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음영상에서 로버스트 순위-순서 검정을 이용한 효과적인 에지검출

        임동훈,Lim, Dong-Hoon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1

        에지검출은 컴퓨터비전과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영상에서 효율적인 에지검출을 위해 이표본 위치 문제에서 월콕슨 검정의 대안인 로버스트 순위-순서 검정에 기초한 새로운 검출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delta$-에지모형하에서 $5\times5$ 윈도우의 부분 픽셀만으로 구성된 근방영역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제안된 에지 검출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영상과 인조영상을 가지고 영상실험을 통하여 얻은 에지맵과 객관적인 척도하에서 양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Edge detection has been widely used in computer vision and image processing. We describe a new edge detector based on the robust rank-order test which is a useful alternative to Wilcoxon test. Our method is based on detecting pixel intensity changes between two neighborhoods with a $r{\times}r$ window using an edge-height model to perform effectively on noisy images. Some experiments of our robust rank-order detector with several existing edge detectors are carried out on both synthetic images and real images with and without noise.

      • KCI등재

        영상에서 윈도우 배치에 따른 통계적 에지검출 비교

        임동훈,Lim, Dong-Hoon 한국통계학회 2009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6 No.4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에지검출을 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윈도우 배치(window configurations)하에서 통계학의 이표본 위치문제(two-sample location problem)에서 대표적인 Wilcoxon 검정과 T-검정에 기초한 에지검출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영상의 에지검출하는데 윈도우 배치 선택은 에지검출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 에지는 선택된 윈도우 배치 하에서 에지-높이 모수(edge-height parameter)를 사용한 에지 모형 하에서 두 근방 영역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함으로서 결정한다. 영상 실험에서 윈도우 배치에 따른 통계적 검정에 의한 에지검출 성능은 에지 맵(edge map)을 통한 정성적인 비교와 객관적인 척도하에서 정량적인 비교 그리고 CPU 계산시간까지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Wilcoxon test and T-test that are well-known in two-sample location problem for detecting edges under different window configurations. The choice of window configuration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and the expense of edge detectors. Our edge detectors are based on testing the mean values of local neighborhoods obtained under the edge model using an edge-height parameter. We compare three window configurations based on statistical tests in terms of qualitative measures with the edge maps and objective, quantitative measures as well as CPU time for detecting edg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장형 부정문의 생성과 ‘못’ 부정문의 분화

        임동훈 ( Lim Dong-hoon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는 부정문에 관한 세 가지 연구 질문에서 출발한다. 첫째, 한국어는 부정첨사가 동사 앞에 오는 형식의 단형 부정문이 있는데도 왜 비대칭 형식의 장형부정문이 존재하는가? 장형 부정문이 생성된 동기는 무엇이고 그 구조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어는 평서문, 의문문 안에서도 부정 표지가 ‘안’과 ‘못’으로 분화되어 있는데 이 둘이 분화된 기준은 무엇이고 분화 기준은 어떤 문법 범주와 관련되어 있는가? 셋째, ‘못’ 단형 부정문은 부정 표시 외에 열등 의미를 표시하는 중의성을 지니고 ‘못’ 장형 부정문에는 이러한 중의성이 없다. 왜 이러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이에 대한 본고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형 부정 구문은 부정소의 양화 초점이 동사구임을 유표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둘째, 장형 부정문은 복문이 아니라 단문이다. 셋째, ‘안’ 부정은 사태부정을 표시하고 ‘못’ 부정은 실현 부정을 표시한다. 부정소 ‘안’과 ‘못’은 상에 따라 분화되어 있다. 넷째, 실현부정은 열등 의미에서 발달하였다. 단형 부정에는 여전히 열등 의미가 잔존하여 있지만, 장형 부정은 부정의 양화 초점을 유표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므로 열등의 잔존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다섯째, 실현부정은 상황 유형에 따른 의미 변이를 보인다. This paper starts from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y does Korean have asymmetric long-form negation in addition to symmetric short-form negation? What is the syntactic structure of long-form negative sentences. Second, what is the dividing factor into two negative morphemes ‘an’, ‘mos’ in Korean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Third, while short-form ‘mos’ negation holds inferior meaning, long-form ‘mos’ negation does not have it. What makes this difference? As to three questions, this paper tries to answer as follows. First, long-form negative sentence is a marked device to indicate quantificational focus of negative morphemes. Second, long-form negative sentences are not complex, but simple sentences. Third, ‘mos’ negation represents event negation while ‘an’ negation represents propositional negation. Fourth, event negation developed from inferior meaning. Short-form negation holds persistent inferior meaning. But long-form negation does not have inferior meaning because its genesis is related with the need of indicating quantificational focus. Fifth, event negation has semantic shifts according to situation types which it attaches to.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체계적인, 너무나 체계적인

        임동훈(Lim, Dong-Hoon)(林東勳) 형태론 2011 형태론 Vol.13 No.1

        박재연(2006)은 양태 어미가 양태의 어떤 하위 영역을 가리키고 다른 양태 어미와 어떤 대립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어 양태 어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지나친 체계성을 추구한 나머지 이론 구성과 적용 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한국어 양태 어미 기술에서 서법이란 용어가 불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이는 인구어적 편견이 작용한 결과이며, 서법 범주는 동사의 굴절이라는 형식상의 기준보다 평서적인 것이나 단언적인 것과 대립하는 의미상의기준, 그리고 필수성과 상호 배타성이라는 분포상의 기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둘째, 양태를 정의할 때 소위 ‘화자의 주관적 한정’이 중요한 요소이긴 하나 이를 수행성으로 등치시키는 것은 양태 어미들이 종속절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또 동적 양태 대신 주어 지향적 양태의 개념을 채택하는 것도개체 내적인 속성․조건과 화자가 부여하지 않는 개체 외적인 속성․조건을 모두 포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행위 양태는 서술어로 동사가 아닌 계사나 형용사도 쓰일 수 있어 행위의 성격이 불분명하고, 또 문장 유형과 행위 양태를 가리는 기준이 자의적이다. 넷째, 인식 양태의 하위 영역으로 정보의 확실성에 대한 판단, 정보의 획득 방법, 정보의 내면화 정도, 청자 지식에 대한 화자의 가정이란 4가지를 제시하 였는데, 뒤의 두 가지는 앞의 두 가지와 그 지위가 동일하지 않다. 다섯째, ‘-더-’의인칭 제약을 ‘새로 앎’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으나 ‘새로 앎’의 의미가 있다고 기술된 ‘-구나’가 인칭 제약이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인칭 제약은 ‘과거 지각’이라는 의미에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여섯째, ‘-네, -구나’는 지각, 추론과 같은 증거성의 영역과 관련되고 ‘-지’는 기지 가정의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으나 ‘- 구나’의 경우에는 증거성의 의미를 찾기 어렵고 ‘-지’는 기지 가정으로 보기 어려운 예가 많고 제안이나 명령에 쓰이므로 타당한 기술이라고 하기 어렵다. J. Park (2006) aimed to systematically describe which subdomain the modal meanings of endings belong to and what kind of opposition they make. However, this book seemed to have some problems with respect to theory and its applications because of excessive systematicity. First, this book claimed that the term ‘mood’ is unnecessary in Korean; however, I think that this opinion results from Indo-European prejudices. In defining the mood category, the criteria of meaning and distribution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riterion of form such as verbal morphology. Mood as a grammatical category can express the meanings that contrast with declarative and assertive, and it should show the obligatoriness and mutual exclusiveness. Second, although a speaker’s subjective qualific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defining modality, the equation of this component with performativity has some problems. This claim does not explain the phenomenon that modal endings can appear in subordinate clauses. In addition, as the adoption of subject-oriented modality instead of dynamic modality cannot cover both the domains such as participant-internal modality and non-deontic participant-external modality. Third, action modality has two problems. The sentences where action modality is expressed may have adjective and copular predicates;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action modality and sentence type is arbitrary. Four, this book claimed that epistemic modality has four kinds of subdomain such as ⅰ) certainty ⅱ) information source ⅲ) assimilation ⅳ) hearer knowledge. However, the statuses of ⅲ) and ⅳ) are not the same as ⅰ) and ⅱ). Five, this book claimed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he ending ‘-te-’ derives from the new knowledge meaning of ‘-te-’.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nding ‘-kwuna-’ has no person constraint which is claimed to have the new knowledge meaning, it is more reasonable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e-’ derives from past perception meaning of ‘-te-’. Six, this book claimed that ‘-ney, -kwuna’ is related with the evidentiality domain such as perception, inference, and ‘-ci’ has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However, ‘-kwuna-’ does not have any evidential meaning, and ‘-ci-’ is frequently used in the context where the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cannot be found.

      • KCI등재

        개념어로 살펴본 현대국어 문법사

        임동훈(Lim Dong hoon,林東勳) 형태론 2014 형태론 Vol.16 No.2

        그간의 연구사는 언어 현상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언어 현상을 기술할 때 어떤 개념이 쓰였는지에 중점을 두는 연구사도 가능할 것이다. 이선웅(2012)는 개념어를 중심으로 현대국어 문법사를 종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는 이선웅(2012)의 주된 특징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더 나은 개념어 연구를 위해 사전으로서의 성격, 거시구조와 미시구조의 문제, 용어와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history has centered on the way how to deal with the linguistic phenomena. But it is conceivable for the research history to focus on the concept terms therein. S. Lee(2012)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puts together history of Modern Korean through the concept terms.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S. Lee(2012) and proposed the several improvements with respect to its nature as a dictionary, its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 KCI등재
      • KCI등재

        SAR 영상에서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스펙클 잡음제거 방법

        임동훈(Dong Hoon L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3

        SAR 영상은 스펙클 잡음의 승법(multiplicative) 특성으로 인하여 영상 분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렛 변환을 사용하여 SAR 영상의 스펙클 잡음을 제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잡음영상에 대해 로그를 취해 얻은 가법(additive) 잡음 영상에서 웨이블렛 분해 한 후 잡음 성분을 제거하고 원영상을 얻기 위해 지수형태를 취한다. 웨이블렛 변환에서 임계치 처리는 소프트 임계법을 사용하고 VisuShrink, SureShrink, BayesShrink 그리고 수정된 BayesShrink 방법으로 임계값을 선택한다. 영상실험을 통하여 이들 임계값 선택 방법들 간의 비교는 수정된 BayesShrink 방법이 다른 방법들보다 좋은 영상의 질을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PSNR 면에서 좋은 잡음제거 성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t is difficult to analyse images because of multiplicative characteristics of speckle noises in SAR images. In this paper, wavelet transform is proposed for restoring SAR images corrupted by speckle noise. The multiplicative noise is transformed into a form of additive noise and then the additive noise is denoised using wavelet thresholding selections such as VisuShrink, SureShrink, BayesShrink and modified BayesShrink. Experimental results on several test images show that the modified BayesShrink yields significantly superior image quality and better Peak Signal to Noise Ratio(PSNR).

      • KCI등재

        Software Reliability Model with Multiple Change-Points

        Dong Hoon Lim(임동훈),Dong Hee Kim(김동희) 한국통계학회 1994 응용통계연구 Vol.7 No.2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신뢰도 모형에서 다중 변화점을 고려함으로서 미래의 관찰치에 대한 예측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모형에서 프로그램 에러수의 최우추정량이 유한일 조건을 제시하고, 변화점 추정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제안된 모형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제 예제를 통하여 모형 성능을 평가한다. In this paper, we can see that software reliability model has been improved by considering multiple change-points. The condition for the existence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e of the initial error content of a program is given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s of multiple change-points are derived. We assess the performance of our multiple change-points model on numer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