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존분석을 활용한 발달장애인의 고용유지 영향 요인 분석

        임예직(Yegick L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발표한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자료 중 463명의 응답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고용환경 요인, 인적자본 요인으로 구성한 후 생존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직업재활시설에서 근무할수록, 월평균 임금이높을수록, 발달장애인 본인이 돈을 버는 것을 희망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가족의 취업지지가 높을수록 고용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중졸에 해당하거나, 도움 필요정도가 높고 장애로 인한 제약을 경험한 경우에는 실직과 같은 고용 유지 실패 위험이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의 고용유지를 위해서는 발달장애인 개인의 일과관련된 내적 동기를 강화함과 동시에 장애친화적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발달장애인의 가족이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reten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463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mples were used in the Survey of Work and Lif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2020 of KEAD, and survival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mposing the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 factors, employment environment factors, and human capital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re male,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they work at a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wage, the more they hope to earn money, the higher their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ir families support for employment is positive for job reten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isk of unemployment increased if they had a middle school education, had a high level of need for help, or experienced limitations due to a dis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maintain employment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trinsic motivation related to the work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at the same time, employers should create a disabilit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and prepare a system in which familie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support the professional lif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장애인의 인공지능기술 활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신기술 수용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예직(Lim, Ye gick),문영민(Mun, Yeongmi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기술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장애인이 실제로 인공지능기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표로 진행되었다. 특히 장애인의 새로운 정보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자본의 효과와 신기술 수용 역량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9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자료에서 총 2,071명의 장애인표본을 활용하였다. 매개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사회적 자본은 인공지능기술 활용 인식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신기술 수용 역량은 사회적 자본과 인공지능기술 활용 인식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인공지능기술 활용 인식은 뇌병변장애인에게 낮았고, 시각장애인에게는 신기술 수용 역량과 함께 투입되었을 때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고학력자, 수도권 거주자, 관리자 및 사무종사자의 인공지능기술 활용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기술 역량 증진과 사회적 관계의 확장이 함께 이뤄져야 하며 기술 개발 과정에 장애인의 목소리가 반영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disabled people actually perceive AI technology amid the accelerating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for disabled people. In particular, we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capital that enables new information access for disabled peopl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new technologies acceptance capacity. To this purpose, 2,071 disabled samples were used in the Digital Divide survey in 2019.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ing effect, and tes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proposed by Preacher and Hayes(200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capital effected positively on the perception of AI technology. Second, new technology acceptance capac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erception of AI technology. Third, the perception of AI technology was lower for people with brain lesions, and higher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Fourth, the perception of AI technology was positive for highly educated people, residents of metropolitan area, managers and office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technology capacity of disabled people are needed with the expans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that the voices of disabled people should be reflected in the AI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변화를 중심으로

        임예직(Lim, Yegick),문영민(Mun, Yeongmin) 한국직업재활학회 2021 職業再活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의 노동시장에 유례없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코로나19의 확산이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수준은 고용, 임금, 사회보험의 세 측면을 고려하여 개념화 한 후, 2020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5~64세 임금근로자 1,75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심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변화 경험이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불안정 수준은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변화 경험이 있는 경우, 여성인 경우, 학력이 낮을수록, 60세 이상인 경우, 정신적장애인 또는 중증장애인인 경우, 서비스⋅판매직, 농림어업, 단순노무종사자에 해당하면 높았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변화 경험 유무에 따라 장애인 불안정 노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함을 밝혔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노동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장애인의 인적자본을 향상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사회에 적합한 장애인 노동 방식과 고용 문화에 대하여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pread of COVID-19 on the precariousness of the labor marke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ch is having an unprecedented impact on the global labor market. The precariousness was conceptualized by considering three aspects: employment, wages and social insurance. 1,756 disabled workers aged 15 to 64 were analyzed in the 2020 Survey on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the Disabled in the Business sector.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recariousness in the labor market has intensified compared to before COVID-19. According to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precariousness of the disabled labor market, the level of precariousness was high in the case of experiences of changes in the workplace due to COVID-19. In addition, the level of precariousness was high for women, low-educated, persons with mentally disability or severe disability, and workers for services, sales, agriculture, fisheries, and simple labor workers. 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precariousness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experienced changes in the workplace due to COVID-19.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should improve the human capital of disabled worker and discuss the working style and employment culture of person with disabilities suitable for the contact-free society.

      • KCI등재

        미취업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유형화 및 취업의사 간 관계

        임예직(Yegick L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3

        본 연구는 미취업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능력을 직업적 능력을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능력 수준이 보호자와 당사자의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데이터에 포함된 발달장애인 미취업자 1,09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여 직업적 능력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취업의사 간 관계 검증을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취업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능력은 ‘저수준형’, ‘평균형’, ‘고수준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장애요인, 인적자본 요인이 직업적 능력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능력이 저수준형 대비 평균형과 고수준형에 속할 경우 보호자와 당사자의 취업의사가 높았으며, 보호자의 취업의사가 있을 경우에는 고수준형에 속해야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미취업 발달장애인과 보호자 모두의 취업의사를 고려해야 하며,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수준에 따라 차별적인 장애인 고용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occupational abilities of unemployed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classified occupational abilities on willingness to work of parent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096 unemploy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mples were used in the Survey of Work and Lif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2020 of KEA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performed to classify occupational abilities by type,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ingness to work.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ccupational abilities of unemployed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low level type’, ‘Middle level type’, and ‘high level typ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ical, and human capital factors by type of occupational ability. Third, when the occupational ability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n the middle and high-level types compared to the low-level type, the parent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erned had a higher intention to get a job. If there was a parents’ intention to work, it had to be in the high-level type to have an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hat the employment intention of both unemployed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that a discriminatory employment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abilities level of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유형이 노동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임예직(Lim, Yegick),문영민(Mun, Yeongmi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3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을 유형화하고, 유형화한 직업적 능력이 장애인의 노동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2020년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5차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68세의 장애인 임금근로자 1,504명을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직업적 능력 하위유형을 파악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직업적 능력 유형과 인구사회학적, 장애, 노동시장 요인을 반영한 통제변수가 노동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고수준 집단, 평균형 집단, 저수준 집단으로 정량적 수준에 따라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직업적 능력의 수준은 장애인의 노동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업적 능력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고용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 개별적 능력에 따라 직무훈련 등을 통해 직업적 능력을 개발하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장애유형보다 직업적 능력이 장애인의 노동시장 성과를 잘 설명하므로 향후 직무 및 개인적 능력을 반영한 근로능력 평가 도구가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occupational abil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occupational ability types on labor precariousness in the disabled. To confirm this, 1,504 disabled wage-worker aged 19 to 68 years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SED) in 2020. Occupational ability subgroups are identifi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occupational ability types and control variables reflecting sociodemographicl, disability and labor market factors on labor precariousness.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high-level groups, medium-level groups, and low-level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quantitative levels. In addition, the level of occupational a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the labor precarious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different employment support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level of occupational abiliti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labor capacity assessment tools should be developed that reflect job and personal abilities in the future, as occupational abilities better explai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disability types.

      • KCI등재

        과부담 의료비 지출이 미충족 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

        신혜리(Shin Hye Ri),임예직(Lim Ye Gick),한기명(Han Ki Myu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연구 Vol.22 No.3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medical expenditure and unmet needs for health care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Logistic analysis was executed using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nd influence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dical expenditure is common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health care. Second, private health insuranc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health care. Finally, private health insurance moderates in between the relation of medical expenditure and unmet needs for health care. This study has an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n expansion of public health policy.

      • KCI등재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Job Preference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esting the Effects of Determinants

        문영민(Yeongmin Mun),임예직(Yegick L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장애인의 취업선호도 유형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2019년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4차조사 자료를활용하여 18~39세 청년장애인 814명을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취업선호도 하위유형을 파악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높은수준 일자리 선호형’, ‘중간수준 선호형’, ‘낮은수준 선호형’, ‘근무환경중시형’의 4개의 하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학력, 자격증 보유, 주관적 근로능력 수준 등 인적자본 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학력의 인적자본 요인을 다수 보유한 청년장애인을 위하여 양질의 일자리 개발이 필요하며, 청년 중증장애인에게는 적절한 근무환경도 취업 결정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고용서비스 제공 시 취업 기회뿐만 아니라전반적인 근무환경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types of job preferences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m. To confirm this, 814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aged 18 to 39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SED) in 2019. Employment preferences subgroups are identifi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each group. According to the LPA, it was classified into four subgroups: ‘high preference type’, ‘medium preference type’, ‘low preference type’, and ‘working environment priority type’. Human capital factor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certificate, and subjective workability levels were significant as factors to determine each type.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quality job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many human capital factors and employment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young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4차 산업혁명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유무의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문영민(Yeongmin Mun),임예직(Yegick L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4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사회의 변화를 수용·대비하기 위한 자원으로 사회적 자본에 초점을두고, 장애여부에 따라 사회적 자본이 4차 산업혁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9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자료에서 2,200명의 장애인과 7,000명의 비장애인 표본을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사회적자본이 4차 산업혁명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집단의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경로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4차 산업혁명을 덜 긍정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비장애인 집단에서 4차산업혁명 긍정인식에 부적 영향을 주었으나 장애인 집단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의 네트워크는 4차 산업혁명 부정인식을 감소시켰다. 넷째, 장애인 집단에서 연령이 높거나, 여성인 경우 4차 산업혁명을 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이 4차 산업혁명을 지혜롭게 대비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social capital as a resource to accommodate and prepare for changes in society call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ims to figure out how social capital s path to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es depending on disability. For this purpose, 2,200 disabled and 7,000 non-disabled samples were used in the Digital Divide survey data in 2019.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to verify the path difference by conducting a multi-group analysi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group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sabled people are less positive abou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n non-disabled people.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non-disabled peopl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disabled group. Third, the network of disabled people had the effect of reducing the negative perception. Fourth, women with disabilities and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perceiv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ss positively, but the differences in socioeconomic status were not discover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policy suggestions to prepare disabled person wisel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