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지역 블루베리에 발생하는 해충종류와 블루베리혹파리 발생양상

        임주락,김은주,문형철,조종현,한수곤,김희준,송영주,Lim, Ju-Rak,Kim, Eun-Ju,Moon, Hyung-Cheol,Cho, Chong-Hyeon,Han, Soo-Gon,Kim, Hee-June,Song, Young-J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1

        2013~2014년 동안 전북지역 블루베리에서 총 37종의 해충이 조사되었다. 주요해충은 블루베리혹파리, 목화진딧물, 갈색날개매미충, 볼록총채벌레, 미국흰불나방, 장수쐐기나방 6종이었다. 목화진딧물 피해는 5월 중순 익산과 진안에서 심하게 발생하였다. 총채벌레 피해는 모든 지역에서 개화기인 6월초에 심하였고, 어린묘에서 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중산간지역인 순창과 진안지역에서 대발생하여 전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미국흰불나방은 6월 익산에서 특이적으로 집중 발생하는 경향이었다. 쐐기나방은 5종이 발생하였는데 그 중 장수쐐기나방이 모든 지역에서 발생밀도가 가장 높았다. 블루베리혹파리 피해는 중산간지대인 순창과 진안지역보다 평야지대인 익산지역에서 심하였고, 3년생 이하 어린 묘에서 피해율 60~78%로 5년생 이상 피해율 30~50%에 비하여 높았다. 또한, 하우스에서 피해율은 50~80%로 노지 피해율 30~40% 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rty-seven species of insect pests were surveyed on different area blueberry farms in Jeonbuk province during 2013~2014. Six principal insect pests were found, including Dasineura oxycoccana Johnson, Aphis gossypii Glover, Scirtothrips dorsalis Hood, Ricania sp., Hyphantria cunea Drury, and Latoia consocia Walker. A. gossypii infestation was severe at Iksan and Jinan in middle May. S. dorsalis infestation was severe at all surveyed area in early June, which is the flowering season, and the degree of damage caused was higher in young plants. Ricania sp. was abundant in Jinan and Sunchang, and then appeared to spread across all areas in Jeonbuk. H. cunea had a tendency to concentrate in Iksan during June. Five species of Limacodidae was found, including L. consocia, which was dominant in all areas surveyed, with densities higher then those of the others four species. The degree of damage due to D. oxycoccana was higher in the plain areas (Iksan) than in the middle-mountain areas (Jinan, Sunchang). The rate of damage was 60~78% higher in young plant stages (i.e., those under 3 years of tree age) than in those over 5 years old (30~50%). Moreover, the rate of damage observed in greenhouses was 50~80%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the field (30~40%).

      • KCI등재

        시설 가지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경제적피해수준

        임주락,문형철,최선우,김주희,이기권,고복래,최정식,전용균,황창연,Lim, Ju-Rak,Moon, Hyung-Cheol,Choi, Seon-U,Kim, Ju-Hee,Lee, Ki-Kwon,Ko, Bok-Rai,Choi, Jung-Sick,Jeon, Yong-Kyun,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3

        시설 가지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 경제적피해수준 및 요방제수준을 추정하였다. 생육초기 아메리카잎굴파리 접종밀도에 따른 시기별 발생밀도는 5월 17일 접종 후 6월 하순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7월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접종밀도별 지상부 생장 및 과실 생육은 유의한 영향은 없었으나, 총과수 및 수량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그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높아졌다. 피해엽율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20마리/4주 수준에서 65%의 피해가 나타났으며, 상품과수 및 상품과율은 무접종구(12.2%)에 비해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접종밀도에 따른 피해 엽면적비율은 각각 5.3, 11.7, 19.7, 25.7%였고, 이때 수량감소율은 각각 0.6, 4.8, 9.8, 14.7%를 나타내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과의 관계는 Y = 0.76779X + 0.298354 ($R^2\;=\;0.9599$)의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고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식에 의하면 자연감소율을 5%로 고려할 때 경제적피해수준은 6.1마리/4주로 시설가지에서 생육초기 아메리카잎굴파리 요방제수준은 4주당 4.9마리 범위로 추정되었다. Economic injury levels and economic thresholds were estimated for the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on greenhouse eggplant. Liriomyza trifolii density was increased until the late June and decreased after the July in innoculation on may 17. Growth of an aerial plants and fruits were not different in treatment respectively. But total number of fruits and yields were decreased on higher inoculation density. Whereas the rate of yield loss was increased. The rates of damaged leaf by L. trifolii were increased on higher inoculation density and the peak was 65%. The number of commodity fruits and the rates of commodity fruit were become lower than non-treatment (72.2%). The rates of damaged leaf area were 5.3, 11.7, 19.7, 25.7% on inoculation densities and the rates of yield loss were 0.6, 4.8, 9.8, 14.7%, respectively. There existed close correlation between rate of yield loss and inoculation density (Y = 0.76779X + 0.298354, $R^2\;=\;0.9599$). Considerated of the results, the economic injury levels of L. trifolii on eggplant greenhouse was 6.1 adults per 4 plant and the economic thresholds was 4.9 adults per 4 plant.

      • KCI등재

        더덕에 발생하는 당근뿌리혹선충의 증식억제 식물 탐색

        임주락,황창연,김대향,최정식,Lim, Ju-Rak,Hwang, Chang-Yeon,Kim, Dae-Hyang,Choi, Jung-Sic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3

        비름과 쇠무릎등 총 36과 81속 90종의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쇠무릎 등 70종의 식물에서 당근뿌리혹선충 감염을 확인하지 못했고, 이들 70종 중 42종의 식물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더덕의 피해가 많았던 포장에 심고, 감염여부를 조사한 결과, 쇠무릎 등 26종은 당근뿌리혹선충에 거의 감염되지 않았고, 지치 등 16종은 감염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42종의 식물중 30종의 식물을 Pot 재배를 통하여 당근뿌리혹선충 접종밀도별 뿌리혹수와 토양 내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패랭이, 원추천인국, 기린초, 아주까리, 지모, 해변아욱, 애기똥풀, 흑참깨, 짚신나물, 큰뱀무, 오이풀, 현삼 등 12종은 당근뿌리혹선충에 거의 감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더덕은 당근뿌리혹선충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뿌리혹수가 많아지고, 토양 내 유충밀도 역시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더덕의 생육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나빠지는 경향이었다. Total 90 species of medicinal plants were surveyed to see if they have any suppressive effects on the dinsity of M hapla at the exhibition field in the Chinan medicinal herbs experiment station. In 70 species including Achyranthes japonica, root-knot and/or egg sac of M. hapla was not found and these plants were planted in C. lanceolata field to check the degree of M. hapla infection. In 26 species including A. japonica, M. hapla infection was not observed. Simultaneously, 30 species were planted in pots to find out degree of infection by M. hapla. Dianthus chinensis, Rudbeckia bicolor, Sedum kantschaticum, Ricinus communis, Anemarrhena asphodeloides, Malva verticillate, Chelidonium majus, Sesamum indicum, Agrimonia pilosa, Geum aleppicum, Sanguisorba officinalis and Scrophularia buergeriana were free from infection. While the number of galls and density of M. hapla in soil were higher to high innoculation density, and the growth of C. lanceolata was rower.

      • KCI등재

        복분자딸기에서 발생하는 해충 종류 및 발생 양상

        임주락,최선우,김주희,이기권,정성수,류정,황창연,Lim, Ju-Rak,Choi, Seon-U,Kim, Ju-Hee,Lee, Ki-Kwon,Cheong, Seong-Soo,Ryu, Jeong,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2

        2006년에서 2008년까지 전북지역의 복분자딸기에서는 차응애, 박쥐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무궁화잎밤나방, 장미흰깍지벌레 등 5종의 해충이 주로 발생하였다. 복분자딸기에서 발생하는 차응애와 무궁화잎밤나방 발생소장 조사결과 차응애는 5월 중순 발생을 시작하여 6월 하순, 7월 중순, 8월 하순 3회 발생피크를 보였고, 발생밀도는 엽당 10마리 이상이었다. 무궁화잎밤나방은 6월 중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하순 발생피크를 보인 후 줄어들다가 10월 상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복분자딸기 수확 전에 발생하는 해충은 28종이었으며, 주요 해충은 차응애, 점박이응애, 대만총채벌레, 톱니무늬애매미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초록장님노린재, 검정배줄벼룩잎벌레 7종이었다. 수확 후에 발생하는 해충은 19종이었고, 주요 해충은 차응애, 박쥐나방, 무궁화잎밤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검정배줄벼룩잎벌레, 장미흰깍지벌레 6종이었다. 해충관리를 하지 않고 방치한 포장에서는 복분자딸기의 생육이 저하되고, 수량은 매년 7%정도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농약으로 해충관리를 한 포장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In this study, 5 species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Endoclyta excrescens (Butler), leaf roller caterpillar (Adoxophyes orana Fisher), Anomis mesogona (Walker), and Aulacaspis rosae (Bouche)) were found in Rubus coreanus Miquel in Jeonbuk province, from 2006 to 2008. T. kanzawai appeared in mid-May and showed three peaks in late June, mid-July, and late August. Its density was over 10 adults per leaf. A. mesogona appeared in mid-June and showed two peaks in late July, and early October. Of the 28 insect pests in pre-harvesting, the 7 main species were T. kanzawai, T. urticae, A. orana, Lygocoris lucorum Meyer,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Psylliodes punctifrons Baly and Motschulskyia serrata (Matsumura). Of the 19 insect pests in after-harvesting, the 6 main species were T. kanzawai, E. excrescens, A. mesogona, A. orana, P. punctifrons and A. rosae. Growth of R. coreanus decreased when insect pests were not managed and yields decreased approx. 7% a year. Management of insect pests in field using pesticide was not different.

      • KCI등재

        복분자딸기에서 차응애의 경제적피해수준 및 방제수준

        임주락,유진,이기권,황창연,Lim, Ju-Rak,You, Jin,Lee, Ki-Kwon,Hwang, Chang-Yeon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2

        복분자딸기에서 차응애에 대한 경제적피해수준과 요방제수준을 평가하였다. 2008년 5월 7일 접종밀도(성충 0, 5, 10, 20, 40마리/주)에 따른 시기별 발생밀도는 무접종구를 제외하고는 6월 상순까지 점점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더 크게 증가하였다. 차응애 접종밀도에 따른 수량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그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접종밀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2009년 5월 8일 접종밀도(성충 0, 2, 5, 10, 20마리/주)에 따른 시기별 발생밀도와 수량 및 수량감소율도 2008년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차응애 접종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를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2008년 Y = 0.6545X + 3.0425 ($R^2$ = 0.93), 2009년 Y = 0.9031X + 2.0899($R^2$ = 0.96)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었다. 차응애 접종밀도별 수량감소율과의 관계식에 근거하여 GT값이 전체수량의 5%되는 수량감소율 (Y)을 추정해 보았을 때 복분자딸기에서 경제적피해수준(X)은 2008년 3.0마리/줄기, 2009년 3.2마리/줄기이었고, 요방제수준은 각각 2.4마리/줄기, 2.6마리/줄기이었다. 접종밀도와 방제적기로 고려되는 5월 중순 차응애 발생밀도와의 관계는 2008년 Y = 0.471X + 2.495($R^2$ = 0.95), 2009년 Y = 0.9938X + 3.1858($R^2$ = 0.96)로 회귀식이 성립되었으며, 회귀식에 의하면 복분자딸기 차응애 요방제수준(2008년 2.4마리/주, 2009년 2.6마리/주)에 따른 5월 중순 발생밀도는 각각 2008년 3.6마리/엽, 2009년 5.8마리/엽이었다.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economic control threshold (ET) were estimated for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Acari, Tetranychidae) in Rubus coreanus Miquel. T. kanzawai density increased until the early-July and thereafter decreased in all plots except the non-innoculation plot where initial density of the mite were different each 0, 5, 10, 20 and 40 adults per plant branch on May 7 in 2008. And the occurrence of the densities were increased higher innoculated density than different innoculation density. The yield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and thereby the rates of yield los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And T. kanzawai occurrence density, yields and the rates of yield loss, where initial density of the mite were different each 0, 2, 5, 10 and 20 adults per plant branch on May 8 in 2009 were similar tendency to 2008 year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kanzawai densities and the yield losses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0.6545X + 3.0425 ($R^2$ = 0.93) in 2008, Y = 0.9031X + 2.0899($R^2$ = 0.96) in 2009.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plant branch(EILs)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0 in 2008 and 3.2 in 2009. And the ET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4 in 2008 and 2.6 in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kanzawai densities and occurrence density of mid-May considering the best spray timing against T. kanzawai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0.471X + 2.495($R^2$ = 0.95) in 2008, Y = 0.9938X + 3.1858($R^2$ = 0.96) in 2009.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leaf(ET) in mid-May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6 in 2008 and 5.8 in 2009.

      • KCI등재

        긴날개여치 실내 대량 사육을 위한 발육 및 산란특성 분석

        임주락,문형철,박나영,이상식,유영진,Lim, Ju-Rak,Moon, Hyung-Cheol,Park, Na-Young,Lee, Sang-Sik,Yoo, Young-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4

        From 2017 to 2019, the ovipositional 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Gampsocleis ussuriensis Adelung in the Buan area of Jeonbuk Province were examined. G. ussuriensis were mostly found in the weeded areas around the reservoir, where the adults first appeared in mid-July, showed up where by the early September, and overwintered in eggs. Nymphs appeared in early April to mid-July the next year. The nymphs hatched from early April and adults appeared after molting five times. The ovipositional period of G. ussuriensis was approximately 58 days. The total number of eggs per female was 124. The mean longevity of adults was 95.6 days for females and 84.8 days for males. Ovipositional mats were best with mixed Masato and Coco-Pitt at a ratio of 7:3. Developmental period of G. ussuriensis nymphs was 64.1 days at 24℃ and was longer than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shorter the developmental period. The survival rate of nymphs was the best at 32℃ in 77.8%. The higher the density while rearing, the lower the survival rate, and the faster the development and molting velocity.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전북 부안지역에서 채집한 긴날개여치의 발육 및 산란특성을 조사하였다. 긴날개여치(Gampsocleis ussuriensis Adelung)는 저수지 주변 잡초가 우거져 있는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야외에서는 성충이 7월 중순 출현하여 9월 상순까지 나타났다.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4월 상순부터 7월 중순까지 약충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에서는 4월 상순 이후 부화한 약충은 5회 탈피를 하고, 성충이 되었다. 긴날개여치 산란기간은 약 58일 정도 소요되었다. 암컷 한 마리당 총평균산란수는 124개였으며, 성충수명은 암컷 95.6일, 수컷 84.8일이었다. 산란매트로는 마사토와 코코피트를 7:3으로 섞은 것이 가장 좋았다. 온도별 발육기간은 24℃에서 64.1일로 가장 길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지고, 생충률은 32℃에서 77.8%로 가장 좋았다. 긴날개여치 약충 사육밀도는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생존율은 떨어지고, 발육속도가 빨라지며, 영기별 탈피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 KCI등재

        더덕에서 약용식물을 이용한 당근뿌리혹선충 증식 억제 효과

        임주락,황창연,류정,최영근,Lim, Ju-Rak,Hwang, Chang-Yeon,Ryu, Jeong,Choi, Yeong-Ge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3

        약용식물 25종 중 지모, 창포, 쇠무릎, 짚신나물, 패랭이, 큰뱀무, 약모밀,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현삼, 흑참깨, 기린초, 오이풀 등 13종의 식물체 추출액 5배와 10배의 희석농도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을 Pot에 파종하여 13종의 식물 추출액 5배액의 살선충 효과를 평가한 결과 짚신나물을 제외한 12종의 식물체 추출액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었고, 지모, 쇠무릎, 창포, 패랭이,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등 6종의 추출액은 8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었던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고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짚신나물을 제외한 지모 등 12종의 식물 포장에서 뿌리혹 및 토양 내 유충밀도가 적게 발생하였으며,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퇴비처럼 처리한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였을 때는, 뿌리혹수 및 난낭수, 토양 내 유충밀도가 무처리에 비해서 흑참깨 처리를 제외하고는 적게 발생하였으나, 방제효과는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던 포장에 비해 크게 떨어졌으며, 쇠무릎과 창포 처리의 방제가만 70% 이상으로 다른 식물에 비해 좋았다. Possible nematicidal effects of plant extracts of 25 species uninfected by M. hapla were observed at the 5 times dilutions in all treatments and at the 10 times dilutions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Acorus calamus, Achyranthes japonica, Agrimonia pilosa, Dianthus chinensis, Geum aleppicum, Houttuynia cordate, Rudbeckia bicolor, Ricinus communis, Scrophularia buergeriana, Sesamum iindicum, Sedum kamtschaticum, and Sanguisorba officinalis. The 13 species plant extracts of 5 times dilutions were evaluated for the suppression effects on reducing densities of M. hapla by treating to C. lanceolata sown and transplanted later in pots. All the plant extracts showed suppressive effects on M. hapla except for.A. pilosa. The suppressive effects of A. asphodeloides, A. japonica, A. calamus, D. chinensis, R. communis, and S. buergeriana were over 80%. When the selected plants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soil before C. lanceolata was sown, the numbers of root galls, egg sacs and $J_{2}$ appeared lower in the treatment of 12 plant species than in control except for S. indicum. But the suppressive effects were lower than the effects of selected plants being cultivated simultaneously in the field. A. calamus and A. japonica exhibited over 70% suppressive effects, among the tested plants.

      • KCI등재

        전북지역 시설 채소류 작물별 해충 발생양상 및 종 동정

        임주락,박성희,문형철,김주,최동칠,황창연,이관석,Lim, Ju-Rak,Park, Sung-Hee,Moon, Hyung-Cheol,Kim, Ju,Choi, Dong-Chil,Hwang, Chang-Yeon,Lee, Kwan-S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3

        전북지역에서 재배되는 시설 채소류 5과 20종의 작물을 대상으로 해충 종류 및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총 22과 39종의 해충이 발생하였다. 명아주과에서는 대만총채벌레 등 7과 10종, 십자화과는 16과 25종, 미나리과는 9과 10종, 백합과는 6과 7종, 국화과는 13과 21종의 해충이 조사되었다.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은 5개 과의 채소 모두에서 발생하였고, 대만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완두굴파리는 백합과(파, 부추)를 제외한 4개과 채소에서 모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반면에 흰띠명나방을 포함한 13종의 해충은 각각 1개과의 채소에서만 발생하였다. 명아주과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과 흰띠명나방,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4종이 주요해충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 온실가루이, 완두굴파리, 양배추은무늬밤나방 4종은 미기록해충이었다. 배추과에서는 양배추가루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좁은가슴잎벌레, 배추벼룩잎벌레, 배추좀나방, 배추순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흰나비, 무잎벌 9종에 의한 피해가 컸고, 대만총채벌레를 포함한 6종은 미기록 해충이었다. 미나리과에서는 해충 발생에 의한 피해는 크지 않았으며, 차응애, 대만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담배거세미나방, 완두굴파리는 미기록 해충이다. 백합과 주요해충은 파총채벌레, 파좀나방, 파밤나방, 파굴파리 4종이었다. 국화과에서는 담배거세미나방을 제외하고 피해가 큰 해충은 없었다. Twenty-two families and 39 species of insect pests were surveyed on five families and 20 species of greenhouse vegetables in Jeonbuk province. The species of insect pests and the families of plants infested were seven families and 10 species on Chenophodiaceae, 16 families and 25 species on Brassicaceae, nine families and 10 species on Apiaceae, six families seven species on Liliaceae, and 13 families and 29 species on Compositae. Spodoptera exigua H$\ddot{u}$bner and Spodoptera litura Fabricius occurred on all vegetables. Additionally,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Myzus persicae Sulzer, and Phytomyza horticola Goureau occurred on all vegetables except Liliaceae(Allium tuberosum Rottl. and Allium fistulosum L.). Thirteen species of insect pests including Hymenia recurvalis Fabricius occurred only one vegetables, indicating that they were monophagous. The main insect pests of Chenophodiaceae were M. persicae, H. recurvalis, S. exigua and S. litura whereas Dolycoris baccarum Linn$\acute{e}$,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Trichoplusia ni H$\ddot{u}$bner, and P. horticola were not recorded. On Brassicaceae were Brevicoyne brassicae Linn$\acute{e}$, M. persicae, Phaedon brassicae Baly, Phyllotreta striolata Fabricius, Plutella xylostella Linn$\acute{e}$, Hellula undalis Fabricius, S. litura, Pieris rapae Linn$\acute{e}$, Artogeia rapae Linn$\acute{e}$, and Athalia rosae ruficornis Jakovlev, but six species including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were not recorded. The degree of damage by insect pests on Apiaceae was low, five species including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F. intonsa, T. vaporariorum, S. litura, and P. horticola were not recorded. The main insect pests on Liliaceae were Thyatira tabaci Lindeman, Acrolepiopsis sapporensis Matsumura, S. exigua, and Liriomyza chinensis Kato. The damage to Compositae by insect pests was relatively low except that of S. litura.

      • KCI등재

        전북지역 오디 생산용 뽕나무 해충의 발생양상

        임주락,문형철,김동완,권석주,한수곤,곽동옥,Lim, Ju-Rak,Moon, Hyung-Cheol,Kim, Dong-Wan,Kwon, Suk-Ju,Han, Soo-gon,Kwak, Dong-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Thirty-three species of insect pests including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nd air-breathing land snail, Acusta despecta Sowerby, were observed on mulberry for producing mulberry fruits in Jeonbuk province from 2015 to 2016. Of these, 8 species of insect pests, including of mulberry thrips, Pseudodendrothrips mori Niwa, are regarded as major insect pests. Of the 25 species observed before harvesting, 6 species-P. mori, Anomoneura mori, Pseudaulacaspis pentagona, Baris deplanata, Menophra atrilineata and T. urticae-are regarded as major insect pests. In contrast, of the 20 species observed after harvesting, 5 species-P. mori, P. pentagona, Glyphodes pyloalis Walker, Hyphantria cunea Drury and T. urticae-are regarded as major insect pests. Eight of the major insect pest species and nine other insect pest species-including Hexcacentrus unicolor Serville, Malcus japonicus Ishihara et Hasegawa, Halyomorpha halys stal, Xylosandrus germanus Blandford, four species of Repidoptera (Bombyx mandarina Moore, Euproctis subflava Bremer, Acronicta major Bremer, Agrotis trifurca Butler), and Acusta despecta Sowerby-were observed at all sites studied, although occurrence of the insect pests observed on mulberry varied from site to site.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전북지역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와 명주달팽이(Acusta despecta Sowerby) 2종을 포함하여 총 33종의 해충이 조사되었다. 그 가운데 뽕나무총채벌레(Pseudodendrothrips mori Niwa)를 포함한 8종이 주요 해충으로 분류되었다. 수확 전에는 총 25종이 조사되었는데, 그 가운데 뽕나무총채벌레(P. mori), 뽕나무이(Anomoneura mori Schwarz),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 Targioni Tozzetti), 뽕나무애바구미(Baris deplanata Roelofs), 뽕나무가지나방(Menophra atrilineata Butler),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6종이 주요 해충으로 분류되었다. 수확 후에는 총 25종이 조사되었는데, 그 가운데 뽕나무총채벌레(P. mori), 뽕나무깍지벌레(P. pentagona), 뽕나무명나방(Glyphodes pyloalis Walker),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점박이응애(T. urticae) 5종이 주요 해충으로 분류되었다. 오디용 뽕나무에서 발생하는 해충은 조사지역에 따라 달랐으나, 뽕나무총채벌레 등 주요 해충 8종과 베짱이(Hexcacentrus unicolor Serville), 뽕나무노린재(Malcus Japonicus Ishihara et Hasegawa),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Stal), 오리나무좀(Xylosandrus germanus Blandford), 나방류 4종(Bombyx mandarina Moore, Euproctis subflava Bremer, Acronicta major Bremer, Agrotis trifurca Butler) 및 명주달팽이(Acusta despecta Sowerby)는 모든 조사지역에서 발생되었다.

      • KCI등재

        시설 가지에서 점박이응애의 경제적피해수준

        임주락,최선우,김주희,문형철,이기권,김대향,류정,이상구,황창연,Lim, Ju-Rak,Choi, Seon-U,Kim, Ju-Hee,Moon, Hyung-Cheol,Lee, Ki-Kwon,Kim, Dae-Hyang,Ryu, Jeong,Lee, Sang-Ku,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시설재배 가지에서 점박이응애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수준을 추정하였다. 가지 생육초기 점박이응애 접종밀도(성충 0, 2, 5, 10, 20마리/주)에 따른 시기별 발생밀도는 무접종구를 제외하고 6월7일 접종 이후 점점 증가하다가 7월 5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7월 중순 발생 피크를 보이고,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생육최성기 가지 접종수준별 지상부 생육은 처리 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과실생육은 과중이 무접종구에 비하여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가벼워지는 경향이었다. 총과수 및 상품과수와 상품과율 및 수량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그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무접종구에 비하여 각각 3.9, 11.3, 14.5, 22.8%로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점박이응애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과의 관계는 Y = 1.085X + 2.474 ($R^2$ = 0.9659)의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고,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식에 근거하여 GT값이 전체수량의 5%되는 수량감소율을 추정해 보았을 때 요방제수준은 주당 1.8마리로 추정되었다.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economic threshold (ET) were estimated for the two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on greenhouse eggplants. T. urticae density increased until the mid-July and thereafter decreased in all plots where initial density of the mite were different each 0, 2, 5, 10 and 20 adults per plant was innoculated on June 7. Growth variables of were not different among experimental plots but fruit weights were lower in plots with higher initial mite density than in plots with lower initial mite density. Total number of fruits and the number of marketable fruits decreased in plots with higher initial mite density. The rates of yield los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resulting in 0, 3.9, 11.3, 14.5, 22.8% reduction in each of the above plot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urticae densities and yield losses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1.085X + 2.474, $R^2$ = 0.9659.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plant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