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박물)관의 새로운 변화와 우리의 과제

        임소연(Leem So Yeon),홍성욱(Hong Sungook) 한국과학기술학회 2005 과학기술학연구 Vol.5 No.2

        과학박물관은 과학기술 유물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를 통해 과학과 그것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깊이 있는 시각을 제공하며, 사이언스 센터는 직접적인 조작과 실험을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킴과 동시에 과학원리를 교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학박물관에 나열된 유물이나 사이언스 센터의 작동모형이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위험, 환경 등과 복잡하게 얽혀 있는 현대 과학을 이해하는데 충분한 안목을 길러주지는 못한다. 이 글은 21세기 우리의 과학(박물)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는데 있어 제 1세대인 과학박물관과 제 2세대인 사이언스 센터의 장점은 살리면서 한계를 극복해 나가려는 시도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본문에서는 우선 서구에서 과학박물관과 사이언스 센터가 어떻게 탄생하였으며 그 사회적 역할과 최근 동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한국 과학관의 역사를 국립과학관을 중심으로 짚어 봄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과학관의 현주소를 밝혀 보고자 한다. 이어서 국내외 과학박물관과 사이언스 센터에서 보여주고 있는 변화의 움직임을 과학과 예술과의 접목, 사회적 공론의 장이 되는 과학박물관 전시, 신개념의 사이언스 센터와 같은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시도들이 가지는 의미를 탐색해 볼 것이다. 끝으로 ‘광장’으로서의 제 3세대 과학(박물)관이 과학의 ‘공공이해’를 넘어서 ‘공공참여’까지 이끌어내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PUS와 과학(박물)관의 관련성에 대해서 논의하며, 이러한 논의들이 현재 한국 사회의 과학(박물)관의 현실에서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을 이 글의 마지막에서 제시할 것이다. While science museums, whose functions consist traditionally in collecting, preserving, researching, and displaying science-related objects, present scientific knowledge, figures, or tools in the historical context, science centers give more emphases on science education by exposing interactive exhibits to their visitors. However, neither objects-oriented exhibits nor hands-on technologies can provide museum visitors with the full insight into modem science in terms of its complicated relationships to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risk, and environment. This paper argues that for the 21st century we need to establish a new kind of science museum through the critical examination of its previous kinds -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enters.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history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science museums, including their recent trends in science centers, in the West will be elaborated. Secondly,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museums in Korea will be discussed specifically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cience museums. The next part of this paper will seek for the possibilities of the third generation of science museums through three examples, which show interdisciplinary, contextual,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to change science museums or science centers. Fourthly, the social function of science museums as 'forum'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of science as well a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s a conclusion, some practical suggestions and conceptual guidelines will be proposed for the future Korean national science museum.

      • KCI등재후보

        성형외과의 몸-이미지와 시각화 기술

        임소연(Leem So Yeo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1 과학기술학연구 Vol.11 No.1

        대중 매체와 광고를 통해서 노출되는 아름다운 몸-이미지가 성형수술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것은 국내외 대부분의 몸관리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는 바이다. 이 연구 역시 성형수술의 실행에서 몸-이미지가 갖는 “행위성”을 부인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행위성”의 범위를 확장하고 그 작동 기제를 구체화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한편으로는 실제 성형외과의 임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환자 상담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성형외과 “안”에서 몸-이미지가 어떻게 생산되고 소비되는가를 밝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형수술의 실행을 성형외과 의사들의 지식 생산 활동으로 봄으로써 시각화 기술이 환자의 몸의 경계뿐만 아니라 성형외과 분과의 경계를 재구성하는 작업에도 동원됨을 보이고자 한다. 성형외과 상담실의 시각화 기술은 환자의 몸을 “과학적” 대상으로 바꾸고 몸-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상담은 의사의 “전문직업적 시각”을 환자에게 훈육하는 과정이 된다. 또한 “수술 전후 사진”을 생산하고 “전문직업적 시각”을 시각화 기술로 실체화하고자 하는 성형외과 의사들의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노력은 성형외과를 “과학적” 분과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새로운 시각화 기술이 성형외과의 시각적 권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만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몸-이미지는 과학화를 위해 사용되는 도구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The majority of previous researchers on body management practices including plastic surgery has agreed that there is a strong connection between social demands of plastic surgery and public exposures of beautiful body-images, which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further. This study, on the one hand, discovers how body-images are produced and consumed through clinical practices of plastic surgery, particularly, surgeon-patient consultation processes based on the researcher’s participant observation on a plastic surgery clinic in Korea, and shows how visualization technologies are mobilized to reconstruct not only boundaries of patients’ bodies but also those of medical disciplines by viewing plastic surgery practices as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While revealing that surgeon-patient consultation is the process to transform patient’s bodies to “scientific” objects and visualization technologies have been made to help plastic surgeons to make their disciplines “scientific” ones, this article also pays attention to complicated effects of new imaging technology beyond a mere means of "scientification" of plastic surgery.

      • KCI등재후보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에 대한 ‘기술-과학적 방식의 생각하기’

        임소연(Leem So Yeo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1 과학기술학연구 Vol.11 No.2

        이 논문은 여성들의 다양한 ‘기술과학 실행(technoscientific practices)’을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에 대한 시론적인 논의로서 캐런 바라드(Karen Barad)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을 중심에 두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자 한다. 첫 번째 절에서는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이 구성주의 과학기술학과 페미니즘의 ‘접점’에 속하는 분석대상이면서 동시에 구성주의 이론과 페미니스트 정치학 사이의 ‘긴장’이 드러나는 장소임을 보이고자 한다. 두 번째 절에서는 이 ‘긴장’을 분석의 차원에서 해소하기 위한 ‘생각하기’의 방식으로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이 제시된다. 행위적 실재론에서 행위성(agency)의 재개념화, 행위성에서 해명책임(accountabilities)으로의 전위, 장치(apparatus)의 개념 등은 특히 기술과학 실행을 분석하는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자에게 유용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하는데 특히 ‘장치’는 ‘기술-과학적 방식’을 형상화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마지막 절에서는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선행 연구들로부터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에 대한 ‘기술-과학적 방식의 생각하기’의 세 가지 사례를 찾아볼 것이다.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따라가고, 실행에 주목하며, 분석 대상인 과학기술에 책임을 지는 방식으로 생각하기는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학·기술·의료 관련 실행을 분석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s an initiative to fertilize analyses on women’s technoscientific practices, reviews theoretical discussions and empirical studies in-between feminism and STS, mainly owing its thinking technologies to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shows that women’s technoscientific practices as research sites are not only fertile grounds between STS and feminism but also conflict areas between constructivist theories and feminist politics. The second part proposes Agential Realism as an way of thinking to deal with ‘conflicts’ between STS and feminism in analytical levels. Agential Realism provides useful conceptual tools for ‘techno-scientific ways of thinking’ through the reconceptualization of agency, the displacement of agency by accountability, and the configuration of STS analysis as ‘apparatus.’ The third part finds three examples of ‘techno-scientific ways of thinking’ on women’s technscientific practices from previous feminist STS works, which suggests how to analyze not only women’s technoscientific practices but also diverse practices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s follows: follow ‘the invisible’, account for ‘ontological choreography’, and ‘care’ for what is analyzed.

      • KCI등재

        연구논문 : 민족지 연구의 장치로서의"반대"; 세 현장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임소연 ( So Yeon Leem ),하대청 ( Dae Chang Ha ),이강원 ( Kang Won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3

        본 논문은 세 필자가‘위로의 연구’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직면했던 현지인의 반대(objections)를 다룬다. 우리의 현지인인 의사와 교수·과학자들은 우리의 연구를 평가하고 비판했으며, 때로는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거나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이에 본 논문은 현지인의 반대를 저항이나 거부로 부정 혹은 무시하기보다는 더 적극적으로 인류학 일반에 통용될 수 있는 새로운 앎과 성찰의 계기로 삼을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본논문은 반대를 민족지 연구에 필요한‘장치(device)’로 재평가하여 정식화하기 위한 시도이다. ‘반대의 장치’의 효과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인류학자의 재현에‘차이’를 만드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류학자와 현지인이‘성찰’의 능력과 기회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각각 연구 내용, 연구방법, 연구 가치에 대한 현지인의 반대 사례를 예로들어 각 필자가‘반대의 장치’의 효과로 어떠한 차이를 생산할 수 있었고 어떻게 현지인과 함께 성찰할 수 있었는지 보이고자 했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앞으로 반대를 장착하고 나아갈 민족지 연구자를 위해 반대의 대상, 계기, 시점, 장소 그리고 형식에 따라 반대의 장치를 유형화한다. 연구자와 현지인이 함께 성찰적인 연구의 주체가 되어 더 많은 차이를 만들어 내는 민족지 연구를 지향하는 연구자에게 반대는 매우 유용한 장치가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natives` objections` which the three authors commonly encountered while they ‘studied up’ a plastic surgery clinic, the mad-cow diseases debates, and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centers, respectively. Our natives surgeons, university professors, and scientists reviewed, questioned, criticized, and, sometimes, made suggestions on our own researches. On the one hand, our research affected the natives and exposed their ‘new’ voices, which, on the other hand, also transformed researchers and their studies. Based on our own experiences of objections, this paper proposes that natives` objections are opportunities to reach for new kinds of anthropological knowledge and reflexivity, rather than something to be disregarded as native resistance and rejections of our ethnographic work.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ppreciate and formalize objections as ‘devices’necessary to the conduct of ethnographic research in general‘. Objections as devices` incur two effects:one is to make‘ differences` in anthropological representation and another is to share ‘reflexive’abilities with natives. The main body of this paper shows how authors produced differences in and reflected with natives on their own research in terms of its contents, methods, and values through‘ objections as devices.’As a conclusion, the last section presents components of ‘objections as devices’ targets, triggers, junctures, sites, and forms to those who are equipped with objec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objections are useful devices for ethnographers who aim to become reflexive research subjects with natives and create more differences in their fields and researches.

      • KCI등재

        페미니즘은 과학을 바꾸는가? 페미니스트 과학, 젠더혁신, 페미니스트 과학학

        임소연(So Yeon LEEM),김도연(Do Yeon KIM)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3

        페미니즘은 과학을 바꾸는가? 이 질문은 20년 전 페미니스트 과학학자 론다 쉬빈저가 던진 “페미니즘은 과학을 바꾸었는가?”라는 질문에 뿌리를 둔다. 본 연구는 쉬빈저의 질문 이후 국내・외 학계에서 페미니스트 과학에 대한 논의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과 함께 페미니스트 과학에 대한 본격적인 경험 연구에 앞서 과학 실행에 개입하고 변화시키는 페미니즘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환기하고 페미니스트 과학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절에서는 우선 잘 알려진 페미니스트 과학학자 3인방(켈러, 하딩, 해러웨이)의 논의에서부터 시작하여 “페미니즘이 과학을 바꾸었는가?”라는 쉬빈저의 질문에 대한 답을 정리할 것이다. 3절은 주로 과학의 관점에서 페미니즘의 개입과 페미니스트 과학의 문제를 짚으며 페미니스트 과학을 “페미니스트로서 과학하기”로 개념화한다. 4절에서는 3절의 관점으로 젠더혁신을 페미니스트 과학 실행으로 평가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페미니스트 과학 발전을 위한 페미니스트 과학학의 역할과 함께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Does feminism change science? This question is rooted in the question, "Has feminism changed science?" thrown by feminist scientist Londa Schiebinger 20 years ago. Since Schiebinger’s question, there has not been much discussions on feminist science. This article intends to call attention to feminist intervention to science and establish the concept of feminist science before full-fledged empirical studies on feminist science and scientists. This paper consists of five sections. After the first introductory section, the second section begins with three well-known feminist science studies scholars (Keller, Harding, and Haraway) and overviews the answers to Schwinger"s question. The third section deals with multiple issues of feminist science mainly from the scientists’ point of view, and conceptualizes feminist science as "doing of science as a feminist". The fourth section identifies gendered innovation with feminist science based on its concept built from the previous section. Finally, the last section suggests the role of feminist science studies as an interpreter between science and feminism and proposes future studies on feminist science and scientists.

      • KCI등재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안-사이에서 ‘몸과 함께’

        임소연(So-Yeon LEEM) 한국과학기술학회 2019 과학기술학연구 Vol.19 No.3

        최근 서구 인문사회학계의 최대 관심사는 물질이며 페미니즘도 예외는 아니다. 이전까지 과학기술에 대하여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던 페미니즘이 물질과 새로운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이다. 과학기술학 역시 “존재론적 전환”을 통해서 존재 그 자체에 대한 연구 성과를 축적해 왔다. 본 논문은 신유물론이나 신유물론 페미니즘을 전면적으로 소개하기 보다는 신유물론 페미니즘의 성과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에서는 안느마리 몰, 캐런 버러드, 그리고 캐리스 탐슨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의 존재론적 개념을 통해 성형외과 현장연구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여성의 과학기술 실천을 연구하는 한 방식을 보이며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제안할 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신유물론 페미니즘의 요지를 간략하게 정리한 후, 신유물론 페미니즘의 문제의식 하에 페미니스트 성형수술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일 것이다. 이어서 과학기술학 분야의 존재론적 전환에 해당하는 개념 및 이론을 소개하고 그것을 통해서 성형수술 실천을 기술하며 마지막으로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접점에 있는 연구가 갖는 페미니스트 함의를 분석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 material has mattered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West and feminism is no exception. It is a notable change that feminist analyses, which had previously shown critiques against science and technology, attempted to build new engagements with matter. 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as also accumulated scholarships and developed conceptual tools on the thing or the existence itself through “the ontological tur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not to introduce new materialism or new material feminism in full, but to reveal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doing science, technology and women studies by selectively relying on the achievement of new materialism feminism. This article shows a way to study women"s pract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analyzing the case of plastic surgery practices through the ontological concepts of STS, particularly those of Annemarie Mol, Karen Barad, and Charis Thompson, and proposes a new engagement among new materialism, feminism, and STS. This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fter briefly discussing main issues in new material feminism, I will show the limitations of previous feminist studies of plastic surgery under the light of new material feminism. The rest of the article introduces the conceptual tools of ontological STS, describes plastic surgery practices with those tools, and finally provides their feminist implications.

      • KCI등재

        연구논문 : 민족지 연구의 실험장으로서의 "위로의 연구" (Studying up): 세 현장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강원 ( Kang Won Lee ),임소연 ( So Yeon Leem ),하대청 ( Dae Cheong Ha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2

        본 연구는 세 연구자의 현장 연구 경험을 통해‘위로의 연구’의 난관이 현장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드러나는지를 보여 준다. 그리고 난관을 넘어서거나 우회하거나 그것들과 타협함으로써 학습해 온 현장 연구기술(skills)을 명료화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또한 ‘위로의 연구’의 난관과 마주함으로써 나타나는 인류학 현장 연구의 전제들이 갖고 있는 문제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가 개선해야 할 지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 본 연구는‘위로의 연구’의 난관으로 제시된 접근, 태도, 윤리, 방법의 문제와 직접 대면한 현장 연구의 경험을 순서대로 제시했다. ‘위로의 연구’의 어려움은 우리의 현장 연구 과정에서 오히려 옮겨 다녀야 할 장소를 늘리고, 피면담자와 관계를 맺을 기회를 주기도 했다. 현장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가 예상과는 다르게 면담자와의 협상과 현장과의 타협을 통해서 창조적으로 해결되기도 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기존 민족지 연구에 스며들어 있던 몇 가지 전제, 폐쇄성과 개방성의 이분법(접근), 강자와 약자의 이분법(태도), 옹호와 폭로의 이분법(윤리), 참여관찰과 문헌 조사의 이분법(방법론)이 드러났고 바로 그 전제들이‘위로의 연구’의 난관을 더 어렵게 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민족지 연구를‘위로의 연구’라는 실험장에 던져 넣은 우리의 시도가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인류학 연구의 전제들을 수면 위로 부상시켰다는 점에서 이 실험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shows how the obstacles to ‘studying up,’ suggested by Nader(1972) have been exposed in concrete forms by the three authors `experiences of their own fieldwork. We aim to clarify which skills the authors have learned while overcoming, detouring, and negotiating with those obstacles. We also propose the ways to address problems which are inherited from the shared assumptions of existing anthropological fieldwork. In addressing these problems of ‘studying up’ and in accordance with three authors` fieldwork experiences, we divide the article into the issue-specific areas of (1) access, (2) attitude, (3) ethics, and (4) methodology. On the one hand, by addressing the obstacles of‘ studying up’the three authors have gained new opportunities to access field sites which were not planned and we have been given chances to make relationships with informants which may have not been possible otherwise.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s that arose during the fieldworks were solved through the researchers` negotiations with informants and compromises between the researchers and the fields, in ways that were unexpected creative. This study further reveals four dualisms which are inherent in the premises which have permeated the existing ethnographic research: (1) closed off social fields and openness(access) (2) power and weakness(attitude), (3) advocacy and revelation (ethics), and (4) participant observation and literature analysis(methodology). We argue that what need to be overcome are these four dichotomized assumptions, rather than the previously suggested four obstacles. Three fieldwork projects of‘ studying up’are illustrated in this paper as experimentations with ethnographic research, which because of their experimental nature have raised unseen premises to the surface.

      • KCI등재

        기계는 어떻게 여성의 목소리를 갖게 되는가?: 1980-90년대 버스 자동 음성안내 도입을 중심으로

        장민제 ( Jang Minje ),신인호 ( Shin Inho ),임소연 ( Leem So Yeon ) 한국과학사학회 2021 한국과학사학회지 Vol.43 No.1

        From elevators to subways, buses, and even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assistants, machines’ voices that are easily accessible in everyday life are mostly feminized. How did the machine come to have a female voice? This paper traces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labor of female bus attendants with mechanical devices on the bus and shows how the automatic bus announcement was made using the ‘cheerful and gentle voice of a young woman.’ By explor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driving the introduction of the civic automated bus in the 1980s, this paper challenges the view that machines came to have a friendly female voice simply because female voices are more audible than male ones. The bus attendants, later replaced by automated buses, were assigned to young women in 1960s and 1970s as they were expected to have certain types of romanticized femininity. For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gendered nature of machines, this paper calls for more historical studies that reveal contexts and interests behind gendered voices of machines.

      • KCI등재
      • KCI등재

        재현적 증거에서 존재론적 증거로

        하대청(Dae Cheong Ha),이강원(Kang Won Lee),임소연(So Yeon Leem)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1

        This paper highlights the ways in which natives employ the concept of ‘evidence’ in the field and attempts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its concept. Although evidences are consistently located in questions that anthropologists encounter during their research, its concept itself has been rarely discussed in earnest. By focusing on three cases of fieldwork, which study debates and practices of scientists, medical doctors, and engineers, respectively, this paper looks at how those natives produce, use, and justify their evidences.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of ‘their evidences’ has enabled anthropologists to reflect on how we imagine and make use of ‘our evidences.’ In this paper, while evidences that anthropologists have predominantly assumed are defined as ‘representational evidences,’ ‘ontological evidence (Holbraad 2008)’ is redefined and proposed as a new concept of evidence. Lastly, this paper shows that the concept of ‘ontological evidence’ not only negates hierarchies between natives` and researchers` evidences but also resolves confrontations between science and anthrop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