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블링의 회화적 표현효과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박문희(Park Moonhee),임민정(Im Minj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대량화에 따른 최근의 기성복은 비슷한 디자인들이 제시됨에 따라 독창적인 디자인중 하나로 이용되는 것이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인이다. 현대 회화에 있어서 우연을 작품의 원리로 이용하고 있으며 무의식에 의한 우연성과 관련지어 마블링 기법은 회화적인 모티브가 될 수 있다. 최근 마블링 기법에 관한 선행연구는 현대 패션과 관련한 디자인 측면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내용과 표현의 다양성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없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블링을 모티브로 컴퓨터 CAD를 이용하여 20~30대 여성들을 타겟으로 하여 여성미와 활동성을 보여주는 실루엣으로 디자인하였다. 마블링은 두번 다시 복제할 수 없는 기법의 특성에서 독특한 문양으로 쉽고 다양한 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구성선을 탈피하여 계획된 절개선을 따라 모티브를 활용하면 회화적 표현에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마블링에서 보이는 우연성과 추상성의 회화적 표현기법은 소재의 독창적 개발에 훌륭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에서 창조적인 표현예술의 영역을 확대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는 디자인의 한 방향으로서 그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As the mass production of the modern ready-made clothes suggests a few similar designs a fashion design using paintings is studied as a way of creative designs. In modern paintings coincidentiality is being used as a principle of working and marbling technique can be a creative motive in terms of coincidentiality by unconsciousness. The preceding studies on marbling technique in modern fashion design are mostly on design side and need more interest in the diversity of creative expression. In this study the motive of marbling technique is selected and the computer CAD is used to design the silhouette to represent the feminine beauty and activity targeting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 distinctive irreplicable patterns of marbling could be used as a way of easy and diverse design motive. Also it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f we use motive along the planned incision line deviated from general lines. The abstractness and concidentiality of marbling techniques suggest a creativ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fash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o expand the role of creative fine art in fashion design to develop high-value product.

      • KCI등재

        니트웨어 혼합현상의 특성에 나타난 색채 연구

        박문희(Park Moon Hee),임민정(Im Minj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현대사회의 세계화와 문명의 발달로 혼합화 현상이 나타나며, 니트웨어에서도 혼합현상은 디자인의 확대로 이어지는 추세이다. 색채는 상품의 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가장 먼저 인지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2000∼2008년의 세계 4대 여성컬렉션의 횡편 니트 3∼8게이지의 931개의 자료를 선정, 니트웨어 혼합현상의 특성과 색채의 빈도로 색채를 분석하여 니트웨어 디자인 개발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니트웨어 혼합현상에 의한 색상의 빈도에서 시즌별 S/S는 YR(Yellowred), Y(Yellow), R(Red)의 순으로 나타났고, F/W는 Y, YR, R의 순으로 빈도수를 나타냈다. 색조에 있어서 S/S는 고명도의 연한 색조인 p(pale, 연한색조), ltg(light grayish, 연한 회색조)로 저명도의 연한 색조의 사용빈도가 높았고, F/W는 저명도의 어두운 색조인 dkg(dark grayish, 어두운 회색조), g의 빈도수를 나타냈다. 니트웨어 혼합현상의 특성에 나타난 색상의 빈도에서 시간의 혼합은 Y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으며. 상·하위문화의 혼합, 타소재의 혼합과 공간의 혼합은 YR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스타일의 혼합은 다른 현상에 비해 PB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남·여성의 혼합은 무채색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니트웨어 혼합현상의 특성에 나타난 색조의 빈도에 있어 상·하위문화의 혼합은 dkg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남·여성의 혼합은 무채색의 W(White)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공간의 혼합에서 S/S시즌은 p(Pale, 연한색조), F/W는 dkg, g(grayish)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전체적인 색상은 일반적인 의류의 YR, Y, PB계열 색상의 활용빈도가 높았던 결과에 비해 니트웨어에 나타난 색상은 PB의 활용빈도보다 R의 사용빈도가 높았다. 색조는 일반적인 의류와 같은 계절적 특성을 보였으나 시즌과 유행의 영향과도 상관없이 저채도의 p, ltg, dkg가 저채도가 가장 많이 쓰였다. Due to the globalization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culture development the mixture phenomena appeared and tends to expand into the design of knit wear. Color influenc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urchase of products and therefore color in the first perceived factor of design. This study analyzed color appeared in the frequency of mixture phenomena characteristics, the frequency of color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selected flat knit 3-8 gauge, 931ea data from the 4 big woman collections from 2000 to 2008. In col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phenomena, in S/S by season, was shown to be in order of YR(Yellowred), Y(Yellow), R(Red). F/W showed frequency number in order of Y, YR, R. The tone, S/S season showed frequency number of in order of p(pale), ltg(light grayish). In F/W, showed frequency number in order of dkg(dark grayish), g(grayish). I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color, the mixture of time showed higher frequency in Y. In the mixture of high·low class culture, the mixture of different material, and the mixture of space the color YR showed highest frequency. But in the mixture of style PB color showed higher frequency. In the mixture of man and woman sex acromatic color showed highest frequency. In tone, dkg showed highest frequency in the mixture of high and low culture. In the mixture of man and woman sex the achromatic W(White) showed highest frequency. In the mixture of space highly bright p showed high frequency in S/S season and dkg and g showed high frequency in F/W season. In col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phenomena, the frequency of Red was higher than that of PB, While YR, Y, and PB have been used more frequently in a general clothing market. Regardless of influence of season and vogue in S/S and F/W, p, ltg, dkg in low chroma were seen to be tones that are used the most.

      • KCI등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직장내 검진결과, 식단 및 운동량 모니터링이 직원들의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민성아(SungAh Min),이미준(MiJoon Lee),임민정(MinJung 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obile-based medical checkup, diet and exercise provided for employees by their self-monitoring on changes in their body composi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106 workers at a single company,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mobile monitoring before and after using SHP App for 100 day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Win 23.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ir body weight from 71.99±14.12 before self-monitoring health management using SHP App to 71.26±13.73 after using it (t=4.28, p<0.001).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BSA of their visceral fat from 75.64±29.31 to 72.73±28.65 (t=4.77, p<0.001).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ir body fat percentage from 18.36±6.38% before using SHP App to 17.64±6.07 after using it (t=3.39, p=0.001). As for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turned out that all variables had positive correlations after using SHP App.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mobile-based monitoring had partial effects on changes in the participants’ body composition of the participants who managed their health with it in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에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반으로 건강검진결과와 식사량 그리고 운동량 등의 모니터링이 체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모바일 모니터링에 참여를 원한 106명을 대상으로 약 100일간 사전과 사후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중은 SHP App 사용전 71.99±14.12에서 사용후 71.26±13.7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28, p<0.001). 둘째, 내장지방 체표면적도 75.64±29.31에서 72.73±28.6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77, p<0.001). 셋째, 체지방률의 경우는 SHP App 사용전 18.36±6.38%에서 사용후 17.64±6.0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3.39, p=0.001). 각 변수간 상관분석의 경우 SHP앱 사용후에는 모든 변수가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모바일 기반의 모니터링으로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한 참여자들의 체성분 변화에 일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