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호종인 히 어 리의 자생지 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II. 순천(전남) 청소골 지역 히어리개체군의 분포특성 및 동태

        임동옥,정흥락,김종홍,황인천,김철환,이현우,Lim Dong-Ok,Choung Heung-Lak,Kim Jong-Hong,Hwang In-Chun,Kim Chul-Hwan,Lee Hyun-Woo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9 No.3

        전라남도 순천시 서 면 청소골 일대에 분포하는 히어 리개체군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를 조사하였다. 히어리개체군은 계곡부와 인접한산림 가장자리를 따라 대상으로 분포하였으며,북사면,북서사면 및 북동사면에만 분포하는 특이성을 보였다. 교목층이 형성된 삼림내에서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이루고 있으며,종조성에 있어서는 히어리가 분포하지 않는 인접지 역 삼림식생과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25\;m^2$당 평균개체수와 개체당 평균 맹아지는 각각 6.25주 및 3개로서 다른 지 역 에 비해 낮은 밀도를 나타냈으며, 이 지 역의 히어 리개체군이 쇠퇴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dynamic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ryjopsis coreana popujation at Cheongsogol, Sunchon, Cholanam-do, Korea, were investigated. The Coryiopsis coreana pop ulation was distributed along the forest edge and it showed characteristics which were distributed on only directional slopes of the north, northeast or northwest. The Coryjopsis coreana constituted subtree or shrub layer in the forest, and its floristic composition was basically similar to those of adjacent areas where the species does not exist. The number of stump was 6.25 per $25\;m^2$, and each stump had 3 sproutings in average. The density of the Corylopsis coreana population in the study area was lower than that in other area, which suggests the population is declining in the study area.

      • KCI등재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 III. 몇 개의 히어리 자연집단과 벌채집단 간 개체군 비교

        임동옥,황인천,정흥락,Lim Dong-Ok,Hwang In-Chon,Choung Heung-Lak 한국환경생태학회 200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0 No.2

        히어리의 자연집단과 벌채집단간의 비교는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접치재, 월등면, 황전면,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 5곳의 벌채지와 주변 자연림에 분포하는 히어리군락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100m^2$당 맹아수와 개체당 평균 맹아수는 벌채 집단에서 자연집단의 것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맹아수별 수고와 직경은 자연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종조성과 식생상관성은 없으며 벌채집단과 자연집단 모두에서 큰차이 없이 생육하였다. 개괄지인 벌채집단에서 근맹아 뿐만 아니라 실생묘로도 번식하였다. 이처럼 히어리는 환경적응력이 커서 인간이 훼손시킨 벌채집단에서 근맹아와 실생묘로 번식함으로써 종 자체의 소멸은 없고, 오히려 일시적인 교란이후에 개체군 확장을 보였다. The comparison of Corylopsis coreana populations between natural groups and deforestation groups is carried in five regions such as Seungju, Woldeung, Hwangjeon in Suncheon, Myeongseok in Jinju and Mt. Baegun in Pocheon. The number of sprouting per both $100m^2$ and each individual stump were appeared more in deforestation than in natural groups. In contrast, the height and the diameter of individuals by the number of sprouting are higher and larger in the natural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vegetation in the two groups of C. coreana populations was not appeared. Corylopsis coreana are propagated sprouting as well as seedling in deforestation groups located an opening area. Because of the powerful environmental adaptability through growth of the sprouting and the seedling in deforestation groups, the population of C. coreana are not extinction of species oneself, and on the contrary are showed expansion of C. coreana population after temporary disturbance.

      • KCI등재

        솔껍질깍지벌레에 의해 침해받은 한국산 곰솔의 2기목부에 있어 병리조직학적 연구

        임동옥,소웅영 ( Dong Ok Lim,Woong Young Soh ) 한국환경생물학회 199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2 No.1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xylem in the Pinus thunbergii infected by Matsucoccus thunbergiana appear as follows; Infection of young shoot causes bending toward the infested spot. The tracheid in infested tree was longer than that in noninfested tree. The ray in infested tree has larger number, longer height and much volume than that in noninfested ones. Even though the bast scales have mainly injured the parenchyma cells of the phloem, it also affects on the xylem to make trabecula, spiral thickenings and spiral ribs, and intercellular spaces. Particularly, secondary infection by fungi occurred in secondary xylem and finally lead the tree to death.

      • 전주시 소류지의 특정식물과 수질 및 이용실태 -오송제, 지시제, 성곡제, 구주제, 서은제, 황학제, 학소제-

        임동옥 ( Dong-ok Lim ),이승휘 ( Seung-hwi Lee ),오용택 ( Young-tak Oh ),지석인 ( Suk-in Ji ),이희천 ( Hee-ch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2 No.2

        본 조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상은 98과 310속 402종 52변종 7품종 1아종 462종류로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국립생물자원관(2011)이 지정한 한반도고유종은 눈주목, 외대으아리 및 할미밀망 등 총 10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식물종은 Ⅴ등급 종은 목련과 왕벚나무로 2종,Ⅳ등급종은 산복사, 측백나무 및 꽃창포 등 3종, Ⅲ등급종은 단풍나무, 탱자나무 및 노각나무 등 3종, Ⅱ등급 종은석창포, 주목 및 개고사리 등 3종 그리고 Ⅰ등급 종은 이팝나무, 회양목 및 거지덩굴 등 8종이 확인되었다. 전주지역소류지 7곳에서 부유식물은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으로 2분류군, 부엽식물은 마름, 애기마름 및 가는가래 등 6분류군, 침수식물은 말즘과 물수세미로 2분류군 그리고 정수식물은 고마리, 왕버들 및 논냉이 등 총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종은 총 45종류로 국화과가 노랑코스모스, 미국가막사리, 실망초 및 개망초 등 16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벼과로 메귀리, 큰김의털 및 들묵새 등 7종이, 메꽃과 4종, 현삼과 3종, 마디풀과, 명아주과, 십자화과, 콩과 및 바늘꽃과는 각 2종 그리고 자리공과, 석죽과, 비름과, 대극과 및 소태나무과 등은 각 1종씩 확인되었다. 환경부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 털물참새피와 물참새피 3종류가 출현하였다. 수질은 COD 기준으로 10이 초과되는 소류지는 구주제가 16.23, 성곡제 14.59, 황학제 13.79 및 오송제10.66으로 매우 나쁜 상태를 보였으며, 10이하인 소류지는 지사제 9.48과 서은제 8.65로 나쁜 상태이며, 학소제만 4.74로 보통상태였다. 소류지 생태공원 이용실태 응답자의 50%이상이 주 2회 이하로 방문하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생태공원을 이용함에 있어 가장 큰 이점이 약 50%의 응답자가 스트레스 해소 및 생활 활력의 증가를 꼽았다. 탐방객 중한 부류는 위락, 편의시설이 잘 구비된 곳보다는 불편하더라도 한적한 곳을 찾고 싶다는 응답자가 50%를 넘었다.

      • KCI등재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미선나무 아개체군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제언

        임동옥 ( Dong Ok Lim ),황인천 ( In Chon Hwang ),최현우 ( Hyon Woo Choi ),김용식 ( Yong Shik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3개 지역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인 미선나무 아개체군을 대상으로 생태적 특성 분석과 관리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다. 변산반도국립공원에 위치한 미선나무 아개체군 중 부안댐 제방하부 지역과 상서면 청림리 산록에 자생군락을 천연기념물 제370호로 지정한 반면, 가마소지역의 미선나무아개체군은 이식한 집단이다. 미선나무 아개체군 중 가마소 아개체군의 식생은 감나무, 오동나무 및 산뽕나무가 교목상이나, 부안댐 하부의 아개체군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미선나무 자생지인 청림리 아개체군은 미선나무를 제외한 관목이상의 목본수종을 모두 제거한 상태였다. 미선나무 아개체군에서 확인한 식물종은 65과 143속 164종 17변종 1품종 등 총 182분류군이며, 가마소 지역, 부안댐 제방하부지역 및 청림리 지역은 각각 75종, 102종 및 89종이다. 미선나무 아개체군 통향은 가마소지역과 부안댐 하부 자생지에서 맹아의 수가 1~2개인 개체가 87%이상이고, 나머지는 3개였으며, 총 개체 수는 각 766개체와 59개체였다. 반면, 청림리의 경우 맹아의 수가 1~2개인 개체가 74.8%, 3개는 16% 그리고 4~1l개가 9.2%로 총 838개체를 확인하였다. 교목을 인위적으로 제거한 미선나무 자생지에는 흰명아주, 돌소루쟁이, 미국자리공, 나팔꽃, 배풍등, 망초 및 개망초 등 귀화식물이 침입하였으며, 미선나무 어린 개체보다 성장이 빨라 미선나무를 피압한 상태이다. 미선나무의 자생지 보전을 위한 우선순위로 미선나무 단일종이나 수림 하에 분포하는 원 자생지의 모습 그대로를 유지하는 것이 서식지 관리에 바람직한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cused an ecolol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management of Abeliophyllum distichum subpopulation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Among three subpopulations of the target species in the studied area, Gamaso region are known as translocation site due to the dam construction while the wild populations which is located at both the lower terrain of the Buandaem bank and Chongnim-ni, which i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370, is threat due to an intensive site management likes clearance of scrub amongst the Abeliophyllum plants. Vascular plant taxa in the studied sites were summarized as 182 taxa; 65 families, 143 genera, 164 species, 17 varieties and 1 form, and Gamaso area, the lower terrain of the Buandaem and Cheongnim-ni areas are summarized as 75,102 and 89 taxa, respectively. The plant species likes persimmon tree, paulownia tree and wild mulberry tree are dominant species in the Gamaso subpopulation, while Quercus variabilis is dominant at the lower terrain of the Buandaem. The intensive site management was applied to the Cheongnim-ni subpopulation, one of the original wild habitats of the species. The population dymanics was varied; the one or two sprouting number of stems was over 87% both at Gamaso area and the lower terrain of the Buandam, while the Cheongnim-ni subpopulation recorded as 74.8%. Also three sprouting number recorded as 16% and as 9.2% for sprouting on numbers of four to eleven. The invaded species likes Chenopodium album, Rumex obtusifolius, Phytolacca americana, Pharbitis nil, Solanum lyratum, Erigeron canadensis and Erigeron annuus, were found at the wild habitat of the species, and those invaded species grow faster than Abeliophyllum plants. Among three habitats of the target species in the studied area, the habitat which in located at the lower terrain of the Buandam and Gamaso region are known as translocated due to the dam construction, and wild subpopulation at Chongnim-ni, which i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370, is under threatened due to an intensive site management likes clearance of scrub amongst the Abeliophyllumplants. It is one of the evidence that Cuscuta japonica at the population indicated an intensive site management likes clearance of scrub is not proper habitat management protocol. Thus,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follow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nopy removal and other disturbance factors as management techniques.

      • KCI등재

        태안해안국립공원 일대의 특정식물과 귀화식물

        임동옥 ( Dong Ok Lim ),제갈은기 ( Eun Key Chekar ),최현우 ( Hyun Woo Choi ),황인천 ( In Chon Hw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2

        태안해안국립공원 15개소 일대의 관속식물은 117과 326속 436종 49변종 6품종 2교잡종으로 총 49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해안과 주변의 섬을 포함하고 있는 지역으로 남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천선과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및 사스레피나무 등과 해안사구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해당화, 통보리사초 및 갯그령이 나타났다. 그리고 단풍나무, 사철나무 및 동백나무 등 낙엽활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합되어 분포하고 있어서 해안이라는 지역적인 특징과 중부아구와 남부아구의 점이지대로서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53종으로Ⅰ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순비기나무, 두루미천남성 및 큰천남성 등으로 41종이 확인되었고, Ⅱ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꽃창포 1종이 확인되었으며, Ⅲ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모감주나무, 솔장다리 및 굴거리나무 등으로 7종이 확인되었고, Ⅳ등급에 갯강활 1종, Ⅴ등급에 통발 1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도깨비가지, 미국자리공 및 달맞이꽃 등 17과 44속 51종 1품종으로 총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로 알려진 도깨비가지, 서양금혼초와 양미역취 등 3종은 물리적 제거와 같은 관리가 요망된다. The vascular plants of the 15 sites of Taeanhaean National Park were identified as 493 taxa; 117 families, 326 genera, 436 species, 49 varieties, 6 form, 2 hybrids. The National Park area includes coastal areas and islands, these islands reflects well the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coastal area and transition area of the middle province and the southern province. The study revealed that Ficus erecta Thunb., Machilus thunbergii S. et Z., Neolitsea sericea (Bl.) Koidz. and Eurya japonica Thunb. etc. were the mainly distributed species in the southern area while Rosa rugosa Thunb., Carex kobomugi Ohwi and Elymus mollis Trin., etc. were mainly distributed species over the coastal dune area. Deciduous and evergreens broad-leaved trees like Acer palmatum Thunb. ex. Murray, Euonymus japonica Thunb. and Camellia japonica L., etc. were all together distributed in Taeanhaean National Park. There are no any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not found.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recorded to a total of 53 taxa; that is, classⅠspecies (41 taxa) were containing as Vitex rotundifolia L. Fil., Arisaema heterophyllum Bl. and Arisaema ringins (Thunb.) Schott, etc, class Ⅱ species (1 taxon) were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class Ⅲ species (7 taxa) were containing;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Salsola collina Pall. and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etc, class Ⅳ species (1 taxon) were Angelica japonica A. Gray, class Ⅴ species (1 taxon) were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Makino) Tamur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 total of 52 taxa; 17 families, 44 genera, 51 species, 1 form; Solanum carolinense L., Phytolacca americana L. and Oenothera odorata Jacq., etc. Among them the ecosystem disturbance wild animals·plants was identified as Solanum carolinense L., Hypochoeris radicata L. and Solidago altissima L. The study suggests that these areas require management such as physical remove of this ecosystem disturbance field plants.

      • KCI등재

        북한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그 보전 대책

        임동옥 ( Dong Ok Lim ),김용식 ( Yong Shik Kim ),이희천 ( Hee Ch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2

        환경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종 중 Ⅳ등급 2종과 Ⅴ등급 종은 5종으로 총 7종이 확인 되었다. 멸종위기 Ⅱ급종은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1종이 조사 되었으며, 그 외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식물은 5종이었다. 북한산은 남부형 식물인 서어나무, 산딸나무, 때죽나무 및 초피나무 등의 북한계 선상에 위치하는 종들이 분포하는 국립공원으로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하며, 확인된 소산식물은 103과 362속 541종 87변종 10품종으로 총 638종류이었다. 귀화식물은 총 16과 52속 54종 4변종 58종류로 귀화율은 9.09%, 도시화지수는 20.21%로 나타났다. The Specific Plant Species such as Ⅳ degree (2 species) and Ⅴ degree (5 specie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re appeared as 7 species. Ⅱ degree species among Endangered species of wild flora is Abeliophyllum distichum, and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re enlisted as the five taxa. The Bukhansan is one of the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areas among national parks of Korea because this region is located in the northern limit of Southern Plant Types, such as Carpinus laxiflora, Cornus kousa, Styrax japonica and Zanthoxylum piperitum. The flora of the area was enlisted as 638 taxa, 103 families, 362 genera, 541 species, 87 varieties, and 10 forms. Naturalized Species was identified as 58 taxa, 16 families, 52 genera, 54 species and 4 varieties. The Ratio of Naturalized and Urbanization Index was 9.09% and 20.21%, respectively.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정도리 방풍림의 식생구조와 보전

        임동옥 ( Dong Ok Lim ),최현우 ( Hyun Woo Choi ),장정재 ( Jong Jae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1

        정도리 해안방풍림은 바다와 육지 사이에 위치하면서 육상 경작지나 어촌 마을을 보호하는 생태적 천이지역으로서 매우 중요한 곳이다. 정도리 방풍림 식생 중 해안가 갯돌밭 지역에서는 상동나무 망토군락을 이루며 그 안쪽에 광나무나 쥐똥나무가 아교목상으로 우점한다. 안쪽부분은 광나무-굴참나무군락, 광나무-덜꿩나무군락, 광나무-생달나무군락, 생달나무-개서나무군락 및 소나무-덜꿩나무군락으로 확인되었다. 정도리 방풍림은 교목층 평균수고는 10.3m, 평균흉고 직경은 30.3㎝로 인공 숲이지만 자연림에 가까운 이차림으로 생태학적인 보전가치가 높다. 명승 3호로 지정된 정도리 방풍림은 많은 방문객들로 인해 인위적인 간섭을 당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는 정도리 방풍림을 보전하기 위해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도리 구계등 갯돌의 문화적 가치와 숲의 자연성을 고려하여 장차 문화재청은 정도리 방풍림을 명승으로뿐만 아니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전해야 할 것이다.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s of Wando island, located between the sea and the land, are very important as ecological succession areas that protect cultivated lands and fishing villages. Among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s, the rocky seashore areas are occupied by Sageretia theezans mantle community, and their inner sections by sub-tree layers such as Ligustrum japonicum and Ligustrum obtusifolium.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ections of the rocky seashore areas were found to be the habitat of Ligustrum japonicum-Quercus variabilis community, Ligustrum japonicum-Viburnum erosum community, Ligustrum japonicum-Cinnamomum japonicum community, Cinnamomum japonicum-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Viburnum erosum community. The average height of tree layers of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s is 10.3m, and the average diameter at breath height are 30.3㎝. Though the windbreak forests was artificially made, it is now virtually natural forest and deserves protection for ecological reasons. Designated as a scenic spot 3, it is always in the danger of being damaged by frequent tourist visits. So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 needs to be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by the National Park Service. Considering of the precious cultural treasures of the famous pebble stones covering Gugyedeung and the naturality of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s,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s as a scenic spot have to designated as the national monument in future and will preserve by th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 KCI등재

        광주광역시의 보호수와 기후변화 취약성 및 대응

        임동옥 ( Dong Ok Lim ),제갈은기 ( Eun Key Chekar ),이희천 ( Hee Cheon Lee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9 No.3

        The legally protected trees distributed in Gwangju City is 68 individuals belong to 9 taxa. Among the legally protected trees recorded in environment white paper, Quercus dentata located in Gwangsan gu Eunnam dong Shinga village must come to correct Quercus liena, Populus nigra var. italica of Byeokjin village of Seo gu Byeokjin dong change to Salix glandulosa and Pinus densiflora of Sukjung dong, Nam gu should be alter into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IPCC make an estimate the mean temperature multiplies best 6.4℃ and sea level of 59 cm rises and is warning that the North Pole glacier may have melted mostly and 95% of bio species on earth may falls at extinction crisis on the late 21th century. If apply IPCC estimate result to evaluat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rough the legally protected trees of Gwangju City, it should be estimated that mean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of Gwangju City in the late 21th century result in higher than 3℃ as mean minimum temperature, January in Cheju Island at present. Therefore, it is estimate that the legally protected trees of Cheju Island such as Pinus thunbergii, Celtis sinensis, Aphananthe aspera and a evergreen broadleaf trees will grow up well in Gwangju City area in the late 21th century. The other hand, P. densiflora for. multicaulis and zelkova serrata as the legally protected trees that appear together in Seoul and Gwangju will be estimate by something to expose show vulnerability in region of Gwangju C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