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과 중국의 대 베트남 경쟁력 비교

        임규채(Kyu-Chae Lim) 한국무역학회 2016 무역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6

        이 연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시장에 대한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FTA체결에 따른 생산효과와 중국과의 경합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베트남의 주요 교역대상국이며 주력 수출품목이 유사하여 경쟁력이 갈수로 치열해지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베트남과의 FTA는 무역창출효과와 간접무역굴절효과는 나타났으나 무역전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중국제품은 모두 경쟁력이 있으나 우리나라는 약화되고 있고 중국은 강화되고 있어 최근 베트남시장에서 양국간의 경합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기업의 베트남시장 진출 전략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 원자재가격 상승이 대구 경북지역 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규채(Lim, Kyu Chae),류지수(Yoo, Ji soo)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12 영상저널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원자재가격 상승이 대구와 경북지역의 산업별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으며 농림수산품, 광산품, 음식료품 수입가격이 10% 상승할 때 지역의 업종별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농림수산품, 광산품, 음식료품 원자재 수입가격이 상승할 때 나타나는 물가변화는 대구와 경북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유형별로도 차이가 났다. 첫째,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수입가격이 상승할 때 대구는 주로 소비자물가와 수출물가 상승으로 이어졌고, 광산품은 생산자물가를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음식료품 수입가격 상승은 소비자물가, 농림수산품과 광산품은 생산자물가와 수출물가 상승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림수산품의 수입가격 상승은 대구의 농림수산품, 음식료품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 물가를 모두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음식점 및 숙박,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교육 및 보건업의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고,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제1차금속제품 등의 생산자물가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품 수입가격 상승은 대구와 경북지역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음식료품 수입가격 상승은 대구의 음식료품, 경북의 음식점 및 숙박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n increase in the raw material costs on the price level of Daegu Gyeongbuk region. For the study, we use the 2005 single-region I/O table. We look into the regional price effects of 10% increase in the import price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ning products", and "foods and beverages". The result shows that effects of import price increases differ between Daegu and Gyeongbuk, and among sources and industries. In case of Daegu, when the import price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foods and beverages" increase the consumer prices and export prices are greatly affected. The producer prices are affected biggest when the import price of "mining products" increases. For Gyeongbuk, the consumer prices increases greatly when the import prices of "foods and beverages". The ncrease of import price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mining products" have big impacts on the producer prices and export prices.

      • KCI등재

        대구 기계산업과 연계산업의 경쟁력 분석

        이성근(Seong-keun Lee),임규채(Kyu-Chae Lim),서준교(Jun-Gyo Seo)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4

        대구 기계산업이 대내외적 변화에 대응하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계산업과 연계산업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이에 기반한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구 기계산업과 연계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간 연계, 입지적 비교우위, 성장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기계산업은 2005년, 2010년, 2013년 산업내 전·후방연계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제품, 1차 금속제품, 도소매서비스, 금융 및 보험서비스 등에서 높은 전·후방연계효과를 보였다. 둘째, 이들 산업의 산출액, 취업자수의 입지적 비교우위분석결과 금속제품, 도소매서비스, 금융 및 보험서비스가 특화산업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제조업 부가가치의 성장요인분석에서 기계산업은 산업구조와 입지여건이 양호하여 집적이익이 실현될 수 있는 산업이고 경쟁우위에 있는 산업으로 나타났다. 기계산업의 연계산업인 금속제품은 양호한 산업구조에도 불구하고 입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구 기계산업은 국내에서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므로 연계산업인 금속제품, 도소매서비스, 금융 및 보험서비스 등과 동반성장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viewed main factors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as industrial linkage, locational comparative advantage, and growth factors and analyzed industrial linkage of machinery industry in the city of Deagu and its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city of Deagu"s machinery industries had the highest intra-industry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in the year of 2005, 2010, and 2013.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at there is high rate of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in metal goods, primary metal goods, wholesale and retail sales, finance and insurance service, and so on.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locational comparative advantage analysis to compare these industries’ outturn and employees and thus metal goods, wholesale and retail sales, and finance and insurance services were classified as a special industry. Thirdly, when a growth factor of value-added manufacturing studied, it was found that machinery industries are favorable in both industrial structure and location condition, which enhances agglomeration economies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Moreover, the study indicated that metal goods industry was favorable in industrial structure, but it was insufficient for standards of location condition. In summary, machinery industries in the city of Daegu are highly competitive domestically and regionally. In order to revitalize the machinery industry, it should accompany with metal goods, wholesale and retail sales, and finance and insurance services.

      • KCI등재

        대구 섬유산업과 기계산업의 연계구조 및 경쟁력 비교

        이성근(Lee, Seong-Keun),임규채(Lim, Kyu-Chae),서준교(Seo, Jun-Gyo)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4

        This study compared industrial linkage structures and competitiveness between the textile and machinery indust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Firstly, the study result indicated that the textile and machinery industries had the highest intra-industrial forward and backward linkages in 2005, 2010, and 2013. Moreover, it was shown that these industries were highly linked with the finance and insurance services and wholesale and retail sales industries. Secondly, locational comparative advantage of these industries showed that the textile industry and machinery industry were specialized in terms of output and number of employees. Thirdly, in terms of value-added manufacturing, it was found that the textile industries were favorable in location condition while they were vulnerable to industrial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study revealed that machinery industries were in a good state of both location condi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which enhances agglomeration economies. Lastly, it was found that both textile industries and machinery industries were internationally competitive. However, the textile industries’ competitiveness has continuously decreased. In summary, though textile and machinery industries have competitive advantag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y have factors that will hamper further economic growth. In order to facilitate the growth of these textile and machinery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have both inter/intra-industry linkage and accompanied growth. In addition, textile industries should promote creative industry, such as fusion textiles. Moreover, machinery industries should cultivate a global market rather than a domestic market.

      •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 발전과 공간구조 변화

        이성근 ( Seong Keun Lee ),나중규 ( Jung Gyu Na ),최영은 ( Young Eun Choi ),임규채 ( Kyu Chae Lim ),최용준 ( Yong Jun Choi ),이정미 ( Jung Mi Lee ),홍근석 ( Geun Seok Hong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3 한국균형발전연구 Vol.4 No.3

        최근 우리나라는 지역개발이나 정책에 있어 과거의 중앙정부 중심, 물적 성장 중심의 개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자립적 역량강화, 지역 간 연계협력, 융합화 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지 오랜 기간이 지났지만 자치기반이 취약한 지방과 수도권 간 불균형은 여전히 심화되고 있어 수도권 집중과 지역 간 불균형발전의 문제는 동시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난 수십년간의 균형발전과 분권을 위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집중과 지역 간 불균형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으로 정부는 국내외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지역발전의 패러다임에 직면하여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에 토대를 둔 지역 주도의 자립적 지역발전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 간 격차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고 지역간 격차 지표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간 격차를 인구 및 경제, 산업 및 R&D, 교육 및 문화로 구분하여 각각의 지표들의 수도권과 지방간의 격차를 파악하고 최근의 공간구조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Due to vulnerable autonomous systems, imbalanced development gets worse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local self-government began in South Korea.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degree of regional disparities, an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in order to improve indicators of development gap. First of all, the indicators which show the degree of regional dispariti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population, economy, industry, R&D, education and cul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the Capital still remains high while other regions show decline in population. Particularly, in Daegu-Gyeongbuk Region, Dongnam Region and Honam Region, net movements in population to the Capital get higher. In the Capital, 49.5%of the total manufacturing sector and 58.2% of the medium-size business which employs more than 300 people are concentrated. Moreover, the imbalanced development perpetuated as 45.8% of university students lives and 56.1% of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are located in the Capital. There is also a larg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due to lack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the Non-Capital Regions. Such gaps between the Capital and the Non-Capital Regions can be seen in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 The population of large cities in the Capital accounts for 59% of the large cities in the whole country. This has led to stagnated or declined population in large cities in the Non-Capital Regions. Furthermore, Hub & Spoke-type system for regional development, which connects small-sized cities with large cities to form a metropolitan region, may have caused further gaps between metropolitan regions and mid to small-sized cities or agricultural reg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balanced development can be achieved by giving to the Non-Capital Regions differentiated functions from which the Capital 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