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다른 교과와 비교하여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가 다른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선호도와 자아개념에 관한 사례 연구

        임성만 ( Sung Man Lim ),이지현 ( Ji Hyun Lee ),양일호 ( Li Ho Ya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7 No.1

        이 연구는 질적 연구 접근을 통해 과학과 학업성취에 따른 학습자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과학 교과의 학업성취가 다른 교과의 성취에 비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 간의 학습 자 특성은 어떠한가를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과학 과목의 성 적이 특별히 우수한 학생 4명과 다른 주요 교과목의 성적은 우수하나 과학 과목의 성적이 비교적 낮은 학생 4명의 총 8명의 학생을 정보 제공자로 선정하여 면담 하였다. 타교과보다 과학과의 학업성취가 우수한 집단의 학생들은 평소에도 학교 학습 이외의 과학 학습이나 과학 관련 경험이 지속적이고 의욕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나 타교과보다 과학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학교 밖에서의 과학 관련 활동이나 학습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또 비록 과학 학습에 대한 가정의 관심이 높고 비교적 과학 관련 경험이 많더라도 과학 선호도나 과학 학습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 학습 동기가 긍정적으로 갖춰지지 않거나 자발적인 학습이 아닌 경우, 과학과 학업성취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른 주지 교과의 성적은 비슷하나, 과학 교과에 서 두드러진 학업성취 차이를 보이는 학생들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도와줄 수 있다. 또 학교 과학 교육이 과학 적 지식이나 소양뿐 아니라 과학 학습 에 대한 동기, 가치를 보다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학교 과학 교육에서의 이러한 접근은 학생들이 과 학을 배우고자 하는 자발적인 의욕을 갖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learner`s characteristics by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The major research Question was as follow; What is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between high achievers and low achievers in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8 informants in 6th grade were chosen. 4 students were superiors in science study, and 4 students were not superior in science study but were excellent in other main subjects. The superiors had continuous and self-directed experiences of science learning. Especially they taken a long time in contacting with science activities independently and deeply. Their interest, self-concept, preference and values about science were affirmative. But the low achievers had negative attitudes about science preference, values, and so on. Thu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uperiors have higher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readiness than the low achiev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chool science education needs to consider motivation, value, experience about science learning as well as scientific knowledge, literacy.

      • KCI등재

        초등 영재학생을 위한 학교 학습 경험과 연계된 과학 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지질 박물관을 이용하여

        임성만 ( Sung Man L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n scientific inquiry program related to school science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development of a program had been used a geological museum. A science inquiry program had developed after verifying a content validity to 3 science education experts about program`s design and content selection, and then program applied to 20 elementary gifted students during 4 weeks, 14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gifted students interested in an inquiry program using a geological museum, and they were in full activity. Especially gifted students replied that they lodged in their memory that inquired into activities on listening a docent`s explanation about exhibits. Gifted classroom teacher also replied that gifted students saw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and expectation. And they replied that this program supplied a chance that gifted students can understand a meaning of inquiry.

      • KCI등재

        교직 경력에 따른 COVID-19 상황에서의 초등학교 현장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임성만(Lim, Sung Man),양일호((Yang, Il ho)),김성운(Kim, Seong 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전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COVID-19 상황에서 우리나라 학교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교직 경력에 따른 COVID-19 상황에서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해보았다. 연구를 위해 연구참여자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무선표집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총650명의 교사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20. 07. 29 ~ 2020. 08. 05의 총 8일 동안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3 집단으로 분류된 후 연구결과는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과 학생들은 COVID-19 상황에서 실시된 온라인수업에 대해 잘 적응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온라인수업이라는 교육 정책에 대해 경력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교사들은 온라인수업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자신이 운영한 온라인수업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또 온라인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높았다. 넷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온라인수업에 대한 정부 또는 교육청의 지원에 대해 아쉬움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관련해 걱정을 하고 있었으며, 온라인수업이 학업성취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COVID-19 상황에서의 학교교육의 방향과 앞으로도 일어날 수 있는 위기 상황에서의 학교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school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COVID-19 that is experiencing worldwide. And more than anything, in this study, it was surveyed how they perceived elementary school fiel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based on the teaching career. For the study, study participants were sampled wirelessly throughout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650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careers,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onducted online for a total of 8 days from July 29, 2020 to August 05,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eachers and students were well adapted to the online classes held in the COVID-19 situation. Second,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policy of online classes as they had more experience. Third, teachers were feeling a burden about online classes. However, he was satisfied with the online class he ran. Also, the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was higher for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Fourth, most teachers felt regret about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or the Office of Education for online classes. Fifth, teachers were worried abou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y thought that online classes were not very helpful for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the ongoing COVID-19 situation and for school education in a crisis situation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 ‘에너지로 대화하는 인터렉티브 아트’ STEAM 프로그램 개발

        임성만 ( Lim Sung-man ),현동걸 ( Hyun Dong-geul ),장진혁 ( Jang Jin-hyuk ),허진아 ( Heo Jin-ah ),신애경 ( Shin Ae-kyung ),양경식 ( Yang Kyoung-sik ),김성운 ( Kim Seong-u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는 키네틱 아트에서 가져온 용어로, 키네틱이란 움직임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키네틱 아트에서 탐구된 움직임의 표현, 시지각적 환영에 의한 잔상 효과 등은 오늘날 움직이는 그래픽 표현에서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키네틱 아트에 있어서의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성에 의한 움직임의 구현은 현재 인터렉티브 아트에 있어서도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종래의 예술에서는 제시된 작품을 관객이 수동적으로 감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에서는 관객이 직접 참여하여 결과를 좌우할 수 있어 능동적 감상을 가능하게 한다.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에서의 움직임은 인터렉션에 의한, 인터렉션의 모습을 시각화한 표현이기에 관객의 참여와 상호작용이 다른 어떤 예술작품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상상력과 더불어 디지털, 미디어 관련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과학적 개념과 원리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가능하다. 따라서 인터렉티브 아트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에서 과학적인 원리를 적용하고, 상호작용하는 작품을 제작해 봄으로써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융합의 경험을 시도하고 결과물을 통해 미적가치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를 활용한 STEAM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09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중학교 과학 ‘일과 에너지의 전환’ 단원과 미술 ‘새로운 매체와 미술’ 단원의 결합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에너지’를 주제로 ‘에너지로 대화하는 인터렉티브 아트’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흐름은 보기→따라하기→버리기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보기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다양한 인터렉티브 작품을 감상하고, 이를 통해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따라하기 단계에서는 보기 단계에서 감상했던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 중 에너지를 이용한 몇 개의 작품을 학생들이 직접 모방하여 만들어 보는 과정이다. 마지막 버리기 단계에서는 지금까지 보거나 따라했던 작품 기법을 버리고, 학생 자신만의 창작 기법을 고안하여 ‘우리 고장’을 상징하는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 작품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대부분 그룹 활동으로 구성되어져 있어, 구성원들의 협력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특히 마지막 버리기 단계에서 학생들 자신만의 기법을 창안하기 위해서는, 그룹내 구성원들끼리 많은 토론과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차시별 내용 구성을 살펴보면, 1∼5차시는 인터렉티브 아트 보기와 따라하기 단계로, 움직임이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를 감상하고 일반 조형물과 달라진 조형적인 특징과 감상자의 태도를 살펴본 후 과학과 예술의 관련성에 대해 탐색하기, 다양한 작품 감상을 통해 과학적 개념과 원리 및 인터렉티브키네틱 아트의 개념과 특징 알기, 인터렉티브 키네틱 아트 작품에 적용된 각각의 과학적 원리를 살펴보고, 이를 응용하여 창의적 설계에 활용하기, 간단한 모형을 직접 제작 및 체험해 보고 다른 학생들의 작품과 비교해 보기, 실제 작품 제작을 위한 생각 발전시키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6∼10차시는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 창작하기(버리기) 단계로, 우리 고장 관련 영상을 통해 우리 고장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기, 우리 고장을 상징하는 작품 주제와 기법 정하기, 우리 고장을 상징하는 움직임이 있는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 만들기, 작품 전시회 및 작품제작 소감 발표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할 수 있는 학습 목표는 내용 목표로 ‘과학과 수학 등 타 영역과의 관계 속에서 힘과 운동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키네틱 아트의 성질을 이용하여 우리 고장을 알릴 수 있는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감상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점으로 작품에 대한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를 설정하였고, 과정 목표로 ‘움직이는 미술을 창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일정한 조건에서 주어진 공동의 과제해결을 위한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현대미술에 대한 흥미를 가진다.’를 설정하였다. 이 프로그램 내용에 사용된 STEAM 과목별 요소를 살펴보면, 과학(S)에는 ‘움직임’, ‘힘과 운동’, ‘위치에너지’, ‘운동에너지’, ‘에너지 전환’이, 기술(T)에는 ‘골드버그 장치’, ‘오토마타’가, 공학(E)에는 ‘움직임의 요소를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으로 구현하기 위한 실제’가, 예술(A)에는 ‘인터렉티브 아트’, ‘미적 표현’, ‘예술가적 창의성’이, 수학(M)에는 ‘관객참여를 위한 적절한 작품의 크기 및 형태 구상’, ‘작품설치 및 전시회를 위한 공간적 구성과 배치’가 사용되었다.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초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교수태도 분석

        임성만 ( Sung Man Lim ),정운영 ( Woon Young Cheong ),양일호 ( Il Ho Ya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이 연구는 전국 초등학교의 영재학급이나 지역교육청 영재교육 센터에서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가르치고 있거나 과거에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본성에 대한 교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는 Chen(2006)이 개발한 VOSE 검사지가 이용되었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은 7개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되었으며,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태도에 대한 것은 5개 영역별로 조사하였다.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의 본성에 대해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은 대체적으로 바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태도 측면에서는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은 과학의 본성에 대해 가르치고자 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교수태도는 높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이 교수학습과정에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개연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바른 인식뿐만 아니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 전략 연구가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perception of teachers engaged in special education for scientifically gifted regarding nature of science and identify attitudes toward teaching nature of science.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122 science teachers who are teaching or taught students attending gifted classes of any primary school in Korea and any gifted education center of every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We made a partial amendment of a VOSE that was developed by Chen(2006) and then used. We tested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s in regard to nature of science. In terms of nature of science, we devide it into 7 sub-areas to analyse. For attitudes toward teaching nature of science, we investigate and analyse following 5 sub-areas;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nature of observation, scientific methods, theories and laws and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generally teachers have a desirable recognitions about a nature of science. For attitudes toward teaching nature of science, the teachers showed that they have positive attitudes. However between degrees of teachers` recognition about a nature of science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nature of science showed a low correlation.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and develop attitudes toward teaching nature of science, there should be more training time for the teachers and training contents also should be changed. In addition, we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develop contents and direction of training for the teachers as a basic reference.

      • KCI등재

        관찰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체계에 따른 시선이동 분석

        임성만 ( Sung Man Lim ),박서정 ( Seo Jung Park ),양일호 ( Ll Ho 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관찰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체계(SL-BIS/BAS;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행동활성화체계)에 따른 행동 특성을 알아보고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경생리학적 연구 방법 중하나인 시선추적장치(Eye-Tracker)를 이용한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L-BIS에 민감한 학생의 경우 관찰 과제에 대한 총 시선고정 지속시간이 SL-BAS에 민감한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짧았으며(p<.05), SL-BIS에 민감한 학생은 관찰과제에대한 새로운 시선고정이 더 빈번하게 일어나면서 총시선고정 횟수가 SL-BAS에 민감한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많았다. 또한, 시선고정 당 지속시간은 SL-BIS 에 민감한 학생보다 SL-BAS에 민감한 학생이 유의미하게 더 길었다. 둘째, 학습과제에서 주의를 이끄는자극 중 하나인 변화 상황별 시선고정의 분포의 경우,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SL-BIS에 민감한 학생과 SL-BAS에 민감한 학생 사이의 시선고정에서 큰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변화가 멈춘 상황에서는SL-BIS에 민감한 학생에 비하여 SL-BAS에 민감한학생의 시선고정 총 지속시간과 시선고정 당 지속시간이 유의미하게 길게 나타났다. 셋째, 실험 구인별시선고정의 대상을 비교하였을 때 SL-BIS에 민감한학생들은 실험에 중요하게 관련되지 않는 구인에서도 시선고정을 보인 반면, SL-BAS에 민감한 학생들은실험과 관련된 구인에 시선을 고정하며 집중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찰 상황에서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체계에 따른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에 적합한 지도 계획을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work was performed to fi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rresponding to the motivation system on science learning (SL-BIS/BAS; Behavioral Inhibition/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in the observation situation. Eye-tracking was used for this study, which is one of the neurophysiological methods. The findings of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have sensitive motivation system to SL-BIS (SL-BIS group) showed meaningfully shorter fixation duration the whole time during an observation task than students who have sensitive motivation system to SL-BAS (SL-BAS group) (p<.05). Total fixation counts of SL-BIS group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SL-BAS group and it indicates that SL-BIS group often generated new fixations. Therefore, fixation duration per count of SL-BAS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SLBIS group. Second, we studied fixations in situations with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motivation system on science learning. SL-BIS group and SL-BAS group exhibited similar fixation duration in the study task segment with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stimulus attracting students. However, for the study task segment when the movement was finished, total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duration per count of SL-BAS group were meaningfully longer than those of SL-BIS group. Third, comparing fixation targets classified by factors of study task, SL-BIS group showed fixation on the target that is not important for the study task. But SL-BAS group concentrated on the target-related factor of the study task. The present work c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students`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motivation system on science learning in observation situation and for making a learning & teaching plan that is suitable to the feature of students.

      • KCI등재

        ‘지층과 화석’단원에 대해 초등 예비 교사가 개발한 평가 문항 분석

        임성만(Lim Sung M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목표 도달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평가 결과를 해석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미래 교사가 될 예비교사들이 갖고 있는 평가에 대한 관점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를 위해 지층과 화석 단원을 선정하여 예비교사들에게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과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해보도록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은 2016년 초등교사 양성 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28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과학교육방법론 을 통해 과학과 평가 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학습한 후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내용영역에서는 지층의 정의, 지층의 생성, 퇴적암, 화석의 정의, 화석의 생성, 화석의 이용 등 다양한 내용으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 문항 유형으로는 선택형 보다는 서답형의 문항을 많이 개발하였다. 대부분의 예비 교사는 탐구 문항보다는 지식을 확인하는 문항을 위주로 개발하였다. 특히 Klopfer의 분류체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지식과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들이 대부분이었다. 수행평가에서는 지층과 화석 이라는 단원의 특성에 맞게 관찰을 바탕으로 하는 실험 위주의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 양성 과정에서의 평가 문항 개발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편성 및 기회 제공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It is very important for teachers to acquire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ability to develop an assessment item to determine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students learning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the evalu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be teacher in the future. For the study, stratum and fossil units were selected and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develop science and paper evaluation item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28 second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And they took a course on Science Education , which teaches the whol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grade, and was taking a course of Science education methodology to learn science teaching metho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second grade.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after learning basic knowledge about science and evaluation through science teaching methodology .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developed various contents such as definition of strata, formation of strata, definition of sedimentary rock, fossil, generation of fossil, use of fossil in content area. Also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a lot of items selection type rather than supply type.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items that confirm students knowledge rather than inquiry items. Especially, according to Klopfer s classification system, most items corresponded to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rea. In performance evaluation,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pre-service teachers had developed experiment oriented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observation consis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 stratum and fossil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organize curriculum and provide opportunit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in the process of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 특성; 과학학습 동기체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임성만 ( Sung Man Lim ),강원미 ( Won Mi Kang ),위수민 ( Soo Meen Wee ),양일호 ( Ii Ho 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SLBIS/ BAS(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행동활성화 체계)에 따른 과학학습 상황에서의 행동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 1학급에서 20명을 추출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현상학적인 연구 방법을 따랐다. 연구를 통해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L-BIS에 민 감한 학생들은 과학학습 상황에서``실험 결과에 대한 부정적 반응``,`` 실험 활동에 소극적임``,`` 침묵``,`` 단순 반복 질문``과 같은 행동 특성을 보였다. 둘째, SLBAS에 민감한 학생들은``실험 결과에 대한 긍정적 반 응``,`` 실험에 대한 도전 정신``,`` 학습지 작성에 열심``, ``구체적 질문을 많이 함``,`` 상호 보완적 모둠 실험 선호``와 같은 행동 특성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한 적이기는 하나 SL-BIS/BAS의 검사결과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학습 상황에서의 행동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을 질적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econd graders depending on SL-BIS/BAS (Behavioral Inhibition/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situation. For this study, 20 second grade students participated. This study follow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As the results show, students who have a sensitive motivation system to SL-BIS directly expressed their disappointment of the result and easily get distracted in class when they failed in science learning activity. They participated in group work passively, for example, they interacted less in the group or avoided answering questions. Even though the students have a lot of questions that were usually simple, empty or repetitive words, They have within themselves the good will of challenging difficult experiment that was their only expression of passive will,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be dependent on their friends in an experiment, making it unlikely that they preferred group work from the beginning. Otherwise, students who have sensitive motivation system to SL-BAS endured science learning activity to the end regardless of the negative result. In particular, they were enthusiastically working on home-school materials. When the students succeeded in the experiment, they responded to the cheers and openly expressed their feeling.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achievement. The students have more desire for in-depth activity. Their questions were more progressive, specific and expanded. They showed a strong desire to challenge difficult experiment and preferred to interact with their group members to help each other. Based on the results, they were limited but we could find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econd grade students in science learning situations can be predicted with a score of SL-BIS/BAS t.

      • KCI등재

        우리나라 역대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지구과학” 영역의 중심개념과 탐구활동 분석 및 차기 교과서 개선 방안 모색

        임성만 ( Sung Man L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초등과학교육 Vol.34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of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the ‘Earth Science’ area in the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o the current and to seek the improvement of future textbook. For the study, we were collected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o the current. After the collection had been made, we were analyzed related to the ‘Earth’ area in the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were extracted central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A change in the land’, ‘Strata and Fossil’, ‘Volcanoes and Earthquakes’, ‘Earth and Moon’, ‘The weather’,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 and ‘Seasonal Change’ in the central concepts related to the ‘Earth’ area in the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o the current. Second, central concepts were almost the same but the curriculum was changed. Third, inquiry activities also were confirmed to be maintained with little change. This result was believed that it can provide a variety of suggestions at this point in changing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