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다시말하기에서 나타난 mazes 특성

        임종아(Jongah Lim),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다시말하기에서 나타난 언어적 비유창성(mazes, 이하 mazes)의 특성을 담화유형과 학년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Mazes는 언어적 비유창성(linguisticdisfluencies)을 일컫는 용어이다. 방법: 초등학교 1학년 16명, 3학년 16명, 5학년 17명, 총49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들은 이야기글과 설명글을 읽고 나서 그 내용을다시 말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아동의 발화 샘플을 분석하여 총 어절수와 총 mazes 빈도및 mazes 유형 중 수정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Mazes에는 간투사(filler), 반복(repetition),수정(repair), 휴지(pause)와 기타(others) 등의 언어적 비유창성을 포함시켰다. 아동 간 이야기의 양과 발화길이의 차이를 통제하기 위해 mazes 비율을 산출하였는데 mazes 비율은 총어절수에 대한 총 mazes 빈도로 구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아동들은 글을 읽고 그 내용을다시 말할 때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mazes 비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담화유형에 따른차이 또한 발견되었는데 이야기글보다는 설명글에서 mazes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자신의말을 점검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능력을 반영하는 표지로 수정 비율의 발달적 경향을 살펴보았는데 학년이 증가할수록 mazes 중 수정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논의 및 결론: 초등학교 아동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mazes 비율이 감소하였다는 것은 연령증가에 따른 언어능력의 향상과 함께 언어계획과 구성 및 실행능력이 향상됨을 나타내는 하나의 표지로 볼 수 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mazes 비율은 감소하나 수정의 상대적 비율이증가한 점은 고학년의 아동은 자신의 말을 점검하는 능력의 향상으로 자신이 의도한 언어의 내용과 형식에 맞도록 보다 정교하게 말하려 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설명글에서mazes 비율이 더 높았던 점은 이야기글에 비해 설명글을 이해하고 다시 말하는 것이 언어계획과 구성 및 실행과정에 더 많은 처리 부담을 초래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mazes obtained in two types of story retelling: narrative and expository stories. Mazes were considered to represent linguistic disfluencies. Methods: Forty-nin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1, 3 and 5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reading several account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tell both a narrative and an expository discourse. The transcripts of the children’s stories were analyzed using various measures, including the total number of unmazed words, frequencies of mazes and the number of mazes in different types. The ratio of mazes in the discourses and the relative ratios of the maze types were calculated. The types of mazes included fillers, repetitions, repairs, silent pauses, and others. Results: The ratio of mazes in the discourses decreased as the grades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The children produced significantly more mazes while retelling expository stories than when retelling narratives. The ratio of repairs in all mazes increased as the age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repairs were considered to reflect the children’s abilities to monitor and change errors in their speech. Discussion & Conclusion: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maze production indicated that mazes may reflect the proficiency of children’s speech production skills. Specifically, repairs appear to reflect children’s abilities to monitor the errors in their speech production. Children produced more mazes in expository stories than in narrative stories because the expository stories may require a greater processing load in comprehending, remembering and reconstructing the content to retell. Such a load may negatively influence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speech production.

      • SCOPUS

        이야기다시말하기에서 나타난 아동의 mazes 특성

        임종아(Jongah Lim),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1

        배경 및 목적: mazes는 언어적 비유창성(linguistic disfluencies)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mazes를 측정하였다.방법: 초등학교 1~3학년의 ADHD아동 15명과 정상발달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이야기다시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mazes의 빈도와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집단의 총 C-unit수, C-unit 당 평균어절길이, 총 어절 수, 총 mazes 빈도, mazes 비율과 100어절 당 mazes빈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mazes의 유형을 간투사(fillers), 반복(repetitions), 수정(revisions),휴지(silence pause), 그리고 기타로 분류하여 유형별 mazes 비율과 100어절 당 mazes 유형별 빈도 및 총 mazes 빈도에 대한 유형별 상대적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ADHD아동은정상발달아동에 비해 C-unit 수가 유의미하게 적었지만 C-unit 당 평균어절길이는 차이가없었다. 그러나 100어절 당 mazes 빈도는 ADHD아동이 유의미하게 많았다. 특히 간투사와반복의 빈도가 정상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많았다. 논의 및 결론: ADHD아동은 정상발달아동에비해 더 많은 수의 mazes를 산출하였고 간투사의 비율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mazes는ADHD아동의 언어 계획과 조직화 및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하나의 표지로 볼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azes in stories retold both by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by their normal peers. Mazes were considered to represent linguistic disfluencies. Methods:Thir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1~3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15 were nomal developing children and the rest were diagnosed with ADHD. The intelligence quotients (IQs)and language development of all participants fell within normal rang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tell a story after it had been presented auditorily by the examiner. The transcripts of the children's stories were analyzed using various measures, including the number of C-units, the mean length of a C-unit by word, the number of mazes per 100 unmazed words, an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the different types of mazes. The types of mazes included fillers, repetitions, revisions, silent pauses, and others. Results: The children with ADHD produced mazes more frequently than the normal children. Specifically, the children with ADHD produced fillers and repetitions more frequently than their normal peers. Discussion & Conclusion: The frequent production of mazes in children with ADHD may reflect their underlying difficulties in planning, organizing and executing discourse production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비유 의미 인식

        임종아(Jongah L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DHD아동의 언어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언어지체 동반유무와 과제조건 및 비유유형을 중심으로 ADHD아동의 비유의미 인식 능력을 조사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의 정상언어발달을 보이는 ADHD(이하 단순 ADHD)아동 15명, 언어지체를 동반한 ADHD(이하 ADHD+LI)아동 13명과 일반아동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비유의미 인식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은유와 직유의 과제조건과 시각, 속성, 심리의 세 가지 비유유형을 중심으로 문장완성하기과제를 구성하였다. 아동들은 ‘A는 이다(같다)’의 은유(직유) 문장을 읽고 비유적 의미관계가 형성되도록 빈칸에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모든 문항의 은유(직유)문장에서 각각 비유적 의미, 사전적 의미, 엉뚱한 의미가 형성되는 세 가지 단어의 보기를 제시하여 아동이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결과: 집단(3)×과제조건(2)×비유유형(3)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ADHD+LI아동뿐 아니라 단순 ADHD아동도 비유의미를 인식하는 능력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저조하였다. 또한 과제조건과 비유유형에 따라 집단 간 다소 다른 수행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ADHD아동의 저조한 비유의미 인식 능력에 대해 비유의미처리과정, 어휘와 세상사지식, 유추 및 메타언어적 과제수행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307-320.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on of figurative mea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 (ADHD). Methods: Fifteen ADHD children without language impairment (ADHD only), 13 ADH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DHD+LI) and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47 children were elementary school first to third graders. In the figurative sentence completion task, the children listened to a list of metaphoric (simile) sentences with a blank. The children were asked to choose the word which produced the most appropriate figurative connection from three words, one figurative, one literal, and one irrelevant to the context, for each metaphoric (simile) sentence. The figurative meaning included three types of similarities, a visible similarity, an attributive similarity and a psychological similarity. Results: A mixed ANOVA of group (3) x condition (2) x type (3)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oup, condition and type an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condition and group and type. The total number of correct figurative response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DHD children with or without language impairment compared to that of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particular, ADHD+LI children tended to interpret the figurative meaning literally. Discussion & Conclusion: The ADHD children appeared to experience difficulty with figurative mean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are further discussed regarding figurative meaning processing, word and word knowledge, analogical inference and metalinguistic skill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07-320)

      • KCI등재

        우반구 뇌손상 성인의 은유이해

        이성희(Sung-Hee Lee),임종아(Jongah Lim),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과제 제시조건의 차이가 우반구 뇌손상 성인의 은유문장 해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우반구 뇌손상 성인 12명과 정상 성인12명을 대상으로 문장, 그림, 문맥의 세 가지 과제 제시조건에서 은유이해 양상을 분석하였다.모든 과제에서 은유문장 당 그 의미 해석에 대한 보기를 세 가지씩 제시하여(은유적 해석의정답, 사전적 해석의 오답, 엉뚱한 해석의 오답) 피험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그림조건에서는 은유문장을 들려주고 그림으로 구성된 보기를 제시하였고, 문장조건에서는은유문장에 대한 보기를 문장으로 제시하였다. 문맥조건에서는 은유문장과 관련된 문맥을 포함하여 들려주고 문장으로 구성된 보기를 제시하였다. 결과: 우반구 뇌손상 성인은 정상 성인보다 모든 과제 제시조건에서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또한 우반구 뇌손상 성인은 모든 과제 제시조건에서 은유이해 수행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문맥이 주어진 과제에서 수행이 가장 높았고 그림 과제에서 수행이 가장 저조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결과는 우반구 뇌손상 성인들이 그림으로 제시되는 과제에서 은유이해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보이지만 문맥정보가 제시되었을 때는 그 수행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은유이해 중재 시 문맥정보의 활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prehension of metaphoric sentences in adults with right-hemisphere brain damage (RHD) in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one visuo-verbal condition and two verbal conditions, including verbal with context and verbal without context. Methods: Twelve RHD adults and twelve normal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nder all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subjects listened to a list of metaphoric sentences. For each sentence, they were given three choices of interpretation, including a metaphoric interpretation, a literal interpretation, and an irrelevant interpreta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choose the most appropriate interpretation for each metaphoric sentence. The three choices of interpretation were presented as pictures under the visuo-verbal condition, and verbally under the two verbal conditions. The two verbal conditions differed in terms of whether the metaphoric sentence was preceded by a sentence that provided context for the metaphoric meaning. Results: A two-way ANOVA of group(2) × condition(3)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oup and condition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condition. The total number of correct metaphorical respons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HD adults relative to the normal adults. Although such a tendency was observed in all three conditions, the RHD adults showed greatest difficulty in comprehending metaphoric sentences under the visuo-verbal condition, as they tended to interpret the metaphoric sentences literally. Their performance was markedly better under the verbal with context condition than the other conditions. Discussion & Conclusion: RHD adults appear to experience difficulty in metaphor comprehension. However, their tendency for literal interpretation of metaphoric sentences varied depending on how the metaphoric sentences and possible meanings were presented. They were able to utilize contextual information in comprehending the metaphoric sentences. Contextual information for metaphors may facilitate metaphor comprehension for RHD adults.

      • KCI등재

        문맥 유무에 따른 속담 이해 발달

        박정희(Jeong Hee Park),임종아(JongAh L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 및 20대 성인이 문맥이 주어질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속담 이해 능력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발달 양상과 오류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령 집단 별로 각각 40명씩 총 160명의 참가자에게 30문항의 속담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전체 문항 중 절반에 해당하는 15개의 문항에는 문맥 없이 속담만을 제시하고, 나머지 15개에는 속담과 함께 관련된 문맥을 제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스스로 문항을 읽고 속담의 의미를 네 가지 보기인 속담과 관련된 오답, 속담을 문자 그대로 해석했을 때의 오답, 관련 없는 오답, 그리고 정답 중에서 선택하게 하였다. 결과: 집단(4)×문맥유무(2)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과 문맥유무조건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문맥이 주어졌을 때 초6 아동은 모든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중2 학생들은 초6 아동과만 차이가 발견되었을 뿐, 고1 학생 및 성인들과 속담 이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속담해석에 대한 오류분석 결과 모든 연령 집단이 속담 관련 오답, 관련 없는 오답, 문자적 오답 순의 선택을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초6과 중2 사이에 문맥을 활용한 속담 이해에 발달적 변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속담 이해과정 및 연령과 문맥의 영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the developmental change of comprehension with and without context in later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was investigated. Method: A total of 16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with 40 subjects per group. The groups consisted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dolescents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adults in their 20s. The subjects read lists of proverb sentences and, for each sentence, were given four choices of interpretation which included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plausible figurative interpretation, implausible figurative interpretation, and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proverb. The four choices of interpretation were presented as a proverb isolation condition and as a short story in the context condition. Results: A two-way ANOVA of group 4 x condition 2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oup and condition. The tota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6th graders relative to the other groups, and that of the middle schoolers was lower than the adults. However, with the short story contex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verb comprehension of middle schoolers relative to the adult group was revealed. All groups were observed to have a choice tendency in the following order: plausible figurative interpretation, implausible figurative interpretation, and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proverb. Discussion & Conclusion: Adolescents were able to utilize given contextual information in the comprehension of proverbs.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ontextual information for metaphors may be useful in proverb comprehension, and there is developmental change of proverb comprehension utilized in contextual information processing from later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단어재인에서 간섭자극 억제능력

        황민아(Mina Hwang),임종아(JongAh Lim),최경순(Kyungsoon Choi),고선희(Sunhee Ko),최소영(Soyoung Choi),김주형(Joohyoung Kim),전미영(MiYoung J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여러 연구에서 ADHD 아동들의 반응 억제 결함이 충동성과 과잉행동 및 그에 따른 다양한 행동문제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결함이라고 주장하였다(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본 연구에서는 단어재인 과제에서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졌을 때 ADHD 아동의 억제능력을 일반 아동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3-6학년에 재학 중인 ADHD 아동 11명과 일반 아동 1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들은 어휘, 문장따라말하기, 단어재인, 읽기이해에서 정상적인 발달 수준에 있었다. 아동들은 교차-양상 단어재인 간섭과제를 수행하였는데, 아동들은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간섭단어를 무시하고 동시에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목표단어를 가능한 빠르게 읽도록 지시받았다. 간섭자극의 유형에 따라 세가지 간섭조건이 구성되었는데, 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같았고, 비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달랐고, 무간섭조건에서는 청각적 간섭단어가 제시되지 않았다. 결과: 목표단어의 읽기 반응 시간에 대해서 집단×간섭유형의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의 주효과, 간섭유형의 주효과 및 집단과 간섭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무간섭조건에서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았지만, 두 간섭조건에서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느렸다. 논의 및 결론: ADHD 아동들은 일반 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단어재인 능력을 갖고 있더라도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지는 경우에 간섭자극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서 결과적으로 목표단어의 단어재인이 방해를 받았다. ADHD 아동의 억제 결함이 언어처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bjective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primary deficit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is in response inhibition, resulting in impulsiveness and hyperactivity and causing various behavioral problems (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hibi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DHD during word recognition while interfering words were presented. Methods: Eleven children with ADHD and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ll in grade 3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were developmentally within normal range in vocabu¬lary, sentence repetition, word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y performed a cross-modal Stroop-like task of word recognition, where two different words were simulta¬neously presented visually and auditorily.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target word on a computer screen as fast as they could, while ignoring the auditorily presented inter-fering word. Three condi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interference type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the same set of word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different sets, and no interfering words. Results: Without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 were not different from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reaction time of tar¬get word reading. However, in the two conditions with auditory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s reading time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ADHD were les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interfering words while reading. The influence of inhibition deficit of ADHD children on language processing was discussed.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전제의미 추론

        김미리내(Mirinae Kim),황민아(Mina Hwang),임종아(JongAh L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1

        Presupposition refers to shared background knowledge which the speaker and listener assume to be true. This study investigated drawing inferences from presuppositional meanings of sentence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relative to their age-matched (CA) peers and younger language -matched (LA) children. Fourteen children with SLI and 28 typically-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42 children were first to thi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presuppositional meaning judgment task, the childrenlistened to lists of sentences pairs. The first sentence included presuppositional meaning and the second sentence included true or false meaning to the first sentence. Then, the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wether the meaning of the second sentence is true or false. Half of the 32 questions consisted of explicit presuppositional sentences and the rest were implicit presuppositional sentences. A two-way ANOVA of group (3) x type (2)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oup and type. The tota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ildren with SLI relative to their peers, but similar to younger language-matched children. However, SLI children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presupposition types, unlike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children with SLI appeared to experience difficulty in inferencing presuppositional meaning and taking advantage of given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