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만 5세 협동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임자영(Im, Ja-Young),이대균(Lee, Dae-K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기초학습 능력 증진을 위해 LT(Learning Together)모형을 기초로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협동학습과 관련된 국내·외 관련 논문 및 자료들을 고찰하여 유아에게 적용하기에 적합한 모형으로 LT모형을 선정하여 모형개발의 기초로 삼았다. 이를 토대로 관련선행연구의 시사점을 적용한 만 5세 협동학습모형의 시안을 구성하고 유아교육 전문가 3인과 현장경력 7년 이상의 석?박사과정 대학원생 3인에게 의뢰하여 협동학습 모형시안에 대한 내용 적합성을 검토 받은 사항을 토대로 최종 모형을 완성하였다. 그 다음으로, 만 5세 유아 각 28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개발된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만 5세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은 15주간 16회기에 걸쳐 개발한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행하고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실험집단과 동일한 주제의 활동 또는 일일교육계획에 포함된 활동을 일반적인 수업 전개 방식인 ‘도입-전개-마무리’의 절차를 걸쳐 대집단 또는 개별 활동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만 5세 협동학습 모형 적용 결과 읽기·쓰기능력, 발표력,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erify the effect of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LT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basic learning skills for 5 years old children. 60 children aged 5 i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s participated in the pre-test: Reading Ability Test, Writing Ability Test, Speaking Expressional Attitude Test,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Scale. From 26 March to 13 July 2012,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whil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normal patterned program of ‘introduction - deployment - finalizing’ with large group or individual activities. After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he post-test was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about the cooperative learning, the LT model was chosen as appropriate for the basi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for 5 years old children. The first revised model was made with a revision of LT model process and the second revised model was made. The draft model was made after adding some implications from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nto the second revised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for 5 years old children. The final version was completed after 3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3 research students with more than 7 years career check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model. Second,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for 5 years old children was verified and the scores of the children"s reading ability, writing ability, presentation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increased significantly.

      • KCI등재

        남자 유치원 초임교사의 허물벗기

        임자영 ( Ja Young Im ),이대균 ( Dae Kyun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남자 유치원 초임교사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남자 유치원 초임교사가 초임교직생활에서 어떻게 성장해 나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시 유치원의 초임교사로 재직 중인 김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3개월간 자료 수집을 하였다. 총 9회의 심층면담과 6회의 전화면담, 그리고 저널을 통해 내러티브탐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김교사는 초임교직생활에서 1. 초임교사의 미숙함에서 익숙함으로, 2. 초임교사의 내면의 깨달음을 통한 유아교사의 역할 이해, 3. 남자교사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는 기관의 입장 수용하고 부응하기, 4. 학부모의 ‘異姓교사에 대한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의 성장과정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가 되려고 하는 남자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유치원 교사가 되는 것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남자도 유아교사로서 성장해 나갈 수 있다는 희망을 줄 수 있고 남자 교사를 채용하려는 기관장들에게는 남자 유아 교사도 교사의 역할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으며 오히려 남자 교사이기에 기관에 기여하는 바가 있음을 알려, 앞으로의 남자 유아교사의 채용에 적극적인 검토를 해보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a male novice kindergarten teacher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Kim teacher working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A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3 months. The data from 9 in-depth interviews, 6 telephone interviews, and journal analysis, were analyzed through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Kim teacher in his teaching life got through the process as follows: 1. novice teacher`s development from immature to mature; 2. novice teacher`s understanding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3. accepting and satisfying the organization`s expectations which requires the role of male teacher; and 4. coping with a fear of parents against the teacher of different sex. It is hoped that this result could make a fear of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could give a hope that male teacher also could be developed as a childhood teacher. Also the result of the study could persuade head or directo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understand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male teachers, which leads their attention to recruiting more male teachers.

      • KCI등재후보

        만 5세 남아들의 싸움놀이의 의미

        임자영(Im Ja-Young),이대균(Lee Dae-K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만 5세 남아들의 싸움놀이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분석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5개월간 자유선택활동 시간과 바깥놀이 시간에 만 5세 남아들의 싸움놀이를 참여관찰을 통해 질적 연구하였다. 그 결과 만 5세 남아들의 싸움놀이가 갖는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만 5세 남아들의 싸움놀이는 ‘문제 해결 연습의 기회’, ‘또래집단놀이 참여전략 습득’, ‘『가짜로』와 『피식웃음』으로 합의된 안전보장’의 의미가 있었다. 즉, 싸움놀이는 갈등 지뢰밭이고 또래관계 맺기의 어려운 과정이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지만 이를 긍정적인 요소로써 전환하고 적용하는 방안을 고안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five years old boys' combat play.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sample consisted of 15 preschoolers. The study lasted for approximately five months. The data were collected via participation observation using video camer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ing of combat play is 'a mine field of conflict - the chance of problem solving', 'from combat play to battle, from battle to combat play - interesting play to be continued ', 'refusal or approval from their peer play group - using strategies for participating in a peer play group', ‘Zone of getting into being in danger - clearing up a negative emotion and acquiring the body regulation'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 상황에서 발현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전략

        이대균(Lee Dae Kyun),임자영(Im Ja 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가 자유선택활동 상황의 쌓기영역과 역할영역에서 또래집단 놀이에 참여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또래집단 놀이 참여전략이 발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개월간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일어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전략을 참여관찰을 통해 질적 연구하였다. 그 결과 만 5세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상황에서 ‘또래 집단놀이 참여시도 하기’에서 ‘놀이상황 파악하기’, ‘참여기회 엿보기’, ‘참여의지 나타내기’, ‘놀이집단 구성원의 관심 끌기’를 위한 의도로 9가지의 참여전략이 발현되었고, ‘또래 집단놀이에서 자리 잡기’에서 ‘역할 맡기’, ‘동지 만들기’, ‘놀이참여 거부에 대응하기’를 위한 의도로 7가지의 전략이 발현되었으며 ‘또래 집단놀이에서 자리 굳히기’에서 ‘시켜주는 사람 물심양면으로 도와주기’, ‘경쟁자 견제하기’, ‘대세 따르기’를 위한 의도로 6가지의 전략이 발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choolers' entry strategies in a peer play group.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32 preschoolers. The study lasted for approximately four months from September through December. The data were collected via participation observation using video camer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y used nine strategies to participate in a peer play group with intention,- such as ‘grasping the play situation’, ‘looking for a chance’, ‘expressing his desire’, and ‘dragging group members' concern’. Second, for taking his place in a peer play group, they used seven strategies with intention,- such as ‘having charge of his role’, ‘making his comrades’, and ‘coping with group members' rejection’. Third, for consolidating his place in a peer play group, they used six strategies with intention,- such as ‘helping the commander faithfully’, ‘checking his rival’, and ‘going with the tide’.

      • KCI등재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김효정(Kim Hyo-Jung),임자영(Im Ja-Young),이대균(Lee Dae-K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초임 또는 저 경력 교사와 함께 팀티칭을 하고 있는 경력교사들의 이야기를 질적인 접근을 통해 탐색해 봄으로써 팀티칭 경험이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임 또는 저경력 교사와 함께 팀티칭을 하는 어린이집 경력 교사 6명의 저널과 집단면담, 개별 면담을 통해 6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첫째, 모델로서의 부담감과 가르치며 배우는 기쁨 둘째, 다름을 맞추어 가기 위한 공유하기 셋째, 나를 곤란하게 만드는 짝 교사, 감싸주며 길러지는 포용력 넷째, 경력교사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팀티칭으로 나타났다. 즉, 팀티칭은 초임교사 뿐만 아니라 경력교사에게도 전문성 신장의 기회가 되며 자기 성장 과정의 의미가 된다. 이에 따라 팀티칭을 하고 있는 경력 교사에게도 지속적이고 꾸준한 시설장의 관심과 격려가 필요하며 팀티칭 제도 안에서 경력교사로서 수행해야 할 역할이 존재 하므로 경력교사가 초임 및 저 경력 교사와 협력교수를 하는 데 필요한 리더쉽과 의사소통 기술 및 사회적 협력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연수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team teaching experiences to experienced daycare center teacher,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s a support system for the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who worked in team teaching class at A daycare center in D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regular group meet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journals, observation, e-mails for 28 weeks from February to July in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meanings of team teaching experiences to experienced daycare center teacher were ‘model as a burden and pleasure to learn and teach’ and ‘found wisdom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differences’; ‘lay down competition, love embraces the care of seniors’; ‘emotional conflicts between her/him and her/his co-teacher’.

      • KCI등재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초임교사에게 주는 의미

        이대균(Lee Dae-Kyun),임자영(Im Ja-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한 학급을 두 명 이상의 담임교사가 이끌어 가는 팀티칭을 주제로 하여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초임교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해 질적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토대로 초임교사 지원 시스템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A지역의 B어린이집과 C어린이집의 팀티칭 학급을 맡은 초임교사 네 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09년 3월부터 2009년 7월 말까지 22주간 저널 쓰기와 집단면담,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초임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1. 짝꿍 선생님만 찾는 사람들 - 문제 발생 시 해결을 돕는 선험자의 손길/ 보고 배움으로써 해소되는 ‘처음’의 막막함, 2.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내 반 - 혼자가 아닌 우리, 반감되는 업무/ 정서적 후원자, 내 짝꿍!, 3. 나를 지켜보는 부담스러운 시선 - 즉각적인 피드백, 늘 내 곁에 있는 멘토, 4. 경력 교사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팀티칭으로 해석되었다. 즉, 팀티칭이 어린이집 초임교사를 위한 지원 시스템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팀티칭이 초임교사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 초임교사 지원 시스템으로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경력교사가 팀티칭으로 인한 초임교사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이 필요하고 기관장 차원에서의 관리 및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에 대한 격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team teaching experiences to beginning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s a support system for the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ur beginning teachers who worked in team teaching class at B and C day care centers in A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regular group meetings,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journals, e-mails and telephones for 22 weeks from March to July in 200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meanings of team teaching experiences to beginning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less popular than a co-teacher’ - ‘assistance and consolation from a co-teacher’ and ‘reducing difficulties of starting through a co-teacher’s lessons’; ‘impossibility to do on their own way’ - ‘alleviating their burden of responsibilities’; ‘heavy burden of opening their lessons’ - ‘immediate feed back by co-teacher’; ‘emotional conflicts between her/him and her/his co-teacher’.

      • KCI등재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 표현력, 그림 표현력, 신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이대균(Lee Dae-kyun),임자영(Im Ja-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6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에게 연극놀이를 적용 하였을 때 유아들의 언어 표현력, 그림 표현력, 신체 표현력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유치원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표현활동 중에 동극, 신체표현, 미술활동과 비교하여 연극놀이를 적용했을 때 언어표현력, 그림 표현력, 신체표현력이 모두 향상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유아 52명이며 실험집단에는 10주간 8개의 연극놀이가 적용되었고 비교집단에는 동극, 신체활동, 미술활동이 적용되었다. 사전검사 자료를 t-검증하여 두 집단이 동질집단인 것으로 확인한 뒤 사후검사 자료를 독립표본 t-검증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언어표현력, 그림 표현력, 신체 표현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plays based on fantasy stories affect a child's ability to express linguistically, visually, and physically. This study showed increased ability of a child to express in a three categories through practicing plays, physical expression, and art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52 children of age 4 who for a duration of 12 weeks participated in plays based on fantasy stories, physical activities, and art activities involving a large group over the course of 10 experiments. Using the T-test for Pre-testing, the results showed the two groups having same abilities. The Post-test results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to have significant increased ability in expressing linguistically, visually, and physically tha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과정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이대균(Dae Kyun Lee),이선정(Sun Jung Lee),임자영(Ja Young 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과정에서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가 연구 참여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연구 참여 경험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진행하는 ‘교사로서의 삶’ 관련 주제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 참여자로부터 2013년 5월 4일부터 2013년 9월 22일까지 주 1회 이상 심층면담과 전화면담 및 이메일 면담, 주 2~3회 연구 참여자 저널쓰기를 통해 생성된 내러티브를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1.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으로 1) 나를 드러내야 하는 작업에 대한 부담감 2) 불확실한 연구 참여과정이 주는 불안감 2. 연구 참여 경험이 연구 참여자에게 주는 의미로는 1) 위로가 되는 힐링타임 2) 일신우일신의 성장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수동적인 존재로서 연구 참여자를 바라보았던 질적 연구자들에게 좋은 질적 연구를 위해서 ‘연구 참여자를 어떤 존재로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짐으로써 연구 참여자를 보호하고 존중하여 능동적인 연구 참여자로의 인식 전환에 기여하고 질적 연구자들이 신뢰도와 윤리적 측면에서 연구자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다시 한 번 숙고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experiences that participants had in a research participation process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From May to September of 2013, data were collected from those participating in the “life as a teacher” study. Participants took part at least once a week in in-depth interviews-telephone or email-and provided journals in which they wrote entries two or three times per week.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narrative in-depth analysis method. The results underwent a twofold analysis. First were the difficultie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felt in the research participation process and the role of the researchers who helped solve these problems. 1) Each participant felt a burden from exposing him or herself in the research process while the researcher tried to respect the participants. 2) The participants felt a sense of anxiety from participating in studies they felt uncertain about while the researcher tried to give them a sense of reliability.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found in their research participation experiences two meanings: 1) healing time and 2) growth. These results offer answers to the question of how to look at research participants in qualitative methods, who have behaved as passive being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contribute to a change in percep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s being active participants and contribute to the field`s re-thinking the role and duty of researchers regarding reliability and ethical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