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중년후기 성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임은주(Lim, Eun Ju),노준희(Noh, Jun 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중년후기 성인의 건강증진행위, 과거 건강관련 행위, 지각된 유익성 및 장애성, 자기효능감, 사회 적 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 및 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5∼64세 중년후기 성인 311명이며, 자료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 용한 자가보고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년후기 성인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은 평균 2.64점이며, 건강증 진행위 관련 변인 중 지각된 유익성이 3.07점으로 가장 높았고, 지각된 장애성이 2.08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 위와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건강증진행위와 과거 건강관련 행위, 사회적 지지, 지각된 유익성, 자기효능 감은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지각된 장애성은 미약한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증진행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 건강관련 행위(β=.35, p<.001), 지각된 유익성(β=.32, p<.001), 사회적 지지(β=.28, p<.001), 생활만족도(β=.13,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68.8%였다(F=166.71,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후기 성인이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기 위해서는 운동과 스트레스 관리를 포함한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동년배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며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identified the level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previous related behavior, perceived benefits/barrier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it was to establish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Study participants were 311 middle aged between 55-64 in urban area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ean score for the level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late middle aged was 2.64. Also,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perceived benefits were the highest score (30.7), and perceived barriers were the lowest one (2.08).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previous related behavior, social support,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but perceived barriers showed weakly nega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revealed in order as following: Previous health related behavior(β=.35, p<.001), perceived benefits(β=.32, p<.001), social support(β =.28, p<.001), and life satisfaction(β=.13, p<.001), and this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68.8%(F=166.71, p<.001).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in order for the late middle aged to have a well-being old age, an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including exercises and stress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to maintain and improve proper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network with the same age groups also should be supported to share useful information and back up one anothe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재가 독거 여성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간의 관계

        임은주(Lim, Eun J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재가 독거 여성노인의 우울 여부에 따른 인지기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차이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2011년 4월부터 2012년 4월까지 구조 화된 설문지로 면접 조사하였으며, 총 1,42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우울과 인지기능(r=-.208, p<.001), 인지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256, p<.001)은 약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 과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222, p<.001)은 약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 로 재가 독거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사회적 활동 수준의 향상을 통해 우울 수준이 저하될 수 있도록 앞으로 정신건 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and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ending on whether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Korea have depression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1 to April 2012 with a total of 1,426 women interview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 o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 weak invers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r=-.208, p<.001),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r=-.256, p<.001), an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depress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r=.222, p<.001).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should pay attention to come up with ways to promote and maintain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women so that depression level can be reduc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activity level.

      • KCI등재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 비교

        임은주(Eun Ju Lim),이여진(Yeo Jin Yi)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을 비교 확인한 후, 병원조직 내에서 간호사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는 일반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수술실간호사가 병동간호사에 비해 연령이 높고, 기혼자가 많았으며, 병원경력이 더 오래되었다. 최종학력과 직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병동 간호사에 비해 3교대 근무가 적은 수술실의 간호업무환경 특성이 수술실간호사 개인에게 반영된 것이라 생각된다.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령과 병원경력 등 일반적 특성이통제된 상태에서 수술실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은 병동간호사 보다 낮았다. 일반적으로 연령과 병원경력이 높아지면 간호사들의 의사소통 능력이나 대인관계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이 되지만, 연령이나 병원경력과 같은 일반적 특성은 수술실간호사나 병동간호사 간의 의사소통 능력또는 대인관계 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아니었다. 그렇다면 수술실간호사나 병동간호사의 간호업무특성에 초점을 두고 두 그룹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의 차이를 조명해야 할 것이다.특수부서 간호사들은 통제된 근무환경 특성으로 병동간호사보다 의사소통을 할 기회가 적어 의사소통 능력이 낮은 것 으로 유추되고 있는데[15,19], 수술실간호사들은 제한된 공간 에서 소수의 진료과 의료진들과 수술을 진행하면서 수술과 관련된 장비 및 수술기구명, 진료재료 등을 묻는 의사의 일방향 적인 질문에 대해 간단한 답변만으로 상호작용하므로, 의료진등과 서로 의사소통 할 기회가 적은 수술간호업무의 특성이 의사소통 능력을 낮게 나타나게 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병동간호사의 간호업무는 다양한 교육수준의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질병에 대한 교육과 함께 치료적 대화를 하고, 의사 및 동료간호사들과 환자상태에 대해 보고 및 인계를 하며,타 부서와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간호업무 조정을 하게 되므로 병동간호업무상의 특성으로 인해 수술실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차이가 나타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Lingard 등[20]은 수술실 내의 421개의 의사소통 과정을 분석한 결과 정보누락, 문제 미해결, 의사소통 기회 부족 등 약 30%는 팀내 의사소통 장애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의사소통 장애가 간호사의 인지부하를 가중시키고, 일상업무를 방해하며, 업무에서의 긴장감을 고조시켜, 환자안전을 위태롭게 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수술실 간호사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더욱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본 연구에서 의사소통 능력 하부개념 중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 모두 의사소통 능력의 점수가 가장 높은 문항은 사회적 적절성이었고, 그 다음으로 반응력, 집중력 순이었다. 사회적 적절성은 의사소통의 상위기술로 의사소통 기술이나 공손함을 반영하는 것으로[14], 간호사들이 의료진과의 적절한 의사소통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는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회적 긴장완화, 주장력, 상호작용관리, 표현력, 지지력, 조리성 등 6개 영역에서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가 모두 평균 이하의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연구[16,21]에서 의사소통 하부개념 중 6개 영역에서 낮았던 결과와 비슷하였다. 주장력과 조리성은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 두 그룹 간에 차이가 없을 정도로 모두 점수가 낮았다.주장력이 있다는 것은 상대방의 권리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이며, 조리성은 대화 상대와 대화를 주고받는 상황에서 주제가 어떻게 관리되는 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4]. 이 하부영역들이 낮다는 것은 간호사 자신의 문제로 의료진과의 좋은 관계 유지가 어렵거나, 의료진에게 자신의 의견이 적절히 전달하지 못함을 의미하므로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 모두에게 이러한 두 영역에 대한 의사소통 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특히, 수술실간호사에서 낮게 나타난 6개의 의사소통 하부개념 중 사회적 긴장완화, 상호작용관리, 표현력, 지지력 등 4개의 하부개념은 통계적으로 병동간호사보다도 유의하게 더낮았다. 사회적 긴장완화가 결여되어 있는 사람은 대화에서 자신의 행동이 적절치 못한 것으로 평가받거나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두려움에서 될 수 있으면 만남을 회피하게 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상호작용관리와 지지력이 낮으면상대방을 배려하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렵다[14]. 수술실간호사에게 이 하부영역들이 낮게 나타난 것은 수술간호업무 특성상 응급수술 및 수술과정 중 일어날 수 있는 응급상황을 대비해 갖게 되는 긴장감과 수술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집도의의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의사표현이 수술실간호사에게 전달되어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긴장감 속에서 근무하기 때문이다[7]. 이러한 긴장감은 수술실간호사에게 자신감 저하, 모욕감, 좌절감을 느끼게 하고, 의사소통 단절 및 수술간호업무 수행능력을 저하시켜 간호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22,23], 수술실간호사의 긴장을 낮추고 자기표현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의사소통 관련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 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높게 나타나므로[15],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히 수술실간호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의견, 느낌, 생각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자기주장 및 긴장완화 훈련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다.수술실간호사의 대인관계 능력이 병동간호사보다 낮은 것은, 수술간호업무를 수술실 사무업무와 수술간호업무 두 가지로 임의로 구분하여 볼 때 다음과 같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수술실 사무업무는 수술 환자 및 보호자, 수술진료재료와 관련된 타 부서 직원, 외부인과 대면하는 업무를 들 수있는데, 이에는 전체 수술실 간호사 중 단지 간호사 1~2명만이 고정 배정되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반면 수술간호업무는 수술실 사무업무와는 전혀 다른 업무로 대다수의 수술실간호사들이 당일수술 스케줄에 따라 진료과 수술을 배정받고 수술에 참여하는 소독 및 순환간호사가 업무를 맡고 있다. 그리고 배정된 진료과 당일의 수술스케줄 및 중증도 수술에 따라 수술간호업무 종료시간이 간호사마다 다르므로, 수술실에 근무한다 하더라도 타 진료과 수술실에 배정된 소독 및 순환 간호사들과 보내는 시간도 일정치 않아 대면의 기회가 적기[24]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환자가 수술실에 입실하면 환자 확인 후 곧바로 마취가 시작되므로 환자를 직접 대면하여 간호할 시간이 길지 않은 점도 고려된다. 환자의 수술실 입실과정상의 상황으로 인해 수술실에서 간호사의 업무초점이 수술그 자체이며 환자간호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보고도 있다[24]. 그러나 병동간호사들은 환자의 질병회복과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 간호계획을 세우고 간호수행, 간호평가를하여 환자, 보호자 및 의료진과 치료적 대화를 한다. 또한, 간호업무는 동료간호사, 의사 및 타 부서 직원과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12], 이러한 간호업무특성의 차이가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 간의 의료진과의 대인관계 능력에 차이를 가져왔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에서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대인관계 능력하부개념에서 점수가 높은 문항은 친근감, 이해성이었고, 평균 이하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두 그룹 모두 의사소통과 개방성이었다. 일반적으로 간호사들은 자신의 근무시간에 수행한 일에 대해 다음 근무자에게 인계를 하는데, 인수를 받은 간호사는 인수받은 사항이 맞는지를 확인해야 하므로 전 근무자의일을 다시 점검하게 된다. 간호사들 간에 서로의 업무를 재확인, 재점검하는 이러한 간호업무방식은 간호사들의 대인관계 의 개방성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특히 수술간호업무 특성상 환자안전을 위해 수술환경을 확인한 후 수술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진료과 의사, 마취과의사, 수술실간호사가 모두 동시에 참여하여 수술 전 환자확인 절차인 정확한 환자, 정확한 수술 부위를 확인하게 되므로, 수술간호업무가 수술실 간호사만의 개인적인 업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수술간호업무를 하는 수술실간호사들은 다른 의료진과 팀을 이루어 업무를 하고 있으면서도, 수술 전 수술실청소 및 장비상태 점검 등 재확인하는 절차와 과정이 The purpose was to compare operating room (OR)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Methods: Participants were 276 nurses (OR 122, ward 154) working in one of 4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I and K area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in June, 2013. Comparisons between OR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ere analyzed using ANCOVA. Results: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mmunication competence (F=11.96,p=.001) with average score for OR nurses at 3.37 points and ward nurses at 3.53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15.51, p<.001) with the average score for OR nurses at 3.30 points and ward nurses at 3.50 poin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o promot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OR nurses and to enhance the openn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감각장애 대학생의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임은주(Lim, Eun-Joo),최승숙(Choi, Seung-Sook),주은미(Ju, Eun-Mee)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장애인의 고등교육 확대에 따라 장애대학생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건강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 장애학생은 자신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이 있어야 하며 이는 장애특성과 학생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지원의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감각장애 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하여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참여 학생의 탄력성과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4년제 K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시·청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10회기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사전, 사후에 탄력성,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 검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들의 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 및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장애인 고등교육 분야에서 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능력 향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support healthy college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and the situation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using social problem solving strategy on the resilienc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Four freshmen with sensory disabilities belonged to K university located in Gyonggi-do participated on the resilience intervention including 10 sessions and were conducted resilienc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test and in-dept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using social problem solving strategy positively influenced on improving of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양무용수업의 교수 지향점 변화 탐색

        임은주 ( Eun-ju Lim ),이대중 ( Dae-jung Lee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3

        이 연구는 셀프스터디(self-study)를 통하여 연구자의 9년간의 교양무용 교수경험에서 변화하는 무용 교육의 지향점을 탐색하여 대학 무용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9년간의 교수일지, 강의평가서, 학생들의 소감문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내용 중 예술적·교육적 의미를 지닌 내용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구성하고, 각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목표부재인 '나'는 학생들의 무용에 대한 선입견과 낯설음으로 무용수업에 고압적인 태도만을 취했지만, 이러한 태도는 학생 이해를 통한 수업 전개, 혼자가 아닌 둘 이상의 가치, 무용 감성함양, 성장의 안내자 등으로 교양무용수업의 지향점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교양무용수업의 질을 향상을 위한 시사점은 첫째, ‘무용지도자들의 지속적인 셀프스터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무용교양 지도자의 교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방적 학습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dance classes in college by exploring the orientation of dance education that changes in the researcher's nine-year teaching experience of liberal arts dance through self-stud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ine years of teaching journals, lecture evaluations, and student's comments. The texts were composed based on contents with artistic and educational meanings among the contents of the data, and the meaning of each experienc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 which is the goal absence, took a high-pressure attitude toward dance class only because of students' prejudice and unfamiliarity with dance, but this attitude changed the orientation of culture dance class with the development of class through student understanding, more than one value, the cultivation of dance emotion, and the guide of growth. Through these results, the sugges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iberal arts dance class is that the dance instructors should continue to study themselves.

      • KCI등재

        여성노인의 음식양생 경험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임은주(Lim Eun Ju),정선영(Jung Sun Young),최미숙(Choi Mi Sook),조상희(Jo Sang Hee),허정(Hur Jung) 질적연구학회 2009 질적연구 Vol.10 No.2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it was researched to recognize the experience process of regimen through diet among elderly women. Methods: The 8 participants having the experience of diet regimen were recruited by theoretical sampling. Al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trauss and Corbin's approach method by grounded theory published in 1998 was employed. Results: From the participants' statements, 82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extracted by open coding process. A being acquainted with well-being (making an nutritious food and enough living) was prominent as a core category. Based on the core category analysis, the experience process of regimen through diet for the elderly was related to 4 phases which were a recognizing-phase, a meditation-phase, a strengthening-phase and a practicing-phase. The being acquainted with well-being had three types, which were a health-pursuit-style, a compromisestyle and a preference-style. Conclusion: This findings might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egimen through diet and to develop the health management program in the elderly.

      • KCI등재

        입양가족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임은주 ( Lim¸ Eun Ju ),이근매 ( Lee¸ Geun Ma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입양가족에 대한 효과적인 심리지원을 위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입양특례법이 개정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 발표된 석사·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51편의 연구를 발표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에 의한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양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통해 매년 꾸준히 발표되고 있었으며 사회복지관련 전공학과와 사회복지관련 학술지에서의 발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입양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 입양아동보다 입양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양가족에 대한 연구방법 동향에서는 질적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양가족에 대한 연구내용 동향에서는 양육과 적응을 주제로 한 경험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인 연구주제로는 적응, 현황 및 정책, 대인관계, 문제행동 등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측정도구로는 객관적 측정 검사가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입양가족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입양가족의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심리지원을 위해 입양아동 및 입양부모의 심리적인 특성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연구와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for effective psychological support for adoptive families, this study published a total of 51 research papers from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11 to 2020, when the adoption special law was revised, by year of publication, trends were analyzed by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adoptive families has been consistently published every year through dissertations and journal papers, and publications in social welfare-related majors and social welfare-related academic journals have been the mainstays. Second,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tudies on adoptive families, more studies were conducted on adoptive families than on adoptive children. Third, in the research method trend on adoptive families, qualitative research was most actively conducted. Fourth, in the research content trend on adoptive families, empirical research on the subject of child rearing and adaptation was most actively conducted, and as a specific research topic,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adaptation, current status and polic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oblematic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objective measurement test was widely used as a measurement tool. As a result of examining domestic research trends on adoptive famil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search and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deeply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ptive children and adoptive parents for continuous and effective psychological support of adoptive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초등 중국어교육 문화 학습내용 선정 연구

        任銀柱(Lim, Eun-ju),辛承姬(Shin, Seung-hee) 중국어문학연구회 2019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16

        As South Korean society becomes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n-Chinese bilingual education gradually expands as a form of multicultural education, mostly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the areas where multicultural students are concentrated.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Chinese intercultural, bilingual curriculum for ordinary students and examines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cultural learning contents in Korean and Chinese elementary textbooks. Based on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of the selection of cultural learning contents in Chinese education in term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and the pres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drawn out. First, it is necessary to select cultural learning contents in various areas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based on a wid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Chinese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cultural learning contents, differing the levels according to students’ grade ranges, and considering students’ cognition level and cultural learning situation. Third, intercultural education should reflect both perspectives throughout all processes of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rather than dealing with certain cultural learning contents. One of the practical methods for this is to deal with the cultural contents of both countries in a more integrated way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present status concerning the level and range of cultural learning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o discuss measures for the selection of cultural learning contents for students’ cogni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Due to aforementioned points, this study will be of value as it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to prepare intercultural, bilingu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