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말백합의 연령별 여과율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임경훈,장규상,김인수,이정호,신현출,Lim, Kyeong-Hun,Jang, Kyu-Sang,Kim, In-Sou,Lee, Jeong-Ho,Shin, Hyun-Chool 한국패류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4 No.3

        본 연구는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의 기초 생리, 생태학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온 및 염분의 변화가 이들의 여과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말백합은 전라북도 김제시 거전리 갯벌에서 채집하였고, 먹이생물은 Phaeodactylum tricornutum(KMCC B-128)을 실내에서 단일종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여과율 측정은 Coughlan(1969)의 간접측정법을 사용하였다. 먹이생물의 농도는 혈구계산판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하에서 직접 계수하였다. 전체적인 실험과정은 Shin and Lim(2003)과 동일하였다. 수온별 말백합의 여과율 변동의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25-30^{\circ}C$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여과율을 나타내었고, 전반적으로 $5^{\circ}C$에서 최소 여과율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염분별 말백합의 여과율 변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20-35 psu의 염분구간에서 비교적 높은 여과율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연령별 여과율 변동의 경우 대체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건중량당 여과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Q_{10}$ 값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은 수온 구간($5-15^{\circ}C$)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filtration rate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The filtration rates of hard cla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both water temperature and age group (two-way ANOVA, p < 0.001). The filtration rate of all the hard clams, aged from 1 to 4 years, was generally reduced in low temperature range ( $5-15^{\circ}C$).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the filtration rate increased exponentially. The filtra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in $20-30^{\circ}C$ water temperature range, but rapidly decreased again at around $35^{\circ}C$. Variations in the data for filtration rates of hard clams, relative to age and changing water temperature, were used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coefficient $Q_{10}$ in each water temperature range. In $5-15^{\circ}C$ temperature range, every age group showed the highest $Q_{10}$ figure. It was found that on the whole, the higher the water temperature was, the lower the number of $Q_{10}$ was. Regardless of age, the number of $Q_{10}$ was higher in the lower water temperature range. In $25-35^{\circ}C$ temperature range, the number of $Q_{10}$ was less than 1.00 in all age groups, implying that this is the range in which the filtration rate decreased. Variations in the filtration rate also showed very clear differences (two-way ANOVA, p < 0.001) according to changing salinity and age. All the age groups, from 1 to 4 year olds, showed low filtration rates at both low salinity (10-15 psu) and high salinity (40 psu). The highest filtration rate was recorded at 30 psu, and relatively high filtration rates were found around 30 psu. However, the Student-Newman-Keuls post hoc multiple comparison test found that the hard clams in the 1-year group showed high filtration rates in a relatively narrower salinity range compared to those in the 2, 3, and 4 year groups. In other words, hard clams in the 2, 3, and 4 year groups showed high filtration rates at higher levels of salinity.

      • KCI등재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임경훈,신현출,윤성명,고철환,Lim, Kyeong-Hun,Shin, Hyun-Chool,Yoon, Seong-Myeong,Koh, Chul-Hwan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1

        본 연구는 1998년 5월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진해만 저서환경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진해만 내에 모두 67개 정점을 선정하여 퇴적물 입도 조성과 저서동물상을 조사하였다. 주요 표층 퇴적상은 silty clay, clay로 지역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전체 저서동물의 평균 서식밀도는 984개체/$m^2$이었고, 총 255종이 채집되었다.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은 다모류로 총 90종이 채집되었고, 평균 773개체/$m^2$의 서식밀도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진해만의 서쪽 해역은 저서동물상이 빈약한 반면, 만 입구와 가덕도 사이의 수로역은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다모류, Lumbrineris longifolia(16.9%), Tharyx sp.(6.7%), Chone teres(4.7%), Glycinde sp.(4.2%), 이매패류 Theora fragilis(4.0%), 갑각류 Corophium sp.(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동쪽 입구 수로역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였다. 종 조성과 출현개체수에 근거한 집괴분석의 결과 진해만은 모두 3개의 정점군, 즉 마산만 입구역과 진해만의 서쪽 해역(정점군 A), 만의 중앙해역(정점군 B), 가덕도와 거제도 사이의 외해역(정점군 C)으로 구분되었다. 3개 정점군 중 진해만의 서쪽해역을 포함하는 정점군 A의 저서동물 출현종수 및 평균서식밀도가 가장 낮았고, 만 중앙해역인 정점군 B가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섭식유형군별 출현비율에 의한 BPI값과 유기물 집적에 대한 내성/민감도에 근거하여 구분한 생태그룹별 출현비율에 의한 BC값은 서로 유사한 경향이었다. 두 지수 모두 내만역에서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고, 비교적 유속이 빠른 동쪽 입구 수로역과 외해역에서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진해만의 저서동물 서식밀도는 과거에 비해 큰 변화가 없거나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진해만에서 출현한 상위 우점종의 종조성은 과거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오염지시종이나 기회종의 출현비율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BC값에 근거하여 진해만을 오염 구배에 따라 구분해 본 결과, 유속이 빠르거나 외해의 영향을 받는 일부 해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역이 모두 중간정도의 오염 지역(meanly polluted site)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일부 내만역의 오염도는 심각한 수준(heavily polluted site) 이었다.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ollution us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community and environmen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Jinhae Bay, May of 1998. In Jinhae Bay,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was investigated on the base of the samples from 67 stations. The main facies of the surface sediment was silty clay and clay.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ic animals were 255 species and 984 $ind./m^2$, respectively. There were 90 species and 773 $ind./m^2$ of polychaetes as the most major faunal group in Jinhae Bay. At the region between the eastern mouth of Jinhae Bay and Gadeok Is., the species number and density were higher, while lower at the western area of Jinhae Bay. The most dominant benthic macrofauna in Jinhae Bay was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16.9%), and followed by polychaetes Tharyx sp.(6.7%), Clone teres(4.7%), Glycinde sp.(4.2%), bivalves Theora fragilis(4.0%), crustaceans Corophium sp.(4.0%) and so on. The most of the predominant species appeared mainly on the region between the eastern mouth of Jinhae Bay and Gadeok Is.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macrobenthic faunal composition showed that Jinhae Ba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tion groups: The western Jinhae Bay(Station group A), the mouth of Jinhae Bay(Station groupe B), and offshore area between Gadeok Is. and Geoje Is.(Station group C). The mouth of Jinhae Bay had the highest mean species number and the mean density, and its important species was Lumbrineris longifolia. The offshore area between Gadeok Is. and Geoje Is. had medium mean species number and the mean density. The western Jinhae Bay had the lowest mean species number and the mean density. The distribution of BPI and BC values, used to assess benthic pollution, showed similar patter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proposed by Borja et al.(2000), the stations of the western inner-bay were heavily polluted sites, the stations between mouth of the bay and the offshore area were slightly polluted sites, and the stations of the other area were meanly polluted sites. Benthic community healthiness of the western Jinhae Bay was classified to 'Transitional to pollution' by BC values. The degree of pollution in Jinhae Bay may have extended gradually from the western Jinhae Bay to the mouth of the bay.

      • KCI등재
      • KCI등재
      • 신안군 지도 인근 해역의 저서다모류군집 분포

        임경훈(Kyeong Hun Lim),박정준(Jung Jun Park),최민호(Min Ho Choi),정선애(Sun Ae Jeong),신현출(Hyun Chool Shin),조현서(Hyeon Seo Cho),이정식(Jung Sick Lee),곽인실(Inn Sil Kwak)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6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4 No.2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macro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around Sinan-Gun,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n investigation on the macro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study area was conducted in April of 2005. In the study area,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was investigated on the base of the samples from 15 stations.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ic animals were 283 ind./㎡. There were 39 species and 144 ind./㎡ of polychaetes as the most major faunal group in the study area. At the region between Saok Is. and Ji Is., the density were higher, while lower at the other area of the study area. The most dominant benthic polychaetes in the study area was Pseudopolydora sp.(21 ind./㎡, 14.9%), and followed by unidentified Spionids(13 ind./㎡, 9.3%), Terebellides horikoshii(12 ind./㎡, 8.1%), Lumbrineris longifolia(11 ind./㎡, 7.9%), Heteromastus filiformis(9 ind./㎡, 6.0%), Tharyx sp.(9 ind./㎡, 6.0%) and so on. The most of the predominant species consist of an opportunistic species. Though the density of a common opportunistic species is often very high in the coast of Korea but it is not like that in the study area. The distribution of BPI and BC values, used to assess benthic pollution, showed similar patterns. BPI values were lower and BC values were higher around Ji I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of benthic community around Ji Is. was unstable. However, it is insufficient in investigation of once in order to examine the complex benthic community system. Consequently, much more research is needed to further examine the marine benthic communtiy.

      •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기관계 구조에 미치는 카드뮴의 장기노출 영향

        박정준(Jung Jun Park),임경훈(Kyeong Hun Lim),박정채(Jeong Chae Park),정선애(Sun Ae Jeong),곽인실(Inn Sil Kwak),조현서(Hyeon Seo Cho),신현출(Hyun Chool Shin),이정식(Jung Sick Lee)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6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5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histological changes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exposed to cadmium. Mantle of the equilateral venus showed desertion of cilia in the early stage of exposure to cadmium, separation of fibromuscular layer and outer epidermal layer, extension of hemolymph sinus, disappearance of striated border and desertion of epithelium. In the gill, it was showed extension of hemolymph sinus in the early stage of exposure, increase of acid mucous cell and decrease of neutral mucous cell, desertion of cilia, separation of filaments, increase of acid mucous cell and disappearance of epidermal layer. Labial palp showed extension of hemolymph sinus, desertion of cilia, decrease of acid mucous cell, desertion of epithelium and disappearance of epidermal layer. Siphon was observed extension of hemolymph sinus in the early stage of exposure, activation of mucous cell, cutted muscle fiber bundle and disappearance of epidermal layer after desertion of epithelium. The equilateral venus just before death was impossible to be recovered to normal condition in mantle cavity organs, the longer of exposure time and the higher of concentration of cadmium. Above mentioned, the functional impediment was considered to occur by the histopathological conditions.

      • 탄도만 갯벌의 저서동물 군집

        신현출(Hyun Chool SHIN),임경훈(Kyeong Hun LIM)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3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2 No.-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ec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tidal flats in Tando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Macrobenthic communities were studied at 16 stations and 2 transects on the Tando tidal flats, during June 2003. 14 sampling stations with an 100 m (GY line) or 200 m (SH line) interval were chosen in each tidal flat transect. Duplicate macrobenthos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can corer (10×25 ㎝) at each st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Total number of species in Tando tidal flats were 88 species, with a mean density of 6282 ind./㎡. There were 43 species of polychaetes (48.9%), 22 species of molluscs (25%), 19 species of crustaceans (21.6%), in Tando tidal flat. Molluscs were represented as a dominant faunal group in Tando tidal flat with a mean density of 4991 ind./㎡, comprising 79.5% of the total benthic animals. This result is because of Molluscs, Musculus senhausia appeared almost quite plentifully from all station. Major dominant species in the Tando tidal flat were Molluscs Musculus senhausia, Laternula anatina, Crustaceans Amphipoda spp., Ilyoplax dentimerosa, Polychaetes Lagis bocki, Cirriformia tentaculata, Heteromastus filiformis, Glycera chirori, Lumbrineris longifolia whose mean densities were 4783, 66, 215, 111, 146, 91, 100, 78, 64 ind./㎡,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faunal composition showed that Tando tidal flat could be divided into two station groups.

      • 어도개보수를 통한 하천 어류다양성 증진 효과 분석

        박구성 ( Park Ku Sung ),임경훈 ( Lim Kyeong Hun ),김재구 ( Kim Jai-k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에 취수목적을 위해 건설된 보는 상·하류간 생물의 이동 단절 및 하천 서식처 환경의 변화 초래하였고, 어류의 서식지 분포가 단순화 되었다. 하천생태계 연속성확보를 위해 어류 이동을 위한 어도(fishway)를 설치하고 있으나, 전국 하천에 설치된 보 중 정상상태 어도 설치율은 약 15%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이 중에서도 약 66%가 파손, 퇴적 등의 문제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도개보수는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상실된 어도의 기능을 회복시켜, 보 상·하류간 어류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6개소에 대해 실시하였다. 개보수된 어도가 어류 다양성 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어도 개보수가 완료된 39개 지구에 대해 어류 소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어류 종수, 개체수, 어획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는 연2회 이상, 어도 출구부에 트랩 또는 낭장망을 24시간동안 설치하여 어도를 이동하는 어종 및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결과, 총 13과 51종 4,459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 어류 중 은어가 2,533개체 56.8%의 상대풍부도로 우점 하였고, 피라미가 609개체로 13.7%의 상대풍부도로 아우점 하였으며, 그 외 참갈겨니, 긴몰개, 돌고기, 칼납자루, 버들치 등이 확인되었다. 초기 어도개보수지구(2014년) 8개소에서는 어도 개보수 전에 비해 개보수 후(2019년) 평균 77개체(총 2,454개체/8지점/4회)로 약 3.2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보수가 완료된 후 어도 소상 어종 및 개체량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개보수 된 어도는 어류의 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를 통한 지속적인 어류의 이동은 단절된 하천 생태계의 회복 및 건강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어도개보수를 통한 하천 어류다양성 증진 효과 분석

        박구성 ( Park Ku Sung ),임경훈 ( Lim Kyeong Hun ),김재구 ( Kim Jai-k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에 취수목적을 위해 건설된 보는 상·하류간 생물의 이동 단절 및 하천 서식처 환경의 변화 초래하였고, 어류의 서식지 분포가 단순화 되었다. 하천생태계 연속성확보를 위해 어류 이동을 위한 어도(fishway)를 설치하고 있으나, 전국 하천에 설치된 보 중 정상상태 어도 설치율은 약 15%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이 중에서도 약 66%가 파손, 퇴적 등의 문제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도개보수는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상실된 어도의 기능을 회복시켜, 보 상·하류간 어류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6개소에 대해 실시하였다. 개보수된 어도가 어류 다양성 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어도 개보수가 완료된 39개 지구에 대해 어류 소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어류 종수, 개체수, 어획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는 연2회 이상, 어도 출구부에 트랩 또는 낭장망을 24시간동안 설치하여 어도를 이동하는 어종 및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결과, 총 13과 51종 4,459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 어류 중 은어가 2,533개체 56.8%의 상대풍부도로 우점 하였고, 피라미가 609개체로 13.7%의 상대풍부도로 아우점 하였으며, 그 외 참갈겨니, 긴몰개, 돌고기, 칼납자루, 버들치 등이 확인되었다. 초기 어도개보수지구(2014년) 8개소에서는 어도 개보수 전에 비해 개보수 후(2019년) 평균 77개체(총 2,454개체/8지점/4회)로 약 3.2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보수가 완료된 후 어도 소상 어종 및 개체량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개보수 된 어도는 어류의 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를 통한 지속적인 어류의 이동은 단절된 하천 생태계의 회복 및 건강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어도개보수를 통한 하천 어류다양성 증진 효과 분석

        박구성 ( Park Ku Sung ),임경훈 ( Lim Kyeong Hun ),김재구 ( Kim Jai-k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에 취수목적을 위해 건설된 보는 상·하류간 생물의 이동 단절 및 하천 서식처 환경의 변화 초래하였고, 어류의 서식지 분포가 단순화 되었다. 하천생태계 연속성확보를 위해 어류 이동을 위한 어도(fishway)를 설치하고 있으나, 전국 하천에 설치된 보 중 정상상태 어도 설치율은 약 15%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이 중에서도 약 66%가 파손, 퇴적 등의 문제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도개보수는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상실된 어도의 기능을 회복시켜, 보 상·하류간 어류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6개소에 대해 실시하였다. 개보수된 어도가 어류 다양성 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어도 개보수가 완료된 39개 지구에 대해 어류 소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어류 종수, 개체수, 어획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는 연2회 이상, 어도 출구부에 트랩 또는 낭장망을 24시간동안 설치하여 어도를 이동하는 어종 및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어도 어류소상 조사결과, 총 13과 51종 4,459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 어류 중 은어가 2,533개체 56.8%의 상대풍부도로 우점 하였고, 피라미가 609개체로 13.7%의 상대풍부도로 아우점 하였으며, 그 외 참갈겨니, 긴몰개, 돌고기, 칼납자루, 버들치 등이 확인되었다. 초기 어도개보수지구(2014년) 8개소에서는 어도 개보수 전에 비해 개보수 후(2019년) 평균 77개체(총 2,454개체/8지점/4회)로 약 3.2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보수가 완료된 후 어도 소상 어종 및 개체량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도개보수사업을 통해 개보수 된 어도는 어류의 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를 통한 지속적인 어류의 이동은 단절된 하천 생태계의 회복 및 건강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