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지식 및 태도와 죽음인식의 관계 - 학년비교를 중심으로

        임승희(Lim, Seung H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죽음인식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U시에 소재한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지식 및 태도와 죽음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사전의료의향서의 지식 및 태도와 죽음인식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태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과 활용기반에 필요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advance directives and death awareness. The participants were 189 social welfare students at the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by SPS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for gender and different grade among social welfare students about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advance directive and death awarenes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advance directive and death awareness in social welfar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on death awareness in social welfare students.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리더의 지역공동체의식과 리더십이 사회적 기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임승희(Lim, Seung-hee) 한국비영리학회 2017 한국비영리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사회적경제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지역사회리더의 사회적 기업 인식을 살펴보고 지역사회리더의 지역공동체의식과 리더십이 사회적 기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시에 거주하는 8개동 주민자치 위원 및 통장, 그리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 총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기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공동체의식은 이웃의 소중함과 친밀도로 나타났으며, 지역공동체의식은 사회적기업의 기여도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의 기여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수로는 소통과 화합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지역사회리더의 리더십이 사회적 기업 인식과 사회적 기업 기여도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mmunity leaders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thus to explore ways to develop social economy of the community. Also, it aims to study the impact of community leaders community spirit and leadership on their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uthor surveyed 241 residents of H City including members of governing committees, heads of communities, and members of community councils. The results suggest that community spirit that has an impact on their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s were ‘how importantly they perceive their neighbors’ and ‘intimacy they feel toward their neighbors’. And community spir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enterprises level of contribution. The sub-variable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s contribution were communication and harmony. Leadership of community lead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contribution. The conclusion suggests ways to improve community leaders community spirit and leadership to vitalize social enterprises that coexist with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임승희(Lim Seung-hee),이유미(Lee you-m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ception of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their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among 398 Korean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located at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nd 216 Japanese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those located at M District in Tokyo, Japan. Collected data underwen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 verification (χ²) using SPSS 22.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erception of Korean mothers on playing outsid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was relatively high. They perceived environmental factor as the biggest obstacle for playing outside and perceived parent s factor as the smallest one. They tended to have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whereas they had less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Secondly, perception of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was high. They perceived environmental factor as the biggest obstacle for playing outside and perceived teacher factor as the smallest one. They tended to have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whereas they had also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Thirdly, percep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their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parent s education to activate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in our country.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398명과 일본 동경시 M구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카이검증(χ²)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 어머니의 경우,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며, 바깥놀이 장애요인으로 환경요인을 가장 높게, 부모요인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또한 어린시절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이 많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 어머니의 경우,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며, 바깥놀이 장애요인으로 환경요인을 가장 높게, 교사요인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어린시절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이 많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과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부모교육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

        임승희(Lim, Seung Hee),신애란(Shin, Ai Ra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병원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노인의 죽음경험을 탐색하고 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경기북부에 소재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병인 10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면접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법에 의해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8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8가지 주제는 ‘간병인에게 영향 받는 노인의 삶’, ‘죽음의 순간까지 인격적으로 대접받기’, ‘죽음준비에 대한 부족함’, ‘존엄성과 사생활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준비된 공간에서 임종 맞이하기’, ‘가족 혹은 의미 있는 사람들과 임종을 함께하기’, ‘고통이 없는 편안한 죽음’,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하지 않기’, 마지막으로 ‘가슴에 담은 한 풀고 죽기’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 가지의 제언과 연구의 한계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ncounter of death and also has its purpose in investigating ways of providing dignified death for the elderly in geriatric hospital. For this purpose, we used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and conducted in unstructured depth interviews with ten caregivers, who are employees of elderly geriatric hospitals in Norther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ubjective analysis methodology. As a result, the studies showed that there were 8 subjects, which are as following;" the elderly"s life which affected by caregivers" "being treated as a whole human being until the time of death"," the lack of ready for death", "encountering death in a place that ensures one"s dignity and privacy", "encountering death with people who the ycareabout", "painless peaceful death", "not resulting to meaningless life-suspension procedures" and "resolving grudges and regrets before death". On the basis of the studies made, methods for providing dignified death for senior citizens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were introduced.

      • KCI등재후보

        유아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 다중지능 간의 구조모형 분석

        임승희(Lim Seung Hee),이채호(Lee Chae H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놀이와 다중지능 간의 상관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4곳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50명으로 각 질문지에 대하여 교사의 관찰을 통한 평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과 AMOS 4.0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창의적 행동과 놀이, 다중지능 간에는 정적,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다중지능은 창의적 행동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주며, 놀이는 창의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결론적으로 유아의 창의적 행동을 설명하는데 놀이가 미치는 영향이 다중지능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ed variables which can make an effect on children"s creative behavior.<BR>  For this, a structural model for play and multiple intelligences was established and analyzed.<B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0 children aged five who were attending four kindergartens in Seoul and a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observing and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their teachers. The result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a statistical analysis tool and AMOS 4.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BR>  First, there found that the children"s creative behavior had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lay and multiple intelligence.<BR>  Second,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were found out to make effects on their creative behavior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while their play mainly affects creative behavior directly.<BR>  In conclusion, play can be explained to make more effects on children"s creative behavior rather than multiple intelligence does.

      • KCI등재

        19세기 후반 제주 대정군(大靜郡) 지역 군병의 직역 실태 - 호적중초(戶籍中草)와 『대정군군병도안(大靜郡軍兵都案) 』의 비교연구 -

        임승희 ( Lim Seung-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8

        본고는 19세기를 전후한 제주지역 지방군의 개편에 따른 편성과 그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제주지역에 남아있는 1870년 『대정군군병도안』과 각 마을별 『호적중초』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대정지역에 편성된 군병들의 직역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조선후기 제주지역 지방군편제의 한 단면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19세기에 작성된 『군병도안』을 분석한 결과 제주지방의 주요 병종인 마대, 속오군, 아병, 성정군, 군수수솔 등의 편제 사항이 일목요연하게 기재되어 있는데 이들의 군액은 총1,900명에 달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제주도 대정지역에 남아 있는 각 마을별 호적중초와 1870년 『대정군군병도안』을 비교하여 『군병도안』에 기재된 군병들이 각 마을별 호적중초에는 어떠한 직역으로 기재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였다. 군적에 기재된 1,900명의 군병 중 분석대상으로 삼은 대정현 12개 마을에 거주하는 것으로 확인된 군병은 총 970명이었고, 이 가운데에서도 12개 각 마을별 호적중초에서 그들 군병의 직역이 확인된 수는 598명으로 약 62%에 해당하였다. 이들은 가솔, 천총 등과 같은 군관 직역은 물론이고 유학, 유향별감 등 직역을 지닌, 신분상으로는 상층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군병도안』에 각 병종별로 분포하고 있다. 이는 제주지역이 신분적 차등이 존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양반에서 노비에 이르는 제주지역의 사람들이 당시 군역을 지니고 각 군에 고르게 편제되어 제주지역 지방군의 근간을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aper aims to review the formation of the local forces in the Jeju region and the troop disposition, at different times, after the military reorganization took place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udy also examines the local military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by reviewing one of the remaining Jeju’s cultural assets, ‘Daejeonggun Gunbyeongdoan(大靜郡軍兵都案)’, the military register of the Dajeong magistracy in 1870. A comparative analysis is performed between the data from the military register and another available historic record of census register of the time, ‘Hojeokjungcho(戶籍中草)’. The study intends to revisit and show how the local military force was 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will provide a fresh point of view. The ‘Daejeong Gunbyeongdoan’ military register made in Jeju in 1870 is a valuable document that clearly records the data on the soldiers, to include their military positions and identifications. From such important records, it is very significant to be able to find out how the local forces were formed and what conditions the forces were exposed facing. According to the register, the types of soldiers assigned to the local forces in Jeju were ‘Madae(馬隊)’ mounted unit, ‘Sogogun(束伍軍)’ general local soldiers, ‘Seongjeonggun(城丁 軍)’ castle defending soldiers, ‘Gunsususol(郡守隨率)’ logistics, ‘Bonggun(烽軍)’ soldiers in charge of the beacon mounds, and ‘Yeongun(煙軍)’ smoke signal soldiers. The force totaled 1,900 soldiers. As noticed, the ‘Daejeong Gunbyeongdoan’ military register was written in 1870 and the ‘Hojeokjungcho’ census register was made around the same time. It should be safe to assume that the two records are related. Accordingly, the records of the soldiers on the military register were compared with the ones in the census register to find out what kinds of occupations they had prior to military assignment. The 970 soldiers whose residents were from the 12 villages of the Daejeong magistrate, out of the total of 1,900 registered soldiers, are studied in this paper. Among the 970 soldiers, 598 or 62% of them had a confirmed occupation matching the census register of the 12 villages. The type of the soldiers’ occupa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soldier’s military position, such as, ‘Gasol(假率)’ border patrol special officer, ‘Cheonjong(千摠)’ high commissioned military officer, to ‘Yuhak(幼學)’ gentry of higher social status, ‘Yuhyang-byeolgan(留鄕別監)’ and ‘Pumgwan(品官)’ government officer positions. They were the main manpower to form the local military forces in the Jeju region.

      • SCOPUSKCI등재

        아사이베리의 향기성분 특성 연구

        임승희(Seung-Hee Lim),남희섭(Heesop Nam),백형희(Hyung-Hee Baek)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2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SAFE와 LLCE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GC-MS와 GC-O로 분석하였다. 아사이베리에서 공통적으로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2-phenylethanol, (Z)-3-hexenol과 benzyl alcohol 등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8-hydroxy linalool과 maltol은 LLCE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사이베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알코올류가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아사이베리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이라고 생각된다.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 중 β-damascenone은 SAFE에서 log2FD=4와 LLCE에서 log2FD=1을 나타냈으며 장미향과 베리향 특성을 나타내어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에 기여하는 중요한 화합물이라 생각된다. 또한 trans-linalool oxide, (Z)-3-hexenol과 2-phenylethanol 등이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olatile compounds and aroma-active compounds from acai berry (Euterpe oleracea). Volatiles were isolated by high vacuum distillation using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 (SAFE) and liquid-liquid continuous extraction (LLC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of acai berr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was used. Aroma-active compounds were evaluated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A total of 51 and 54 volatile compounds from acai berry were identified from SAFE and LLCE extracts, respectively. Alcohols were confirmed to be important volatile compounds in acai berry, as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2-phenylethanol, (Z)-3-hexenol, and benzyl alcohol. β-Damascenone (berry, rose), trans-linalool oxide (woody), (Z)-3-hexenol (grass), and 2-phenylethanol (rose, honey) were considered the aroma-active compounds in acai berry. The most intense aroma-active compound of acai berry was β-damascen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