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흔들의자의 양식 변천 연구(1) - 흔들의자의 이론적 배경과 윈저 Rocker 및 보스톤 Rocker의 양식 -

        임승택,정우양,Lim, Seung-Taeg,Chung, Woo-Yang 한국가구학회 2006 한국가구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understands rockers of today and supplies basic data of design and manufacture studying pattern change of rockers arisen in West, there is the purpose. Also, this study is investigated by divid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rockers, 7 kinds of American traditional rockers and European rockers from 18th century to opening part of 20th century and contemporary rockers since 20th centur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style of 2 rockers (Windsor rocker, Boston rocker) were investigated to study the stylistic changes of rockers. Originally a rocker was invented by a European farmer around 1700. It developed to a household which equip practicality and comfortablness in the United States than Europe. Early rockers in a primal form appeared in the 1740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early rockers connected skate to established chair bridge. Rockers are deep connection with family's emotion. Rockers can provide playing functions for children and medically treating functions for adults. Windsor Rockers developed by attaching skate is mammy bench and according to shape of back form bow or hoop-back rocker, birdcage rocker, comb-back rocker. Windsor Rockers formed peculiar American tradition of craftsman furniture through structure that have a unique back of a chair and round seat. Boston Rockers were the first chairs made by mass production method. They show a particular shape with S-curve style seat and rectangular crest at the upper part of the back. Often Crests were decorated by stenciled pattern with curled leaves such as rosettes and scrolled designs.

      • KCI등재

        흔들의자의 양식 변천 연구(2) -쉐이커rocker, 위커 rocker, 플랫폼 rocker 양식을 중심으로-

        임승택,정우양,Lim, Seung-Taeg,Chung, Woo-Yang 한국가구학회 2006 한국가구학회지 Vol.17 No.3

        These series articles were written in order to understand rockers of today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their designs and manufacture studying pattern changes in the West. In the first article of the series reports we already describ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ockers and the Windsor and the Boston style among the American classic rockers from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This article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s of the Shaker rocker, the Wicker rocker, and the Platform rocker. The three periods associated with furnituremaking in the Shaker sect are; the Primitive Era, which lasted from 1790 to 1820; the Classical Era, from 1820 to 1860; and the Final Phase, from 1860 to 1935. The important skills the Shaker needed to make the Shaker rocker are woodturning joinery, seat braid weaving and steam bending for the slats. The Wicker rocker continues to be extremely popular furniture style as the wicker proved equally effective for translating the ornate vine-like motifs popular among Art Nouveau proponents. The Wicker rockers were developed for child's, gentleman's and lady's, and it represents the most diverse forms among the above mentioned styles. However the rocker skates were often clumsy and took up too much room, preventing the chair from being shoved close to the wall and out of the way. These problems were overcome by the Platform rocker.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 was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a stationary base, which allowed the chair to rock noiselessly, without skating along the floor. The Modernism of the modern furnitures in America and Europe we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ker rocker, the Wicker rocker, and the Platform rocker.

      • KCI우수등재

        구사론 파아품에 나타나는 무아(無我, anattan)의 변용 Ⅰ

        임승택(Seung-taek LIM)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1 No.-

        본 논문은 구사론 파아품에 나타나는 무아 해석을 니까야에 나타나는 초기불교의 무아 유형들과 비교한 것이다. 파아품의 무아 해석은 초기불교 이후 새롭게 등장한 무아 관련 논의를 반영하는 것으로 다음의 5가지 경향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A형 무아 해석>: 초기불교 무아설의 주류적 가르침에 합치하는 경우, <B형 무아 해석>: 주류적 가르침에 연결되지만 새로운 관점과 설명방식을 도입하는 경우, <C형 무아 해석>: 초기불교 무아설의 이질적 경향에 합치하는 경우, <D형 무아 해석>: 이질적 경향에 연결되면서 새로운 관점과 설명방식을 도입한 경우, <E형 무아 해석>: 초기불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경우 등이다. 필자는 파아품 전체를 43개의 단락으로 나누고서, 그 중 대표성을 지닌 5개의 단락을 선별하여 이상의 5가지 경우에 배대해 보았다. 도입부의 단락 1)은 초기불교 무아 서술의 주류적 경향에 연결시켜볼 수 있지만 새로운 관점과 설명방식을 도입한 경우로서 <B형 무아 해석>에 해당한다. 단락 43)의 맺음게송은 새로운 무아관을 제시하는 경우로서 <E형 무아 해석>으로 귀속시킬 수 있다. 단락 10)은 ‘유정(satta)’이라는 존재를 수레 부품의 조합에 비유한 것으로 <C형 무아 해석>으로, 단락 40)은 인과적 관계를 벗어난 독존적 주체는 인정될 수 없다는 것으로 <D형 무아 해석>으로, 단락 27)은 초기불교 무아의 주류적 경향을 그대로 잇는 경우로서 <A형 무아 해석>으로 갈래지을 수 있다. 이상의 분류를 통해 파아품의 무아관은 일관된 관점을 견지하지 못하며, 초기불교의 가르침을 답습한다기보다는 새로운 관점을 도입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고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이것이 붓다에 대한 왜곡인지 혹은 창조적 계승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더욱 많은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본 논문은 그 부분을 밝히려는 일련의 후속 연구에 대해 시론적(試論的)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he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anattan) in the Ātmavādapratiṣedha of Abhidharmakośabhāṣya with the types of selflessness teachings in Early Buddhism. The interpretation of selflessness in the Ātmavādapratiṣedha reflects the discussions that newly emerged after Early Buddhism,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cases. Type A: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mainstream trends of Early Buddhism; Type B: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could be connected to the mainstream trends of Early Buddhism but introduce new perspectives and explanatory methods; Type C: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are connected to heterogeneous trends in Early Buddhism; Type D: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could be connected to heterogeneous trends in Early Buddhism but introduce new perspectives and explanatory methods; and Type E: new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cannot be found in Early Buddhist teachings. I divided the entire Ātmavādapratiṣedha into 43 sections, selected five representative sections, and arranged them into the above-mentioned five types. The first section (1) of the introduction and the last section (43) of the concluding part represent the interpretation of selflessness in the Ātmavādapratiṣedha. Section 1) is associated with mainstream trends in Early Buddhism, but it may also be attributed to Type B, introducing new perspectives and explanatory methods. Section (43) presents new perspectives that cannot be found in Early Buddhist teachings. Therefore, it can be classified as Type E. In section (10), the existence of person (satta) is compared to a combination of cart parts, and this belongs to Type C. Section (40) corresponds to Type D in that the self or person as an independent subject beyond a causal relationship cannot be recognized. Finally, section (27) exemplifies the inheritance of mainstream trends in Early Buddhist teachings; the content of this section conflicts with that of the four above-mentioned types, and this section can be classified as Type 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Ātmavādapratiṣedha presents a consistent view of selflessness. It can also be claimed that the Ātmavādapratiṣedha is more concerned with introducing and interpreting new perspectives than with adhering to the standpoint of Early Buddhism. It seems that more discussion is needed as to whether these points are distortions of Buddha’s teachings or whether they reflect creative succession or development. To address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expand on the remaining sections that were not covered in this study and on the contexts in which perspectives on selflessness have evolved over the course of the history of Buddhist literature.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n introductory article for such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업(karma)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임승택(Lim Seung-Taek)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3 No.-

        업 관념은 인도에서 발생한 모든 종교적·철학적 사유에 전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대한 고찰은 인도철학 전반에 대한 이해로 확대되는 성격을 지닌다. 필자는 이러한 업 관념이 인도철학사의 발달과 궤적을 같이 하면서 점차적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일단 바라문교의 제식주의적 업 관념에서부터 초기불교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를 추적해 보았다. 필자의 연구에 따르면, 최초의 제식주의적 업 관념은 제사라는 행위를 통해 우주적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인간 존재의 자존적능력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인정된다. 또한 『우빠니샤드』는 제식 행위뿐만이 아니라 일상적인 모든 행위가 특정한 목적과 결과에 연결된다는 방식으로 업 관념을 구체화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한편 자이나교에서는 업을 물질 입자로 이해하여 그것의 지음과 받음이 실재적으로 존재한다는 믿음을 확고히 정착시켰다. 나아가 초기불교에서는 그것을 내면적인 의도의 차원으로 해석하여 제식주의라든가 금욕주의가 갖는 형식적 폐쇄성을 극복하는 데에 공헌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각 학파에서 시도된 업 해석의 다양한 양상들을 살펴보았고, 이것을 통해 그들 학파의 사상적 경계를 되짚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업 문제를 둘러 싼상이 한 관점들이 각 학파의 교리적·형이상학적 입장뿐 아니라, 사회적·계급적 측면과도 유기적인 상관 관계에 있음을 고찰해 보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업 개념이 본래부터 완성된 형태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었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이것은 업 관념을 더 이상 종교적인 신념의 영역에 방치해 두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과 함께, 개방된 학문적 논의의 장으로 끌고 가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The belief in karma becomes the fundamental premise in the majority of India"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 So, the study of karma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all philosophical traditions in India. In this paper, I shed light on the development of karma conception, especially from the ritualism to early Buddhism. I think the beliefs in karma had been gradually embodied as time went by. It was discovered from the ritualistic views of karma in Veda that human had the ability to take part in the cosmic process through ritualistic deeds. Upani?ad contributed to concretize the idea that a human being"s deeds are completely connected with specific purposes and results. Jainism had a great notion that karma is retributive, thinking of it as a law of physics. Futhermore, this conception was interpreted as the psychological matter in early buddhism. This interpretation contributed to overcome both the occlusiveness of Vedic ritualism and the asceticism of Jainism. In this way, I straightened out that the conception of karma was not complete at the first step. I think that we have to put this conception into the more opened place of academic discussion, and that this attempt may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boundaries of thought on Karma within the major schools of Indian philosophy.

      • KCI우수등재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Ⅱ

        임승택(LIM, Seung-taek)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0 No.-

        필자는 초기불교 당시 유통된 무아설의 유형을 3가지 부류의 12가지로 파악한다. 선행 논문인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I』에서는 이들 중 첫 두 부류에 속한 6가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고, 본 논문에서는 세 번째 부류로 귀속되는 6가지 유형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필자의 판단에 따르면 첫 번째 부류의 3가지 무아 유형은 ‘나의 것’ 등을 부정하면서 비아(非我)에 가까운 무아의 의미를 표방한다. 이러한 서술방식에 따르면 무아란 자아에 대한 존재론적 부정이 아니며 다만 경험적 현상들과의 탈동일시(disidentification)를 가리킬 뿐이다. 두 번째 부류에 속한 3가지는 사변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무아에 대한 견해나 주장마저도 극복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또한 무아라는 개념에 대한 집착을 경계하면서 어떠한 형태로든 ‘나’라는 생각에 빠지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다루는 세 번째 부류의 6가지 유형은 형이상학적 무아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들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방식으로 무아에 대한 사변적 해설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들 세 번째 부류의 무아 유형은 니까야(Nikāya)에서는 주류적 방식이 아니지만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Abhidharmakośabhāṣya) 등 후대의 문헌들로 내려오면서 그 영향력을 확장시켜 나간 듯하다. 필자는 두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는 본 연구를 통해 3가지 부류의 12가지 무아 유형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이들은 초기불교 무아설의 일반적 양상을 확인시켜주는 동시에 그 변용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를 되짚어보게 해준다. I classify the teachings on selflessness presented in Early Buddhism into three categories. In the preceding paper, I examined the six types belonging to the first two categories, and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six types that fall into the third category. The types of the first category advocate for a meaning of selflessness that is close to the meaning ‘it s not mine (非我).’ These types are not ontological negatives to the self, but only point to disidentification with empirical phenomena. The three types belonging to the second category criticize speculative views and even regard views or claims about selflessness as objects of overcoming. These types convey a message of not falling into the idea of ‘me’ in any form, while remaining wary of obsession with the concept of selflessness. In contrast, the six types of the third category, which are intensively dealt with in this paper, correspond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metaphysical selflessness discourse. These types attempt a speculative interpretation of selflessness in an objective and universal way. These six types of selflessness were heterogeneous at the time of Early Buddhism, but gradually expanded their influence as they were transmitted to later literary traditions after Early Buddhism. This paper provides sufficient examples to remind us of the general aspect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theory of selflessness in Early Buddhism.

      • KCI등재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

        임승택(Lim, Seung-Taek)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40 No.-

        본고는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를 분석ㆍ비교한다. 니까야에서는 지식념과 부정관을 사념처의 세부 항목으로 분류한다. 또한 사념처의 와중에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동시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구사론에서는 지식념과 부정관을 사념처가 아닌 사마타 실천법으로 간주한다. 또한 사념처 자체에 대해서는 위빠사나 일변도의 수행으로 규정한다. 사념처에 관한 두 문헌의 차이는 수행의 위계 문제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대념처경 등의 니까야 문헌에는 사념처를 통해 아라한이라는 궁극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그러나 구사론은 수행의 위계에 대해서는 세부적으로 구분하지만 정작 궁극의 경지에 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삼간다. 따라서 니까야의 사념처와 구사론의 그것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차이가 니까야 내부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사념처관련 경전들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 특히 대념처경의 사념처는 니까야 도처에 산발적으로 묘사되는 잡다한 부류의 실천 유형을 총괄하는 성격을 띤다. 구사론의 사념처는 이러한 분위기가 아비달마 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지는 가운데 구체화된 것으로 보인다.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의 변용은 아비달마라는 시대적 과제를 반영하면서 전래의 가르침을 재해석해 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wo class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四念處),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which separately appear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In Nikāyas, Ānāpānasati(持息念) and asubha-bhāvanā(不淨觀) are classified as the detail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But Abhidharmakośabhāṣya considers both of them as Samatha(止) which is the opposite practice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called vipassanā in Buddhist tradition. This means that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Abhidharmakośabhāṣya are one-sided practices which exclude ānāpānasati and asubha-bhāvanā. At this point,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take different positions. The differences of opinions on cattāro-satipaṭṭhānā betwee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become even more striking in the theories of the states that one could arrive at with the practic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Nikāyas say that we could reach the ultimate state of arhat(阿羅漢) with cattāro-satipaṭṭhānā. But Abhidharmakośabhāṣya refrains from those kinds of comments on this issue in spite of the detailed descriptions about the states that one could arrive at with the practic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In this way, the cattāro-satipaṭṭhānā which appeared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look completely different. But I believe that both of them have common purposes to inherit the teachings of Buddha from their own points of view.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say that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Nikāyas could be regarded as the origin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Abhidharmakośabhāṣya. It is because the former were compiled earlier in time than the latter. I think that the transformations which we can find in Abhidharmakośabhāṣya are the results of re-interpretation reflecting the new period called Abhidharma.

      • KCI등재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

        임승택 ( Seung Taek Lim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1

        지눌의 돈오는 해오로서 이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문자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으며 본성에 대한 깨달음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돈오란 사실상 증오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성향과 습기가 남아있는 한에서 증오와 구분될 뿐이다. 지눌에게서 돈오와 점수는 논리적으로는 선후의 관계에 놓이지만 시간적으로는 동시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돈오 이후에 별개의 점수를 닦는 것이 아니라, 돈오 자체로써 곧바로 새로운 차원의 닦음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지는 바른 견해 혹은 바른 깨달음이 전제될 때 비로소 참된 닦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것의 전형을 지눌의 돈오점수에서 찾았고, 또한 초기불교의 팔정도와 사성제 등에도 이것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불교와 초기불교 수행론사이의 소통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을 것이며, 또한 각자의 교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서도 나름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article is a study in which Early Buddhist practice is compared with Chinul`s(知訥, 1158-1210)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representative thoughts of Chinul`s practice system can be compressed into the system of three way(三門) 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The former was the subject of my previous article, Chinul`s Practice System from a Perspective of Vipassana Meditation. And I am focusing on the latter in the pr esent article. I understand the teaching of sudden enlighten-m ent gradual cultivation as a message that we should realize e nlightenment or wisdom first, and then gradually practice t he cultivation of mind corresponding with that enlightenment or wisdom. I find out this idea is rooted in the Early Buddhism. Atthangika-magga of Early Buddhism teach us that right wisdom or enlightenment should precede all the other elements of atthangika-magga. And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 teaching of cattari-ariyasaccani also had a similar pattern to atthangika-magga. The first element of cattari-ariyasaccani, dukkha -ariyasacca means to realize the painful realities of life. The o ther elements of cattari-ariyasaccani follow this realiza-tion. Especially, the last element of cattari-ariyasaccani, dukkhaniro dhagaminiya-patipada means to practice the gradual cultivation of min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lements of cattari-ariyasaccani. I think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Chinul`s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I expect the present article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rly Buddhism and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m.

      • KCI등재

        두번의 퀜치를 갖는 초전도한류기의 동작특성 및 전력부담 분석

        임승택(Seung-Taek Lim),고주찬(Ju-Chan Go),나승성(Seung-Sung Na),임성훈(Sung-Hun L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6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0 No.7

        SFCL(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which had zero impedance characteristic does not have power loss and limits quickly fault current. So it plays a rule as a protective equipment. And there are many type of SFCL. In this paper, we analyzed a SFCL with twice Quench so as to improve existing SFCL that operates regardless of scale of fault current. This SFCL with twice quench composed of extra series resistance(RS) and could limit once or twice dependent on scale of fault current. We analyzed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power burden of SFCL and its components according to fault position and series resistance(RS). Through the analysis, we could confirm that SFCL with RS operated at lower current, limited the fault current faster. And components’s power burden could be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