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패혈증과 패혈쇼크의 치료 지침

        이흥범 ( Heung Bum Lee ),문희 ( Hee Moo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7 No.6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are major healthcare problems with high mortality, ranging from 20% to 60%, affecting millions of individuals around the world each year. The speed and appropriateness of therapy administered in the initial hours after severe sepsis develops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outcome. In 2004, an international guideline that the bedside clinician could use to improve the outcomes in severe cases of sepsis and septic shock was published. Several landmark studies recently demonstrated that therapeutic strategies may reduce mortality substantially. The Surviving Sepsis Campaig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2008, using a new evidence-based methodology system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evidence and the strength of the recommendations, was updated. The revised version is based on an updated search into 2007. Evidenced-based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acute management of sepsis and septic shock are the first step toward improving the outcom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We review the treatment guidelines of sepsis and septic shock.

      • KCI등재후보

        쯔쯔가무시병 환자에서 Soluble ICAM - 1 농도의 변화

        이흥범(Heung Bum Lee),고현우(Hyeon Woo Koh),김형식(Hyong Sik Kim),문성기(Sung Gi Moon),오상미(Sang Mi Oh),이용철(Yong Chul Lee),이양근(Yang Keun Rhee) 대한내과학회 1998 대한내과학회지 Vol.54 No.1

        N/A Objectives: ICAM-1 has been shown to be required for leukocyte migration into inflammed area 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nflammatory disease including bronchial asthma, and various infectious disease such as tuberculosis and malaria, Although, the significance of soluble ICAM-1 (sICAM-1) in rickettial disease has not beet recognized.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ICAM-1 levels in patients with tsutsugamushi disease, and the correlation factors between sICAM-1 level and subject characteristics including clinical and 1aboratory indices. Methods: Eight normal controls and thirteen patients with tsutsugamushi disease underwent serum sampling for sICAM-1 level, which was measured by using ELISA kit. Results: 1) sICAM-1 level is significantly elevated in patients group. 2) sICAM-1 level is a significantly correlation with AST level, titer of anti-tsutsugamushi antiboby, and leukocyte counts, but other factors such as age, sex, differential fraction of leukocyte, ALT, duration of fever, and total hospital day etc, are not.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sICAM-1 may he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sutsugamushi disease.

      • SCOPUSKCI등재

        의료기관관련 폐렴

        이흥범 ( Heung Bum Lee ),한효진 ( Hyo Jin Ha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1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0 No.2

        Pneumonia is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clinical fields, both as a cause for admission and as a complication of the underlying disorder or as the course of treatment. Pneumonia is the second most common hospital-acquired infection and is associated with the highest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among hospital-acquired infections. Th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ospital-acquired pneumonia by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include identifying individuals who have recently received antibiotics therapy or have been in medical facilities; these individuals are at higher risk for infection with multiple drug resistant organisms. Individuals, who have acquired pneumonia according to this clinical scenario, have what is known as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HCAP). Patients with HCAP should be considered to have potentially drug-resistant pathogens and should receive broad spectrum empiric antibiotic therapy directed at the potentially resistant organisms. In this paper, the diagnosis, risk factors, and treatment of HCAP a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폐암에의한 폐절제 후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

        이흥범(Heung Bum Lee),이용철(Yong Chul Lee),이양근(Yang Keun Rhee) 대한내과학회 1996 대한내과학회지 Vol.51 No.2

        N/A Objectives: The incidence of lung cancer has been on the increase despite the decreasing rate of smoking, And the possible curative approach to lung cancer is surgical resection. Although the remnant lung function is very important due to postoperative well-being, we often failed to notice of its significance and carried on only few studies. The exercise pulmonary function test has been widely applied for objective measurement of work capacity, and can be extremely helpful for investigating exertional dyspnea.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factors such as FEV₁, FVC, VEmax, Vo₂max, anaerobic threshold, heart rate reserve, breathing reserve 4 weeks after resection in lung cancer patients. And now, we will understand the changes of lung function and the consequence of work capacity after surgical resection. Methods: Ten healthy subjects and twenty patients with lung malignancy underwent progressively incremental exercise test to symptom-limited stage. In patient group, the above incremental exercise test also was done at 4 weeks after surgical resection. Measurement were made of metabolic, cardiorespiratory, blood gases, and symptoms during exercise test.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FEV₁, FVC, VEmas, Vo₂max in the postresection group. These decreases were more marked in the postpeumonectomy group than in the postlobectomy group. 2) In postpeumonectomy group, there were more decreases in FEV₁, FVC₁, VO₂max without significance, but fall in VE max with significance.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ase of FEV and Vo₂max in either patient group.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FEV₁, FVC, VEmax, Vo₂max in postresection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ase of FEV₁and Vo₂nax in either resection group. This reveals that change in FEV₁is a poor predictor of change in exercise capacity after lung resection.

      • 증례(症例) : 후천성 면역 결핍증 (AIDS) 연관형 Kaposi 육종 1예

        이선화 ( Sun Hwa Lee ),이민희 ( Min Hee Lee ),김상균 ( Sang Kyoon Kim ),유창우 ( Chang Woo Rheu ),백경현 ( Kyung Hyun Paeck ),정치량 ( Chi Ryang Chung ),이석 ( Seok Lee ),이흥범 ( Heung Bum Lee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4 全北醫大論文集 Vol.28 No.2

        Kaposi 육종은 후천성 면역 결핍증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신생물이지만그 치료에 대해서는 최근까지도 명확한 기준이 정립되어 었지 않았다. 근래에는 AIDS 연관형 Kaposi 육종의 병인에 있어서 HHV-8의 감염이나 숙주의 면역 상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nucleoside analogues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와 protease inhibitor를 병합 사용하는 적극적인 항 retrovirus 치료 (HAART)를 시도하는 경향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한 성공적인 치료 예들이 보고 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국내에 흔하게 보고되지 않은 AIDS 연관형 Kaposi 육종의 증례를 진단하고 HAART와 foscarnet 그리고 고식적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여 적극 적인 내과적 치료를 시도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IDS-related Kaposi`s sarc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neoplasms in patients with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Recently, human herpesvirus-8 (HHV-8) and the immune status of the host have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AIDS-related Kaposi`s sarcoma. Therefore,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 which includes nucleoside analogues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 has been widely attempted in AIDS-related Kaposi`s sarcoma. Other successful treatment regimens including cytotoxic agents, interferon-α, thalidomide and so on have been reported. However, standard treatment op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Hereby, we report a case of patient with AIDS-related Kaposi`s sarcoma who was treated by zidovudine, lamivudine and indinavir for underlying HIV infection, and intravenous foscarnet and palliative radiotherapy for local control of oropharyngeal Kaposi`s sarcoma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 대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혈액 및 체액 노출 정도

        박진희 ( Park Jin Hee ),전형구 ( Chon Hyung Ku ),정승희 ( Jeong Seung Hee ),황정환 ( Hwang Jeong Hwan ),이창섭 ( Lee Chang Seop ),이흥범 ( Lee Heung Bu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는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환자의 혈액 및 체액에 노출되는 형태와 노출 후 보고 실태, 노출된 학생들의 B형 간염 백신 접종여부와 항체 상태 등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혈액매개 감염 노출에 대한 예방 및 처치방법을 포함한 관리 지침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 76.5%가 임상실습 도중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된 경험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의 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 등(2008)의 연구결과 71%, Park 등(1994)의 연구 결과 68.6%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사침 자상은 46.9%이었으며, 혈액 및 체액에 튄 경우는 60.1%로 나타났다. Petrucci 등(2009)의 연구와 비교하면 주사침 자상은 25%로 본 연구결과가 더 높았으며, 피부 점막 노출은 62.2%로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다. 그러나 Lee 등(2008)의 연구와 비교하면 주사침 자상은 59.1%, 혈액 및 체액에 튄 경우는 80.7%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혈액 및 체액 노출이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이 의과대학생 보다 임상실습 과정 중에 환자에게 수행하는 직접적인 처치나 보조가 적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임상실습 기간 중 간호대학생이 주사침 상해에 노출되는 발생률은 나라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미국의 Yassi와 McGill (1991)은 12%, 중국의 Wang 등(2003)은 32%, 대만의 Shiao등(2002)은 61.9%로 본 연구결과보다 주사침 상해 발생률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수기 수행 정도나 안전술기 지침 등이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이 많아질수록 실습 도중 혈액 및 체액에 노출될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간호대학생들이 혈액매개 질환 노출 시 대처할 수 있는 대처행동을 증진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본 연구에서 노출된 내용과 방법 중 혈액 및 체액이 78.7%로 가장 높았고, 혈당 검사용 바늘(lancet) 36%, 처치 시 사용한 바늘 30.7%, 날카로운 물체 6.5%로 나타났다. 이는 Petrucci 등(2007)의 연구에서도 점막 노출이 62.2%로 가장 높았으며, 사용한 바늘은 25%, 날카로운 물체는 6.5% 순으로 나타난 것과 비슷하였다. 노출된 임상 수기로는 혈당 검사가 65.3%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다음은 의료행위 후 정리, 침상 주위 수기, 정맥내 주사, 기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출이 가장 많이 일어났던 장소는 일반 병동이 45.3%이었으며, 응급실 17.3%, 중환자실 8.0% 순으로 나타났다. 내과병동 또는 외과병동에서 42.5%의 혈액 및 체액 노출이 발생했다는 Petrucci 등(2009)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Schaffer (1997)는 혈액 및 체액 노출의 40%는 창상 세척, 분만 관찰, 정맥내 주사 과정 중에 발생하였다고 하였으며, 주사침 상해는 주사바늘 뚜껑을 열거나 닫을 때, 주사바늘을 구부리거나 분리할 때 발생하며, 기타 상해는 앰플을 따거나 폐기할 때 발생한다고 하였다(Shiao et al., 2002; Smith & Leggat, 2005; Wang et al., 2003; Yassi & McGill, 1991).환자의 체액이나 혈액에 노출된 이후 감염관리실이나, 의료진에게 보고한 경우는 10.7% (8명)로 나타났다. 감염 관리실에 보고한 경우가 1명 있었고, 수간호사나 다른 간호사에게 보고한 경우는 7명뿐이었다. 보고하지 않은 이유는 위험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57.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고체계를 모르는 경우 24.6%, 보고하기가 어려운 경우 14%, 바빠서 보고할 겨를이 없었던 경우 2%로 답하였다. 호주, 대만, 미국에서 시행된 연구에서 각각 40%, 81.8%, 75%의 학생에서 환자의 체액이나 혈액 등에 노출된 뒤 보고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도 본 연구와 유사하게 위험성이 없다고 생각해서가 가장 높은비중을 차지하였다(Schaffer, 1997; Shiao, 2002; Smith &Leggat, 2005; Waterman, Jankowski, & Madan, 1994). 위험성이 없다고 판단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조사되지 않았지만 간호대학생들의 혈액매개 감염질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하였거나, 노출된 혈액이나 체액의 양이 매우 경미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따라서 간호학생들은 첫 임상실습을 시작하기 전에 주사침 및 체액에 노출 시 감염관리실로 보고해야 하는 체계와 혈액매개 감염질환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형 감염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 결과와 예방접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은 29.7%이었다. 반면예방접종 유무와 상관없이 58.1%의 학생들은 B형 간염에 대한 항체가 형성 되었는지를 모르고 있었다. B형 간염 항체 보유율은 Park 등(1994)의 39.9%, Lee 등(2008)의 31.8%보다 낮았다. B형 간염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이 B형 간염 환자에게 사용된 주사침에 노출되었을 때, 병에 이환될 위험성은 6-30%정도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CDC, 2001; Hanrahan & Reutter, 1997).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B형 간염에 대한 항체가 획득되지 않은 비율은 16.3-29%, 백신 접종률은 47%로 보고하고 있었고, 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백신 접종률이 15.8-47%로 다양하게 나타났다(Doig, 2000; Talaat et al., 2003; Tarantola et al., 2003).설문 조사 후 4학년생을 대상으로 B형 간염 항원항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 혈액 및 체액 노출 학생 중 76.3%가 항체 양성 이었다. 이와 같은 간호대학생의 B형 간염 항체 보유율을 고려해 볼 때 임상실습 예정인 간호대학생들은 임상실습 이전에 일률적으로 B형 간염 항체 검사를 실시하고, 만약 항체가 없는 학생들은 예방접종을 실시하도록 하는 간호대학 혹은 실습 병원의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Wang 등(2003)의 보고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에게 혈액매개 질환의 전파 방법, 노출 형태, 표준주의 지침, 노출 후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 결과 실습기간 동안 간호대학생은 주사침 상해를 덜 경험하였다. Yang (2007) 등의 연구에서는 인턴쉽 과정의 간호대학생에게 주사침 자상 예방교육을 실시한 결과 주사침 자상률이 50.5%에서 25.2%로 감소하였으며, 보고 율도 37.0%에서 55.6%로 증가하였다. 또한 Schaffer (1997)는 혈액 및 체액 노출은 고글이나 얼굴 가리개(face shield)를 착용하면 예방가능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선행연구 결과들을 근거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임상 수기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혈액매개 질환의 전파 방법, 예방법, 노출 후 관리 방법을 정규적으로 강조하여 교육하면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보호장구 착용 및 안전기구 사용 교육과 함께, 병원직원과 실습생들의 보호장구와 안전기구의 적극적 활용을 지원하는 행정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혈액 및 체액의 노출정도와 노출 후 처리 상황을 조사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혈액매개 감염 노출에 대한 예방교육 및 처치 방법을 포함한 관리지침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들의 혈액 및 체액의 노출정도를 자가보고형 설문으로 조사한 것이라는 제한점이 있어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국의 여러지역과 다양한 규모의 병원에서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인 연구와 어떤 감염성 질환에 노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Nursing students face constant threats of blood-borne infections such as HIV, Hepatitis B, and Hepatitis C during their clinical rotation period.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risk of the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Ninety eight junior &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75.6%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more than once during practicum. The exposure occurred most frequently while checking the blood glucose (65.3%). The general ward (45.3%) was the most frequent site for the occurrence of the exposure. However, only eight cases (10.7%) were reported to the medical or nursing personnel in charge.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nursing students are in a great risk of the exposure to blood & body fluid. The risk is highest in the general ward during checking the blood glucose. Thorough education on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prior to clinical practium.

      • 천식 환자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

        오상미,이흥범,이용철,이양근,정애자 ( Sang Mi Oh,Heung Bum Lee,Yong Chul Lee,Yang Keun Rhee,Ae Ja Jung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1998 천식 및 알레르기 Vol.18 No.3

        Backgmtcnd: Alexithymia refers to a specific disturbance in psychic functioning characterized by difficulties in capacity to verbalize affect and to elaborate fantasies. Although initially described in the context of psychosomatic illness, alexithymic characteristics may be observed in patients with a wide range of medical and psychiatric disorders.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exithymia and bronchial asthma,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finding from a group of acute infectious illness subjects. Material und method: Alexithymia was measured with on Korean translation of the TAS-20 (Toronto Alexithymic Scale-20 Korea version) and the Scored Archetypal 9 Test(SAT9). Thirty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and thirty patients with acute infectious illness completed these tests. The SAT9 and the TAS-20K scores were compared in the both group, considering the age, gender, education level, and duration of illness. Resmft: Bronchial asthma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f on the TAS-20K and SAT9 compared with those with infectious illness(p<0.05). The two scales correlated in expected direction. Alexithymia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ducation level(SAT9: r=0.335, TAS-20K: r=-0.376, p<0.01) and duration of illness(asthma group, SAT9: r=-0.383, TAS-20K: r=0.288, p<0.05). Conclusion '. Bronchial asthma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alexithymic scor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psycliathic consultation may be considered for the management of asthmatic patients with alexithy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