 보다는 현재 곰솔림으로 유지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곰솔 후계림 조성,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등을 통해 곰솔림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지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대왕암 도시숲 이용객의 주된 방문목적이 운동과 산책 보다 휴식의 비율이 높은 점으로 볼 때, 대왕암 도시숲은 도시환경 속에서 휴식처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용객 모니터링은 대왕암 도시숲의 통합적 관리에 있어 보다 확고한 목표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체계적인 관리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서, 고품질의 자연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도시생태계 회복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도시환경 속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도시숲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용 방문객 중심의 맞춤형 도시숲은 앞으로 도시숲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대왕암 도시숲은 이러한 맞춤형 도시숲의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etter management plan of Daewnagam urban forest based on visitor monitoring. On-site survey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carried out in August 2016, and in total 220 data were analyzed. Visitors were inclusive of all age groups and most of them lived nearby the Daewangam urban forest. Behavior patterns showed that the users visited this area by car 2 or 3 times a month. Visitors used the Daewangam urban forest mainly for their relaxa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Daewangam forest as a city urban forest in terms of the forest condition, landscape and harmony. However, visitors were not satisfied with some specific items, such as the walkway and facilities condi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pecific items such as the satisfaction on main function, forest, landscape/harmony, walkway and facility condition between residential areas. Also, the purpose of visit between residential areas differed. The result showed higher rate in relaxation for Ulsan residential area, whereas for other areas, tourism was the main purpose of visi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isitor management system that coul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wo groups as well as its con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