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복적 경찰활동(회복적 대화 프로그램) 평가 : 사건 담당 수사관을 중심으로

        임형진(Lim, Hyungjin),김문귀(Kim, Moonkwi) 한국경호경비학회 2021 시큐리티연구 Vol.- No.66

        이 연구는 경찰청에서 시범운영한 회복적 경찰활동(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을 평가한다. 특히 이 연구는 회복적 대화로 사건을 연계한 사건 담당 수사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과정평가와 효과평가가 진행되었다. 과정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적 대화 경험과 관련하여, 설문대상자들 모두 1건 내지 2건의 회복적 대화 의뢰 경험을 갖고 있었다. 둘째, 회복적 대화로 진행된 계기와 관련하여, 대다수의 경우는 회복적 대화 담당자(담당경찰관)의 요구 또는 회복적 대화에 적합하다는 사건 담당 수사관의 판단에 의해서였다. 셋째, 회복적 대화 이후 사건 처리와 관련하여, 대다수의 경우 기소 의견으로 사건송치 또는 내사종결로 진행되었다. 반면 일부 사건은 가정보호사건, 훈방 등으로 처리되었다. 넷째, 가·피해자의 회복적 대화 만족도와 관련하여, 대다수 설문대상자들은 가·피해자가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 필요성과 관련하여, 설문대상자의 다수는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다. 여섯째,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으로 인한 업무부담과 관련하여, 설문대상자의 다수는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으로의 연계가 자신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효과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적 대화의 피해회복에 대한 효과성과 관련하여, 다수의 설문대상자들은 회복적 대화가 기존 수사절차에 비해 피해회복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회복적 대화의 재범방지에 대한 효과성과 관련하여, 다수의 설문대상자들은 회복적 대화가 기존 수사절차에 비해 재범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의 국민신뢰 제고 효과와 관련하여, 대다수의 설문대상자들은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이 경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restorative policing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pilot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investigators who connected their incidents with restorative dialogues and analyzed them, thereby conducting process evaluation and effect evaluation. The process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experience of restorative dialogue, all of the survey subjects had one or two requests for restorative dialogue. Second, with regard to the momentum of the restoration dialogue, in most cases, it was at the reques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restorative dialogue (the police officer in charge) or the judgment of the investigator in charge of the case. Third, regarding the handling of the case after the restorative dialogue, in most cases, the case was sent to the prosecution or the investigation of the case was stopped. On the other hand, some cases were dealt with as family protection cases and training. Fourth, with regard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offenders and victims restorative dialogue, most of the survey subjects recognized that the offenders and victims were satisfied with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Fifth, with regard to the need for a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many of the survey subjects agreed on the need for a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Sixth, regarding the burden of work due to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many of the survey subjects recognized that the connection to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did not interfere with their work. Next, the effect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restorative dialogue on damage recovery, a number of survey subjects recognized that restorative dialogue is more effective in recovering damage than existing investigation procedures. Second,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restorative dialogue in preventing recidivism, a number of survey subjects thought that restorative dialogue wa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recidivism than existing investigation procedures. Lastly,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in enhancing public confidence, most of the survey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helped to increase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 KCI등재

        대학수업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성 연구

        임형진(Lim, Hyungjin),이권철(Lee, Kwon 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최근에 널리 확산되고 있는 대학수업에서의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성 관련 네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백석대학교 교수 1인에 의해 2018년 1학기와 2학기에 각각 진행된 두 가지 다른 유형의 경찰학개론 수업(플립러닝 수업 vs 강의식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성별, 학년, 성적, 만족도 관련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수업과 강의식 수업이 비교분석 되었으며 이를 위해 t 검정과 평균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강의식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학습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플립러닝 수업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습효과가 높았다. 셋째, 플립러닝 수업에서 저학년과 고학년 간에 학습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강의식 수업이 플립러닝 수업에 비해 학생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플립러닝 수업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하여 이를 무조건 따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여학생의 수업효과를 끌어올리려 한다면 강의식 수업보다는 플립러닝 수업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y class which has been widely diffused recently. Four hypothes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were designat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To test each hypothesis, several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cademic year, grade, student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ifferent types of teaching method (flipped learning vs traditional lecture) which a professor in Baekseok University gave. The flipped learning and the traditional lecture were analyzed comparatively by using t-test and average analysis. Four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through the research. First, the learning effect between the traditional lecture class and the flipped learning class was not different. Second, the learning effect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learning effect of male students in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iveness between the lower academic year students and the upper academic year students in the flipped learning class. Finally, the student satisfaction of the traditional lecture class was higher than the student satisfaction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not be desirable to select flipped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unconditionally although flipped learning is spreading like a fashion and flipped learning class can be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lecture class to raise the learning effect of the female students.

      • KCI등재

        범죄예방활동의 전이효과와 이익의 확산효과에 관한 연구

        임형진(Lim, Hyungjin) 한국셉테드학회 2020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는 범죄예방활동이 범죄전이효과와 범죄예방이익의 확산효과 중 어떤 효과를 더 크게 나타내는지 검증하여 범죄예방전략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해자들이 그들의 범죄가 어떤 장소에서 막히게 되면 다른 장소로 옮겨 가서 범죄를 저지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증적인 연구결과들은 어떤 장소에서 범죄를 막기 위해 상황적 범죄예방수단이 적용되게 되면 범죄전이효과가 반드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들은 범죄전이가 일어날 수 있지만 장소에 기반한 개입의 필연적인 결과는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장소에 기반한 개입은 범죄의 전이보다는 이익의 확산효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적인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많은 범죄들이 적은 수의 장소들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가 적은 수의 장소에서 범죄를 줄일 수 있다면 전체적인 범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둘째, 범죄에 대한 개입에 의한 전이효과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범죄전이가 나타날 수는 있지만 그것이 범죄예방의 모든 이익을 제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의 범죄의 감소는 인근 지역에서의 범죄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넷째, 일정한 장소에서 행동을 통제할 수 있고 책임을 지고 있는 장소 관리자가 있다. 그들은 그 장소를 통제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있으며, 물리적 환경을 조직화하고 행동을 규율하고 접근을 통제하면서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관리자들 사이의 협의가 잘 이루어진다면 범죄예방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구결과들은 장소에 기반한 개입이 최소한 일정한 범죄에 대하여 범죄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of the two theories, once being crime displacement, the other being diffusion, has greater effect and find out implications for crime prevention strategies. Some people believe that if offenders are blocked they will move to another place to commit crimes. However, as empirical research shows, if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measures are used to prevent crime at places, displacement is not inevitable but possible. The studies showed that displacement is possible but it is not necessary result caused by place-based interventions. Also, place-based interventions are more likely to bring about diffusion of benefits rather than displacement. The empirical studies indicat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irst, many crimes occur in a small number of places. If we can reduce crime at the small number of places, we can highly reduce overall crimes. Second, displacement caused by interventions is not a big problem. Various research shows that although displacement is possible it does not remove all prevention benefits. Third, crime reduction in high-crime places can bring about crime reduction in near areas. Various studies prove diffusion of benefits. Fourth, there are place managers who are responsible for controlling behaviors at places. They have legal authorities to control the places. Hence, they organize physical environment, regulate behaviors, control access, and get necessary resources. Thus, crime prevention at places is conducted after agreements of place managers. Finally, various research shows that place-based interventions have an impact on at least a certain crime.

      • KCI등재

        회복적 경찰활동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 평가: 진행자를 중심으로

        임형진(Lim, Hyungjin),김문귀(Kim, Moon-Kwi)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4

        This study evaluates a restorative policing(restorative dialogue) program pilot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For th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process and effect evaluation through a survey of 17 people among the facilitato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For the process evalu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facilitators, the experience of the restorative dialogue, the perception of the purpose of the restorative dialogue, the recognition of the role of the facilitators, the role of the police officers in the restorative dialogue, and the necessity of the restorative polic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urvey participants had participated in various related education for many hours, and also had gotten related certificates. Second, the survey participants experienced restorative dialogue programs during the trial operation period from at least once to at most 18 times, and they cited difficulties such as scheduling for a restorative dialogue and the low-priced facilitator allowance. Third, most of the survey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restorative dialogue should focus on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the parties and recovering the relationship rather than compensation for damages. Fourth, most of the survey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role of the police officers should be the same as or slightly extended rather than their role during the trial period. Fifth, regarding the necessity of restorative policing, most of the survey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a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was necessary to complement typical policing focusing on criminal arrest. Next, for the effect evalu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restorative dialogu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olice-level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urvey participants perceived that restorative dialogue was more effective in recovering damage and preventing recidivism than existing investigation procedures. Second, the survey participants said that the police-level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prosecution-level or court-level restorative justice program in which it is quick to recover damage, is effective in recovering relations, prevents recurrence, and induces community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alysis hav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ufficient pool of facilitators. Seco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facilitators of restorative dialogue.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cost of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for police officers to become facilitators. Fifth, it is necessary to select domestic violence crimes in which the offenders acknowledge the crimes, violent crimes between acquaintances, property crimes by juveniles, and violent crimes by juveniles as the subjects of the restorative dialogue program. 이 연구는 경찰청에서 시범운영한 회복적 경찰활동(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에 대해 평가한다. 이를 위해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진행자 중 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17명)를 통해 과정평가와 효과평가를 진행하였다. 과정평가를 위해 진행자의 전문성, 회복적 대화 경험, 회복적 대화 목적에 대한 인식, 진행자 역할에 대한 인식, 회복적 대화에서 경찰관의 역할, 회복적 경찰활동의 필요성이 조사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대상자들의 대부분은 많은 시간 다양한 관련 교육에 참여하였으며, 관련 자격증도 소지하고 있었다. 둘째, 설문대상자들은 최소 1회부터 최대 18회까지 시범운영기간 중 회복적 대화를 경험하였으며, 회복적 대화를 위한 일정조율, 낮게 책정된 진행자 수당 등을 어려웠던 점으로 꼽았다. 셋째, 대부분의 설문대상자들은 회복적 대화가 손해배상보다 당사자 간의 갈등해소와 관계회복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설문대상자의 대부분은 경찰관의 역할이 시범운영기간과 같거나 약간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회복적 경찰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설문대상자들은 범인검거 중심의 전형적 경찰활동을 보완하기 위해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효과평가를 위해 회복적 대화의 효과성, 경찰 단계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의 의의가 조사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대상자들은 회복적 대화가 기존 수사절차에 비해 피해회복 및 재범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설문대상자들은 경찰 단계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은 피해회복에 신속하며, 관계회복 및 재발방지에 효과가 크고, 지역사회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검찰단계나 법원단계의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과 차별화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내포한다. 첫째, 충분한 진행자 인력풀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회복적 대화 진행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회복적 대화 진행비 현실화를 위한 재원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경찰관이 진행자가 되기 위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회복적 대화 대상 사건으로 우선 가해자가 범죄를 인정하는 가정폭력범죄, 지인 간 폭력범죄, 소년에 의한 재산범죄, 소년에 의한 폭력범죄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인식 : 모니터링 요원을 중심으로

        임형진(Lim, Hyungjin),강욱(Kang, Wook) 한국셉테드학회 2021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모니터링 요원의인식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8개구 CCTV 통합관제센터 모니터링 요원 90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니터링 요원은 CCTV 통합관제시스템이 범죄예방효과, 범죄로부터의 안전효과, 범죄중단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해 모니터링 요원은 살인, 강도, 강간, 침입절도, 기타 절도, 폭행, 방화, 청소년범죄, 기타범죄에 모두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청소년비행, 폭행, 기타절도, 강간, 방화, 침입절도에 상대적으로 높고, 강도, 살인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방범용CCTV를 설치하면 범죄전이효과가 발생하나 완전한 전이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시사한다. 첫째, 방범용 CCTV 설치 시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범죄예방효과가 범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방범용 CCTV 설치장소 선정에 있어 모니터링 요원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방범용 CCTV 설치시 이웃지역으로의 범죄전이효과 및 이익의 확산효과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erception of monitoring personnel abou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CCTV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90 monitoring personnel at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s in 8 districts in Incheon, and the surve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nitoring personnel recognized that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had a crime prevention effect, a safety effect from a crime, and a crime stop effect. The monitoring personnel also recognized tha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was effective against murder, robbery, rape, burglary, other theft, assault, arson, juvenile crime, and other crimes. Following the recognition of the monitoring personnel, the crime prevention effects were relatively high for juvenile crime, assault, other theft, rape, arson, and burglary, whereas the crime prevention effects were relatively low for robbery and murder.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installing a CCTV for crime prevention would cause a crime displacement effect, but not a complete crime displacemen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policy suggestions. First, when installing CCTV for crime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crime prevention effect of the integrated CCTV control system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crim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opinions of monitoring personnel in selecting the installation site for open-street CCTV. Finally, when installing CCTV for crime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crime displacement effect and diffusion of benefits effect to neighboring areas.

      • KCI등재

        미국 경찰활동의 한 이슈: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경찰력 사용

        김정림(Kim Jeonglim),임형진(Lim Hy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6 영미연구 Vol.36 No.-

        경찰력의 사용은 공중의 생활, 자유, 그리고 재산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 특히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경찰력 사용은 미국사회에서 이해관계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아 왔다. 많은 연구, 토론, 위원회 회의, 그리고 개혁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계속되는 경찰력의 남용은 대중들을 실망시켜왔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미국사회에서 경찰력 사용의 영향, 이유, 빈도, 유형, 그리고 그 수준에 대해 고찰한다. 본 연구는 또한 미국의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경찰력 사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두 가지 이슈로서 경찰력 사용의 결정요소와 경찰력 사용의 측정 문제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그 후,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경찰력의 예방에 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경찰 자체의 개혁노력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그리고 정치적인 지원을 통해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경찰력 사용의 빈도를 줄일 수 있고, 사용되는 경찰력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The police, when using its force, may exert a grave impact on public life, liberty, and property, for which reason its problematic use of force has drawn special attention from stakeholders in the United States. With all the abundant previous studies, discussions, commission meetings, and reform efforts, the police abuse of force has been persistent to the public’s frustr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s, reasons, frequencies, types, and levels of the police use of force in view of the previous studies. It also explains those determinant and measurement issues which are imperative in understanding the problematic police use of force in the U.S. Then it discusses how to prevent those problematic uses of for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e’s problematic uses of force can be decreased and its force can be reduced through the social and political supports as well as the police’s own reform efforts.

      • KCI등재후보

        일반주택지역 CPTED 사업에 대한 주민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원구 ‘범죄제로화 사업’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강용길(Kang, Young Gil),임형진(Lim, Hyungjin) 한국셉테드학회 2017 한국셉테드학회지 Vol.8 No.1

        이 연구는 범죄위험성이 높은 기존 일반주택지역, 저소득층 주거지역의 경우 여전히 범죄위험에 노출되어 전반적인 삶의 질이 향상되지 못한다는 문제 인식을 배경으로 한다. 연구 목적은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반주택지역에 셉테드 사업이 적용 되었을 때 사업의 범죄예방효과성에 대해 지역주민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지역적 특성 및 주민의 요구에 부합하고, 사업성과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업목표와 체계적인 진행절차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노원구 관내 일반주택지역에 대한 「범죄제로화 사업」 의 추진배경 및 추진전략 그리고 범죄위험성과 관련된 노원구의 일반적인 현황지표들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업대상지역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범죄예방효과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수집된 설문결과를 기술통계,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양적 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셉테드 사업에 대해 주민들이 인지할수록, 범죄예방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사업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사업대상 구역별로 범죄발생, 무질서, 두려움에 대한 효과 인식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범죄예방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사업지역 주민들은 셉테드 사업을 통해 범죄발생의 감소 〉범죄두려움의 감소 〉무질서의 감소 순서로 효과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general housing areas and low-income residential areas with high risk of crime still have low quality of life because the areas are still exposed to crime risk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systematic procedures and goals of the CPTED project to meet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resident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how local residents perceive the crime prevention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when the CPTED project is applied to the general residential areas where the deterioration is taking place. The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First, the background and strategy of Crime Zeroing Project in the general residential areas and general status indices of Nowon-gu related to crime risk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Second, a survey of residents living near the project areas was conducted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Third,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over analyses. This study provided several results. First, the more the residents perceived the CPTED program and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the residents on the crime prevention effectiveness was, the more positively the residents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CPTED project on crime, disorder, and fear of crime depending on the project areas. However, overall, the residents thought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on crime prevention was positive. Third, the residents of the project areas recognized that the first impact of the CPTED project is decreasing crime, the second one is decreasing fear of crime, and the third one is decreasing disorder among the thr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