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이념과 실천의 의미

        임부연(Lim, Boo-Yeun),양혜련(Yang, Hye-Ry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4

        본 연구는 교육의 본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제공하고 있는 Schiller와 Dewey의 미학이론을 비교학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의 이념과 실천에 대한 의미를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미학편지』로 대표되는 Schiller의 미학이론은 근대성을 비판하고 절대적 가치를 가진 미를 강조함으로써 유아의 영성과 놀이, 예술에 대한 근원적인 의미를 되새겨 미적인간의 완성이라는 유아교육의 이념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경험으로서의 예술』 등에서 나타나는 Dewey의 미학이론은 일상적 경험과 미적 경험의 통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 원리를 바탕으로 유아의 모든 경험이 미적경험이 되어야 한다는 유아교육의 실천적 측면에 시사하고 있다. 이들의 미학이론은 유아교육에서 상실되어가는 이념의 회복과, 유아교육 현장에서 직접적이고 실천되는 심미적 교육의 가능성을 전망할 수 있도록 한다. 관념론적이고 가상적인 Schiller의 미적인간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Dewey의 미적경험은 매우 대비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미를 통한 교육이라는 공통분모를 공유함으로써 교육의 본질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eanings of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s through studying Schiller's and Dewey's aesthetic theories. According to Schiller's ideas mainly represented in Lett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he criticized modernism and emphasized beauty as an absolute value Schiller's ideas are reflected in the idea of the aesthetic ma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promoting children's spirituality and searching for the original meanings of play and arts. Dewey's aesthetic theories that are represented in Art as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have their roots on Pragmatism and they present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daily experiences and aesthetic experiences. Dewey's ideas imply the need of practical effo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make every experiences of the child aesthetic ones. With these two aesthetic theories, can we hope to recover the educational idea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expect that the aesthetic education can be realized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Even though these two theories have some opposing characteristics-Schiller's theory is idealistic and imaginary but Dewey's theory is specific and practical-they also have commonalities in the ideas of 'education through beauty' and hence they contribute to the essen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진정한 배움의 의미 탐구 :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중심으로

        임부연(Lim, Boo-Yeun),박수(Park, Su-Y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4

        인간에게 배움은 생존을 위한 도구일 뿐 아니라 진정한 인간되기의 중요한 여정이다. 특히 학교를 통해 경험하는 배움의 내용과 방법은 개인의 일생을 넘어 국가와 사회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행위라는 점에서 수많은 교육담론의 의제가 되어 왔으나, 배움기호론에 기반한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기호를 배움의 핵심으로 보는 들뢰즈의 생성 철학적 의견에 비추어 학교교육에서 배움이 무엇인지를 비평적으로 탐구해 보고자하며, 특히 인간의 경험, 기억, 시간과 진리 찾기의 여정을 통해 배움의 의미를 기호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들뢰즈의「프루스트와 기호들」에 나타나는 배움기호의 유형에 의해 진정한 배움의 의미를 한차원 심화시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들뢰즈의 배움이론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전 제된 진리를 재현하는 동일시 교육을 넘어서서 개인이 스스로 풍요로운 기호에 감응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주체의 내적역량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스스로가 풍부한 감응 능력과 사유하기를 통하여 진정한 배움 찾기와 인간되기의 여정에 들어설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학교교육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of true meaning of ‘learning’ in school system based on Deleuze’s sign-learning theory which is suggested in the book of「Proust et les signes」. Deleuze criticizes the limitations and even dangers of learning in current school system, which more likely educates the learner not to think by simply repeat the correct answer and representation of sign. His learning philosophy suggests the school should provides the various ways of provoke true learning that help one engage in her own thinking. In Proust’s book, Deleuze analyzes four types of sign of learning, that are sign of social skill, sign of love, sign of sense and sign of art. In this way, he suggests the school needs to overcome to educate students the signs with poor meaning that are nothing but empty, but try to more involve the richness of sign that is truly help the students engage to recall her past of time and wailingly to search for the truth of meaning in the loosed time. This study finally tried to discuss how to school reconstruct curriculum to help learners to develop her sense of capacity by encountering with rich sign, and then naturally provokes her thinking that is only path way to reach the true learning.

      • KCI등재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초한 아동미술교사의 역할

        임부연(Lim, Boo-Yeun),원미은(Won, Mi-E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2

        There are many perspectives to describe roles of a teacher and these perspectives also have many things to do with curriculum discourses. As it is, teachers for Children's Art Education are required more complex roles not only in teaching related with curriculum but also in living and loving artistic life. This study brought Aoki's curriculum theory which recognized as overcoming instrumental approach to curriculum, up to highlight on art teachers' role in teaching curriculum. Aoki's voice for both curriculum and roles of teachers are fresh, vital and aesthetic which ever described complicated teaching phenomena in heartbreaking poetic nuance.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 role of art teachers from Aoki's theory, which are 1) dwelling in the zone of between, 2) inspiriting the curriculum, 3) interpreting and reflecting curriculum, 4) improvising curriculum, 5) and living and loving artistic life. Then this study reinterpreted those five ideas into roles of art teachers, particularly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finally suggest that role of teachers particularly related to teaching art for children should always be awake, live and love 'arts' as existence life. 미술이 주체로서 존재론적 향유에 초점을 둔다면 미술교사는 '가르침'의 의미와 '예술적 향유' 모두를 고민해야 하며, 동시에 '교육과정'적 담론과 무관할 수 없는 복잡한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 교육과정이 가졌던 다소 경직된 구조주의적 담론을 벗어나서, 교사와 교육의 비인간화 현상에 주목하고 생명적 존재로서 교사와 교사의 삶, 그리고 살아있는 교육을 지향한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반하여 아동미술교사의 역할을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생명성의 관점에서 아동미술을 담당하는 교육적 존재(pedagogic being)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사이공간에 존재하는 미술교사, 미술을 '듣고·보는' 교사, 미술에 생명을 불어넣는 교사, 미술의 세계를 즉흥연주하는 교사, 예술적 삶을 사는 교사 등 5가지로 추출하여 이를 아동미술과 관련된 맥락 안에서의 논의를 통해 아동미술교육에서 '예술'적 가치를 놓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교육과정의 심미적, 철학적 본성에 충실한 미술교사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임부연(Lim Boo Yeun),전경미(Jeon, Kyeong-mi),김성숙(Kim, Sung-s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예술과 예술교육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알 아봄으로써 예술교육의 본래적 가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현직유아교사 11명을 반구조적 면담을 실시 하고, 이를 질적 연구 방법의 절차를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예술 및 예술적 경 험을 자주 접하지만 낯선 느낌을 가졌으며, 또한 예술 및 예술적 경험은 삶에 활기를 불어넣는 에너지 이며 유아의 마음과 가장 밀착된 감성체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예술교육에 대하여 유아교사들은 예 술과 예술교육에 대하여 달리 인식하고 있었고, 창의적 표현기법과 사회적 지식을 가르치기 위한 매개 로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예술교육의 어려움과 극복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생각을 통해 유아예술교육 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교육애를 드러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에서 예술과 예술교육의 가치 가 폭넓게 해석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the arts and arts education. Their related experiences were examined in an attempt to reach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genuine meaning and value of arts education in these early childhood settings. 11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qualitative study that implement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investigated considered the term “the arts” to be elusive and unfamiliar, though they were in contact with the arts in their daily routine life. The teachers mostly considered “the arts” a medium to teach creative expression and increase socialization. Finally the teachers’ interview about difficulties in arts education and its overcome expressed an educational love for arts education in their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ar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운영 실태

        임부연 ( Boo Yeun Lim ),정문옥 ( Moon Ok Jung ),오정희 ( Jung Hee O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참여한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일상적으로 실시하고 있었고, 예술경험 영역의 하위내용도 균형 있게 전개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교육경력에 따라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교사들은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운영함에 있어 여전히 높은 어려움과 요구도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참고자료의 한계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 학부모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예술경험 영역을 운영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예술경험을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체험 중심의 교사연수를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본질적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status of ‘Art Experience field’ in Nuri Curriculum as well. To collect the data, 217 teachers were surveyed and 10 from the teachers were chosen for teacher interview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ed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as daily routine activities generally and practiced the detailed contents of ‘Art Experience field’ variously. Nevertheless,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difficulties and needs in implementing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activities due to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limitative references and parents’ misunderstanding art experience. In order to implement ‘Art Experienc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e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social networking and experience oriented teacher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s the practical plans that can accomplish the intrinsic meaning of ‘Art Experience field’ should be sought.

      • KCI등재

        유아교사와 아이들의 ‘생명의식’ 성장에 관한 의미 탐구

        임부연(Lim Boo-Yeun),오정희(Oh J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생명의식은 인간의 자연적 본성이자 독특한 내적 의식을 보여주는 본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실에서 생명의식의 성장과 발현에 깊은 관심을 가져온한 교사와 아이들이 만들어 가는 생명의식의 특성을 현상학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수집된 자료를 해석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B유치원의 만 4세반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총 30회기 동안 비참여관찰과 담임교사면담, 연구자일지, 그리고 담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생명의식은 유아들의 독특한 생명인식 능력과 감수성을 이해하려는 교사의 깊은 고민과 노력 속에서 발현되어지며, 이 과정에서 보여 지는 생명과의 즐거운 교감이 유아들의 성장하는 생명의식을 나타내주는 한편 동료 교사들의 관심과 배려 속에서 그 힘을 얻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life'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hildren and teacher's efforts and practice of their ways of understanding of 'life' in real world. A concept of life has been understood as in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 because of its ambiguity. The teacher who believes its existence throughout children's mind, however, showed strong evidence that children are able to find, feel, and practice the concept of life in their minds. This study attempt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a concept of life by the 20, 4-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in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lassroom teacher, and the teacher's journ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are very confident about feeling and practic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daily activities, which often surprised the teachers even surprise and awe to their sense of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young children's and the teacher's sense of life grow out in a learning community which is only constructed with support and acknowledgements from each other and their peers.

      • KCI등재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 적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반응 연구

        임부연 ( Boo Yeun Lim ),이은교 ( Eun Gyo Lee ),오정희 ( Jung Hee O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이야기를 통해 세계를 만나고 통합된 전체로서 세계를 경험하는 유아들의 특성에 근거하여,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6개 주제의 조형활동을 개발하여 7주 동안 만 4세반 유아에게 시범 적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비디오 녹화, 면담, 연구자 일지 등을 주요 자료로 수집하여 유아들의 반응과 그 의미를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야기 속에 몰입되는 아이들, 조형 재료와 놀이하는 아이들,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아이들, 미적 충만감을 경험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은 유아들로 하여금 미적으로 충만한 만족의 상태에 이르게 하였으며 이를 즐기고 향유하는 과정에서 존재의 성장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기 조형활동의 새로운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ildren`s reactions appearing in process of applying the integral activities by using narratives, which i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meeting the world through stories and experiencing it by an integrated whole. For this purpose, first we developed art activities on six theme and applied them to children at the age of 4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for seven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ideo recording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field notes, that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s on children`s reactions and meaning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it showed children immersing in the story, playing with various materials, thinking and expressing creatively and experiencing aesthetic satisfying feeling. In conclusion, the integral art activities based on narratives make children cultivate their sense of beauty and promote the growth of the existence.

      • KCI등재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임부연(Lim, Boo-Yeun),양혜련(Yang, Hye-Ryeun),송진영(Song, J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실 공간에 대한 유아의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연구로서, 유아 교실 공간에서의 유아들의 활동에 대한 비참여 관찰과 유아 면담 그리고 교사 면담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교실공간은 유아들로 하여금 교실 공간에 적합한 몸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고 둘째, 교실 공간은 유아들에게 있어 기억의 저장소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셋째, 교실공간은 유아가 스스로 교실의 주체임을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실 공간은 유아들에게 무엇이든지 될 수 있는 무한한 변형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유아교실 공간이 단순한 물리적 영역을 넘어서 다층적인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서 의미를 생성해내는 구체적인 삶의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교실 공간 내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주체의 하나로 유아를 재인식함으로써 교실 공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전환이 요청되며, 다양한 미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교실 공간의 심미적 특성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s a phenomenological study, it aimed to understand the empirical meanings of classroom space in infant educational facilities; The researcher observed children’s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space,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m and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space performed roles in making children’s bodies appropriate for them. Second, the classroom space played roles in saving children’s memories. Third, the classroom space played roles in making children recognize themselves as the owner of the space. Fourth, the classroom space provided infinite possibilities of transforming infants into anything.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space with multiple characteristics beyond simple, physical areas, classrooms in infant educational facilities is related to specific situations of life to create meanings. Moreover, this study demanded teachers to change their awareness towards infant classrooms and proposed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of aesthetic properties of infant classrooms including a variety of aesthetic elements, by re-understanding infants as subjects who live their lives in the classroom space.

      • KCI등재

        유아교실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임부연(Lim Boo-Yeun),김성숙(Kim Sung-Sou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유아교실은 교사의 잘 짜인 일과표에 따라 기계처럼 움직이는 정적인 교실공간이 아닌 아이들이 웃고 울고 속삭이고 떠들고 살아가는 생명의 ‘터’로서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만들어 간다. 본 연구는 최근 교실문화를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는 교육학적 노력에 부응하여 유아교실의 다양한 문화적 양태들을 있는 그대로의 문화현상으로 밀착 관찰하였으며, 각기 상이한 교육철학을 가진 3개의 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반을 각각 선정하여 총 30회기동안 비 참여 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질적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학적 분석을 시도한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세 개의 유아교실은 매우 독특한 문화현상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규칙과 질서, 관계와 소통, 그리고 앎과 배움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들의 자기 조직적인 창조적 질서에 의해 끊임없이 반복하고 변화하는 의미 있는 교실문화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attempted an enthnographic study on 'classroom culture' in thre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hich have different pedagogy and philosophy such as national curriculum, Waldorf approach and Cooperative Child Care approach. Three 4-year-old classroom was selected from each institution for unanticipated observation for three months at each classroom. Data included videos, fieldnotes,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ach classroom has formed unique culture which is implici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tuned out that the different classroom culture was gained from each different teacher's belief and values. This study has focused particularly on the order and rule in space of classroom, and the speech and communication style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and the learning and teach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role and belief on play and teaching played very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classroom culture. Conclusively it needs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pay more attention on classroom culture which moves and makes progress everyday in rhythm of 'Chaos'.

      • KCI등재

        예술적 접근을 통한 유아과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임부연 ( Boo Yeun Lim ),손은경 ( Eun Kyung Son ),김성숙 ( Sung Sou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과학이란 예술이 내포하는 감각과 감성, 상상과 창의성, 심미성이 분리되지 않은 채 개념과 물리적 변화, 우주의 질서가 함께 통섭하고 융합되어 체험되는 매우 폭넓은 의미의 지식활동임에 근거하여, 다양한 예술적 특성이 가미된 유아과학 활동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에 기초한 각 4개의 과학 활동 주제를 선정하여 유아과학 활동계획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8명에게 시범 적용하여, 비디오촬영 및 관찰노트, 담임교사 면담 및 유아들의 작품 등을 자료로 수집하고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개발된 과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과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유아들은 예술적 접근을 통한 과학 활동을 재미있고 즐겁게 경험하면서 과학적 상상력과 감수성을 향상시켰고, 이전의 지루하고 단조로웠던 과학 활동시간이 기다려지고 기대되는 시간으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어, 예술적 접근을 통한 과학 활동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Science is the wide-ranging activity of knowledge in which one experiences physical changes and the order of the universe; which is not separated from elements of art - including senses, emotional sensibility, imagination, creativity, and aesthetic appreciation - but is integrated and fused with them. In this vein,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will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these artistic elements, and children`s responses to it will be studied. In order to the data included video, field notes, and interview with the classroom teacher.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children showed joy and playfulness in science activities more then they ever did, because the arts activities provided them with imagination, feeling, and aesthetic sense which more likely provoke children`s inner interests.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science activities through artistic approach are originally experienced together in human mind so they will be more likely be together when the teacher develop scienc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