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변형된 갑상연골에서 기인한 가성대 돌출 1예

        임성환,김승우,Lim, Sung Hwan,Kim, Seung Woo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8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9 No.1

        Trauma, congenital malformation and aging process can be a cause of the deviation of laryngeal prominence in the thyroid cartilage. Among these, the senility is the most common cause. Usually, ossification in the thyroid cartilage has occurred symmetrically, but the asymmetrical event leads to the shift of laryngeal prominence. Also, such deformity can provoke protrusion of false vocal fold. A 75-year-old man with hoarseness and globus sense in throat visited our clinic. Five years ago, he experienced a blunt trauma on left midline neck and had a concave deformity in the left thyroid cartilage lamina. Laryngoscopic findings revealed a marked protrusion in the left false vocal fold. We performed the laryngeal microsurgery to discriminate the tumorous condition. The pathology revealed non-pathologic mucosa. We report a unique and didactic case with a brief literature review.

      • 거대 와르틴 종양에 의해 유발된 이하선 농양과 흉벽 염증 1예

        임성환(Sung Hwan Lim),구범모(Beom Mo Koo),백문승( Moon Seung Baeg),김승우(Seung Woo Kim)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5 No.2

        Warthin’s tumor (WT) is second most common neoplasm in the parotid gland and it can be accompanied by inflammation and necrosis. The chest wall inflammation may present a rapid and fatal clinical course and secondary to parotid abscess is extremely rare. An 81-year-old man came to emergency room complained of rapidly enlarged left parotid mass and inflammatory symptoms and signs around the upper lateral neck. We performed incision and drainage with adequate infection control. He was pathologically diagnosed as abscess. We report the unique and instructive clinical case with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오대산의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의 토양 특성 및 습지 연대 분석

        임성환 ( Sung Hwan Lim ),최성철 ( Sung Chul Choi ),황정숙 ( Jeong Sook Hwang ),최덕균 ( Deok Gyun Choi ),추연식 ( Yeon Sik Ch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오대산 국립공원 내이탄습지로 알려진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을 대상으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두 습지의 생성 연대를 추정하기 위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의 토양 pH는 평균 5.5로 조사 시기 및 식물군락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이온함량은 식물군락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각 식물 군락 내에서 조사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이온 함량과 마찬가지로 치환 성 양이온인 Na, K과 Mg 함량 또한 식물 군락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 조사 시기에 따른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른 양이온과는 달리 Ca 함량은 식물군락과 조사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량과 총 질소함량은 식물군락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물이끼(Sphagnum palustre)가 분포하는 지점에서 두 습지 모두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은 약산성의 bog 습지로 생각되며, 두 습지 토양의 생성 연대를 분석한 결과 소황병산늪은 AD 100년 그리고 질뫼늪은 AD 1448년으로 조사되어 소황병산늪의 생성연대는 AD 100년 그리고 질뫼늪은 AD 1448년 이전에 습지가 형성되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In order to identify soil characteristics and to estimate the age of wetland, soil samples of Mt. Sohwangbyoung wetland and Jilmoi wetland known as peatland in Odaesan National Park.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oil pH of Mt. Sohwangbyoung wetland and Jilmoi wetland showed average pH of 5.5, and did now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and plant community. Total ionic content of soil showed different values among plant communities, but no difference by time in each plant community. Soil exchangeable cations such as Na, K and Mg showed a similar pattern of total ionic content. Unlike other cations, however, Ca cont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lant community and time. Soil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plant community, and especially showed very low valeus at the place where Sphagnum palustre distribu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Mt. Sohwangbyoung wetland and Jilmoi wetland can be considered as weakly acidic bog. From age analysis, two wetlands are estimated to have been formed before 100 AD for Mt. Sohwangbyoung wetland and 1448 AD for Jilmoi wetland, respectively.

      • 고령의 환자에서 발생한 다발성 후경부 신경절신경종 1예

        임성환(Sung Hwan Lim),김민아(Min A Kim),김승우(Seung Woo Kim)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5 No.2

        Ganglioneuroma (GN) is benign neurogenic tumor arising from ganglia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They are mostly found at posterior mediastinum, retroperitoneum, and adrenal gland, whereas only 1-5% occurred in the cervical region. GN usually present as a single, painless and slow-growing mass, but multiple cervical occur-rences are extremely rare. An 80-year-old woman came to our clinic complained of posterior neck mass for three years. We performed surgical excision, and it was finally diagnosed as GN. We report the unique and rare disease entity with a brief literature review.

      • 웹기반 Visual Basic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임성환(Sung-Hwan Lim),강지훈(Ji-Hoon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B

        인터넷에는 많은 코스웨어가 등장하고 있지만, 초급 프로그래머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실업계 고증학교 학생들을 위한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과목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 학습 사이트는 찾아보기 힘들다. 학생들의 자격증 취득 방법을 살펴보면 83.6%가 학원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고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는 학생은 16.4%에 불과하다. 이에 웹을 통해 학습 방법을 자기 주도적으로 개선하도록 비주얼베이직 코스웨어를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 KCI등재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향상을 위한 감각적 경험 기반 어포던스 디자인 연구

        임성환(Lim, Seong Hwan),김성훈(Kim Sung H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사물인터넷(IoT)은 현대인들에게 가장 보편화되어있는 스마트 폰과 애플리케이션 결합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스템에 익숙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오히려 장애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향상을 위한 감각적 경험 기반 어포던스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적으로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감각적 경험, 어포던스 디자인의 각 개념과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감각적 경험 요소와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를 살펴보고 감각적 경험 기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감각적 경험 기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로는 감각적 요소, 물리적 요소, 기능적 요소가 있으며, 세부분석 요소는 감각적 요소에는 색상, 그래픽, 레이아웃이 있으며, 물리적 요소에는 아이콘, 버튼, 기능적 요소에는 메뉴바, 제한성, 피드백으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사례분석 모형을 구성하고,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의 유·무료 상위 애플리케이션 차트 100에서 사물인터넷을 포함한 사례 총 5개의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감각적 요소의 세부분석 요소인 ‘색상’, ‘그래픽’, ‘레이아웃’과 물리적 요소의 세부분석 요소인 ‘아이콘’, ‘버튼’은 모든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기능적 요소의 세부분석 요소인 ‘메뉴 바’ 또한 모든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고 있었으며, ‘제한성’, ‘피드백’은 2가지 사례에서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적 요인이 부족함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의 만족감과 편리함을 극대화하기 위해 감각적 경험 기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인 감각적, 물리적, 기능적 특성이 적절하게 적용된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With the recent emer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5G technology, the media environment for IoT has begun to change rapidly. While the concept of IoT grants countless benefits and convenient services to modern people by combining smartphones with applications, which are both the most popularized product/service in the modern society, there are concerns that it might become an obstacle for those who are not familiar to fast-changing digital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ensory experiencebased affordance design research to improve the usability of IoT apps as a solution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the study examined various concepts and theories, such as IoT applications, sensory experience, and affordance design. Through the prior researches, the study then examined the elements of sensory experience and the basic elements of affordance design to derive sensory experience-based affordance design elements. Sensory experience-based affordance design elements include sensory elements, physical elements, and functional elements. The subfactors of each elements are as follows; color, graphic, layout (sensory) / icon, button (physical) / menu bar, restrictions, feedback (functional).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 case analysis model was structured, and 5 different IoT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Google Play / App Store’s Top 100 App Chart (both free and pai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ensory sub-elements such as ‘color,’ ‘graphic,’ ‘layout,’ and physical sub-elements such as ‘icon,’ and ‘button’ were found in all cases. Among the functional sub-elements, only the ‘menu bar’ was common in all five cases, while ‘restriction’ and ‘feedback’ were only found in two cases. Thu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was able to recognize the lack of functional element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of the users,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IoT applications that appropriately implements sensory,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three main elements of sensory experience-based affordance design-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활용한 미술비평학습 어플리케이션 설계에 관한 연구

        임성환(Sung-Hwan Lim),박소영(So-Young Park)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과 교육 Vol.18 No.1

        본 연구는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비평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미술비평능력을 신장시키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설계와 구현 가능성의 탐색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증강현실 기술의 미술비평학습활동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둘째, 증강현실 기술이 미술비평학습활동에 어떤 교육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셋째, 증강현실 기술을 미술비평학습활동 단계별로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마지막 장 에서는 증강현실의 미술비평학습활동 활용 가능성과 활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세부 내용과 메뉴의 흐름은 묘사-분석-해석-평가를 기본으로 하고 미술비평과정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개념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역점을 두고, 비평 모델의 단계를 필요에 따라서 중간 중간 건너뛰거나 되돌아 갈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에서 각 단계를 선택 가능한 메뉴(menu)화를 통해 학습자가 자유롭게 순서에 얽매이지 않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모든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소셜 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소통을 통해 작품과 삶의 연결을 모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This paper provides a logical and methodological design of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based art criticism education application. It starts with an analysis of the no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the applicability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art critic learning activitie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alysis. and examine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art critic learning activities that leads to the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model of Augmented Reality(AR) based art criticism education application. This is followed by a detailed conceptual suggestion of major functions of smart devices that contribute to art critic activities. Finally, the possibility of using art critic learning activity and the utilization method of augmented reality were suggested. The details of the application and the flow of the menu is performed by Description – Analysis – Interpretation – Judgement. Learner can follow or skip or select these step on their purpose. Learner also perform their critic by various sensor functions of smar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The paper puts a strong emphasis on the effective and adequate using of the Augmented Reality(AR) and smart device in order to promote a better comprehension in art critic seq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