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삼의 지용성 추출물 투여가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동청(Dong Chung Kim),황우익(Woo Ik Hwang),인만진(Man-Jin In),이성동(Sung Dong Lee) 고려인삼학회 2008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2 No.1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2개월 및 6개월 동안 암환자에게 복용시킨 결과, 인삼의 지용성 성분은 CD4/CD8 비율과 자연살해세포의 수를 정상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암환자의 면역기능 유지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2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의 87.5%에서, 6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의 50%에서 암환자의 종양수치가 낮아지거나 정상범위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6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에서 간 기능을 나타내는 GOT, GPT 및 ALP 수치와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BUN과 creatinine 수치도 역시 정상 범위로 유지되어 인삼의 지용성 성분의 장기 복용이 간과 신장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암환자들의 면역성 강화, 간·신장 기능을 유지 및 개선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됨으로써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암환자의 식이 및 항암보조제로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지만 본격적인 임상실험의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므로, 이를 바탕으로 대단위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본격적인 추가 임상실험 연구를 수행하여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암환자의 항암 및 면역기능 강화에 효과가 있음을 임상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was administered by oral route in doses of 600 ㎎/patient daily in cancer patients over 2 months and 6 months. The administration of ginseng extract in cancer patients maintained the ratio of CD4/CD8 and number of the natural killer cell 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administration period. Also its administr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umor values in 87.5% of patients in 2 month-group and in 50% of patients in 6 month-group, as determined by various cancer markers. Liver and kidney functions maintained normal condition during administration period of 6 month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data suggest that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may be useful as an adjuvant therapeutic agent and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improvement of immune function and health in cancer patient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s for the research in which the antitumor and immunopotential activity of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for cancer patients are evaluated in formal clinical trial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ient number.

      • KCI등재

        인삼박 n-Hexane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암 활성

        인만진 ( Man Jin In ),채희정 ( Hee Jeong Chae ),김동청 ( Dong Chung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7 No.3

        인삼 추출물 제조 부산물인 인삼박의 지용성 성분을 n-hexane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인삼의 n-hexane추출물과 비교하였다. 인삼박의 hexane 추출물(HEGM)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88.8 mg/100 g으로, 인삼의 hexane 추출물(HEG)의 82%를 함유하고 있었다. HEGM의 DPPH 유리 라디칼 소거활성은 IC50이 2.07 mg/mL이었고,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HEG가 농도에 비례하여 인체 폐암세포(A549, GI50 =20.0 μg/mL)와 대장암세포(SNU-C4, GI50 = 37.0 μg/mL)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과 동일한 양상으로 HEGM도 폐암세포(GI50=34.0 μg/mL)와 대장암세포(GI50 =45.2 μg/mL)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박에서 얻어진 HEGM이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 lipid-soluble extract in ginseng marc was preparedby n-hexane extraction to evaluate its antioxidant and anticancerpotential. A hexane extract of ginseng marc (HEGM) possessed a2, 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which was related to the amount of total phenolics. Also, HEGMshowed a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human non-small cell lungcancer (A549, GI50=34.0 μg/mL) and colon cancer (SNU-C4, GI50=45.2 μg/mL) cells proliferation in vitro in a concentrationdependentmanner as did the hexane extract of ginseng with GI50values of 20.0 μg/mL in A549 and 37.0 μg/mL in SNU-C4. Theseresults imply that HEGM can be utilized as an antioxidant andanticancer substance.

      • KCI등재후보

        클로렐라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박민경(Min-Kyung Park),이재민(Jae-Min Lee),박찬현(Chan-Hyun Park),인만진(Man-Jin 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2

        생리 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클로렐라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클로렐라 설기떡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 및 적정 제조조건을 알아보았다. 클로렐라 설기떡은 첨가되는 물의 양을 15%와 20% 수준으로 나누고 클로렐라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0%, 0.2%, 0.5%, 1%) 제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계적 조직감의 검사 결과, 15%의 물을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할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클로렐라 첨가군에서 경도, 씹힘성, 파쇄성 등이 증가하고 부착성이 감소하여 조직감이 감소하지만, 20%의 물을 첨가하여 만든 설기떡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클로렐라 첨가군에서 경도, 씹힘성, 파쇄성 등이 감소하고 응집성, 부착성 등이 증가하여 조직감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24시간 저장 후에도 대조군에 비해 좋은 조직감을 유지하였다. 클로렐라 설기떡을 제조한 후 중량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클로렐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설기떡의 중량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클로렐라 첨가에 의해 설기떡의 수분 보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색도측정 결과 클로렐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 값은 감소하고 a 값은 음(-)의 값이 커져 녹색이 강해짐을 알 수 있었다. 20%의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클로렐라 설기떡의 관능검사 결과 클로렐라 첨가에 의해 경도와 색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1%의 클로렐라를 첨가할 경우 향과 종합평가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 steamed rice cake, with chlorella powder (chlorella sulgidduk) were evaluated. Chlorella sulgidduk was prepared in the different ratio of chlorella powder (0, 0.2, 0.5 or 1%, w/w) and water content (15 or 20%, w/w). In mechanical texture characteristics,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were higher in 15% water content chlorella sulgidduk and lower in 20% water content chlorella sulgidduk than in the absence of chlorella (the control sulgidduk), wherease 20% water content chlorella sulgidduk had a significantly higher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values (p<0.05) compared with control sulgidduk. After 24 hours storage at 25℃, the good texture characteristics were maintained in 20% water content chlorella sulgidduk. In sensory evaluation, the most favorit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shown in the sulgidduk with 0.2 and 0.5% chlorella powder.

      • SCIEKCI등재

        변이주 Bacillus sp . A4442 에 의한 갈락토스 전이활성이 높은 β - Galactosidase 의 생산

        인만진(Man Jin In),최경호(Kyung Ho Choi),양성준(Sung Joon Yang),김민홍(Min Hong Kim),한금수(Keum Soo Han),양지원(Ji Won Yang),정진(Jin J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8 No.6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β-galactosidase from Bacillus sp. A1, which was isolated from soil and has remarkably higher transgalactosylation activity than lactose hydrolysis activity, a chemical mutation procedure using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followed by selection was conducted. The final selection, designated as Bacillus sp. A4442, turned out to show a substantially increased enzyme productivity. Catabolite repression by glucose and lactose requirement as an inducer for the enzyme biosynthesis, which were shown in the parent strain, was markedly diminished; instead it was found out that galactose acts as another inducer. Because pH of medium,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cell growth as well as enzyme produc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ugar concentration during culture, it was kept in the optimum range of 6.5∼7.5; for this the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be 0.5% which was thereafter maintained by the controlled pumping-in of lactose using the pH-stat technique. By doing so, we were a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β-galactosidase with high transgalactosylation activity up to 44 U/㎖-broth.

      • KCI등재

        Haematococcus pluvialis로부터 Haematococcus 추출물 제조 공정에서 효소 처리가 추출 효율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인만진(In, Man-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

        우수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astaxanthin을 함유한 H. pluvialis 균체로부터 작용기작이 상이한 exo형과 endo형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식품용 haematococcus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상업용 단백질 분해 효소로는 Alcalase (endo형)와 Flavourzyme (exo형)을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로는 Viscozyme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endo형과 exo형을 병용하는 것이 추출물의 astaxanthin 함량을 증가시켰다. Viscozyme과 함께 2종류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1차로 처리한 후 Viscozyme을 2차로 사용하는 2단계 가수분해 방법이 적절하였다. 이 조건에서 astaxanthin 함량은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320% (529 μ g/g → 2,256 μ g/g) 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DPPH법으로 조사한 항산화 활성은 astaxanthin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차로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처리한 후 2차로 Viscozyme을 사용하는 조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An efficient production method of food-grade heamatococcus extract was developed based on stepwise enzymatic hydrolysis. In the first step, Haematococcus pluvialis cells hydrolysis carried out with commercially available exopeptidase(Flavourzyme) and endopeptidase (Alcalase), resulted in increased astaxanthin content. In the second step, proteolytic hydrolyzed H. pluvialis cells treated with hetero-polysaccharides hydrolytic enzyme (Viscozyme). By two-stage treatments using Alcalase and Flavourzyme and Viscozyme, the highest astaxanthin content was obtained. The astaxanthin content was remarkably enhanced by 320% (529 μ g/g → 2,256 μ g/g) than that of the non-treated extract. And the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DPPH method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staxanthin content in haematococcus extract prepared by enzymatic hydrolysis.

      • SCOPUSKCI등재

        콜레스테롤 흡수저하 기능성소재 개발을 위한 식물성 유지 중의 Sterols 분석 및 Stanol로의 수소첨가반응

        인만진(Man-Jin In),김동청(Dong Chung Kim),채희정(Hee Jeong Chae),김명희(Myung Hee Kim),임병순(Byoung Soon Im),김의용(Eui Yo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5

        모세관 컬럼을 이용한 가스 크로마토그라프법으로 식물성 유지와 대두유 제조 부산물인 mist oil 중에 함유되어 있는 스테롤과 스탄올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물성 유지 중에서 총 스테롤의 함량은 옥수수유, 현미유, 고추씨 기름, 참기름 등이 0.67~0.89g/100g의 높은 값을 보였다. 대두유 제조 과정에서 탈취 후 얻어지는 부산물인 mist oil에는 10.2g/100g로 다량의 스테롤이 함유되어 있어 스탄올제조의 원료로 적합하였다. Mist oil을 비누화한 후 Pd을 촉매로 실온에서 수소첨가반응시켜 스테롤을 스탄올로 전환시킨 결과, 수율이 4~5배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The contents of sterols and stanols in vegetable oils and mist oil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using a capillary column. The total sterol contents showed high values of 0.67~0.89g/100g in corn oil, rice bran oil, red pepper seed oil and sesame oil. Mist oil, a byproduct of soybean oil manufacture, was a suitable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stanol since it showed high sterol content (10.2g/100g). In the hydrogenation of sterol contained in mist oil using Pd catalyst, the effects of saponification of oil were examined. The conversion of sterol to stanol was improved by a factor of 4~5 through saponification of oil, compared to the reaction without saponification.

      • KCI등재

        Zygosaccharomyces rouxii를 배양하여 제조한 발효갈비양념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

        김용문,오철환,인만진,오남순,Kim, Yong-Moon,Oh, Chul-Hwan,In, Man-Jin,Oh, Nam-S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6

        갈비용 양념의 품질과 저장성 향상을 목적으로 내염성 효모인 Zygosaccharomycess rouxii Y-80을 갈비양념의 원료에 배양시킨 후 부재료를 혼합하여 발효갈비양념을 제조하였다. 발효갈비양념과 비발효갈비양념의 일반성분에서 큰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갈비양념에서 에탄올 함량이 1.5배 정도 높았으며, isoamyl acetate, acetic acid ethyl ester, isopropyl alcohol 등의 방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양념의 풍미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5^{\circ}C$에서 7일간 저장성을 조사한 결과 발효갈비양념의 pH는 3.34로 낮아졌으며 적정산도는 0.84%까지 증가하였다. 환원당은 4.49%에서 1.77%로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으며, 에탄올 함량은 0.62%에서 3.77%로 증가하였다. 저장 중의 성분변화는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결과이며 발효양념은 비발효갈비양념보다 저장성 향상을 위한 에탄올 농도가 3.0% 이상 높은 농도로 생성되었다. 관능적으로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발효갈비양념은 비발효갈비양념보다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In order to enhance the flavor and storage stability of meat sau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ermented beef-rib sauce was developed in a two-step process. The fermented sauce base was manufactured with Zygosaccharomyces rouxii Y-80 yeast cultivation in raw sauce ingredients for 3 days at $25^{\circ}C$. The fermented beef-rib sauce (FBS) was produced by mixing fermented sauce base with side ingredients.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ith non-fermented beef-rib sauce (NFBS) revealed that the content of ethano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higher in FBS; also,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FBS obtained excellent scores for overall taste. To determine the storage stability, FBS and NFBS were incubated at $25^{\circ}C$ for 7 days. The extent of decrease of pH and increase of titratable acidity in NFBS were faster than FBS. After 7 days, ethanol concentrations in FBS and NFBS were 3.77% and 2.04%, respectively.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storage stability of FBS is superior.

      • 마늘의 첨가가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박연주,남영란,전병록,오남순,인만진,Park, Yeon-Joo,Nam, Young-Lan,Jeon, Byung-Rog,Oh, Nam-Soon,In, Man-Ji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한국농화학회지 Vol.46 No.4

        마늘이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마늘의 첨가량이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 대두를 기준으로 마늘을 $5{\sim}20%$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수율, 물성, 및 저장성을 마늘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일반두부와 비교하였다. 두부의 수율은 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다소 감소하였으나 그 영향은 미미하였다. 마늘의 첨가량이 $5{\sim}10%$인 경우 두부의 물성 중 견고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마늘을 20%사용한 두부는 견고성, 부착성, 응집성, 탄성, 씹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제조한 두부를 $15^{\circ}C$로 보관하면서 pH와 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두부와 두부 침지액에서 pH 하락과 미생물 생육이 효율적으로 지연되었다. 두부 제조시 마늘의 첨가량은 $5{\sim}10%$가 적당하였다. The effect of garlic addition on quality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was investigated. The yield of garlic soybean curd slightly decreased in proportion to amount of garlic added. In the case of texture, hardness of the garlic soybean curd increased when $5{\sim}10%$ garlic was added, whereas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20% garlic added. Microbial counts of soybean curd stored in sterilized distilled water as tofu-immersion solution increased, whereas pH decreased during storage at $15^{\sim}C$. During all storage periods, microbial counts of the soybean curds containing garlic were always lower than that of the ordinary soybean curd. These results imply that garlic is a useful additive in suppressing the proliferation of aerobic microorganism and has a potential use in extending the shelf-life of soybean curd. According to yield, textural properties and shelf-life data, the suitable concentration of garlic was around $5{\sim}10%$.

      • KCI등재

        황금과 황백 추출물이 젖산균 증식 및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박민경(Min-Kyung Park),정광심(Kwang-Shim Jung),인만진(Man-Jin 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2

        본 실험에서는 우선, 10가지 한약재로 50%-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Lac. plantarum 및 Leu. mesenteroides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황금 추출물은 Leu. mesenteroides에 황백 추출물은 두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다. 이어서, 각기 다른 농도의 황금 또는 황백 추출물이 첨가된 MRS broth에서 Lac. plantarum과 Leu. mesenteroides를 24시간 배양하며 일정 시간에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황백 추출물은 두 균주에 대하여 0.05%~0.2%의 농도에서 우수한 생육 억제효과가 있는 반면 황금 추출물은 Lac. plantarum의 생육 억제에는 큰 효과가 없으나 Leu. mesenteroides에 대해서는 0.1% 농도에서 황백 추출물 0.05%와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황금과 황백 추출물의 첨가는 실제 김치 숙성에도 영향을 미쳐 0.02%~0.04%의 황백 추출물 첨가는 pH의 저하, 산도, 유산균 및 총균수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숙성 지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황금 추출물의 첨가는 0.04% 농도에서 숙성지연 효과를 보였다. 한편, 황금과 황백 추출물의 1 : 1 혼합 첨가도 0.03%~0.04%의 농도에서 숙성 지연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같은 농도에서 숙성 지연효과를 비교하면 황백>황금과 황백의 혼합물>황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0.04%의 황백 추출물 첨가 김치는 숙성 후기인 21일에는 대조구 및 0.02%의 황금 추출물 첨가 김치와, 숙성 28일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신맛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mong 10 medicinal plants extracted with 50%-ethanol, antimicrobial activities measured by paper disc method were showed in Scutellaria baicalensis (Sb) on Leu. mesenteroides and in Phellodendron amurense (Pa) on Lac. plantarum and Leu. mesenteroides. While 0.05~0.2% of Pa extracts showed also relatively strong growth inhibition of both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d in MRS broth for 24 hours at 30℃, Sb extract at concentration of 0.1% showed similar inhibitory effect on Leu. mesenteroides to that of 0.05% of Pa extract. Addition of 0.02~0.04% of Pa extracts to kimchi lowered effectively extents of pH decrease and acidity increase, and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bacteria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during fermentation at 4℃. This extending effect on fermentation period was obtained by adding 0.04% in case of Sb. Mixed extracts of Pa and Sb (Pa-Sb) by ratio 1 : 1 delayed also fermentation of kimchi at 0.03~0.04%. In sensory evaluation kimchi containing 0.04% of Pa extract were less sour than kimchi containing 0.02% of Sb extract and/or control at late stage of fermentation.

      • KCI등재

        열 처리와 효소 처리에 의한 탈지 참깨박 단백질의 추출율 향상

        인만진 ( Man-jin In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4

        참기름 제조의 부산물인 참깨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효소 처리에 의한 참깨박 불용성 단백질의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인 Alcalase, Flavourzyme, Neutrase, Protamex의 처리 결과를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Protamex가 고형분과 단백질 함량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Protamex의 반응 조건(50 ℃, pH 6.0)에서 효소의 사용량은 탈지 참깨박의 1%, 효소반응시간은 3시간이 적당하였다. 효소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참깨박을 열처리하면,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추출되는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110이상에서는 미미하게 증가하였다. 세포벽 분해효소(Tunicase)와 단백질 분해효소의 병용처리가 단백질 가용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한 다음에 세포벽 분해효소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열처리(110 ℃, 10분) 후 Protamex와 Tunicase를 순차적인 처리로 단백질 함량이 열처리와 효소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의 약 3.6배(9.85→35.58 mg/mL), 열처리만 실시한 대조구의 약 2.2배(15.83→35.58 mg/mL) 증가하였다.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defatted sesame meal (DSM), a by-product of sesame oil production, the conditions of extraction of insoluble proteins from DSM by enzyme treatment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reatment results of proteolytic enzymes Alcalase, Flavorzyme, Neutrase, and Protamex with control, Protamex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total solid and protein content. At the reaction conditions of Protamex (50 ℃, pH 6.0), the dosage of enzymes was appropriate for 1% of DSM and 3 h of enzyme reaction ti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zymatic treatment, the protein content extracted increased as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creased, and slightly increased above 110 ℃.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cell lytic enzyme (Tunicase) and protease (Protamex) on protein solubilization, it was most effective to treat the cell lytic enzyme after processing the protease. After heat treatment (110 ℃, 10 min), sequential treatment of Protamex and Tunicase increased the protein content by about 3.5 times (9.85→35.58 mg/mL) of the non-heated control and 2.2 times (15.83→35.58 mg/mL) of the heat treated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