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tase와 Rutile 결정상 비율에 따른 TiO<sub>2</sub> nanotube의 OH radical 생성량 비교 연구

        이효주 ( Hyojoo Lee ),이용호 ( Yongho Lee ),박대원 ( Daewon Pak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19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5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f TiO<sub>2</sub> photocatalyst. During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H radicals are generated and they have an excellent oxidation capability for wastewater treatment. To evaluate the OH radicals generated according to crystallographic structure of TiO<sub>2</sub> nanotubes photocatalyst, a probe compound, 4-Chlorobenzoic acid was monitored to evaluate OH radical. Ultraviolet light was applied for photocatalytic reaction of TiO<sub>2</sub>. The 4-Chlorobenzoic acid solution was prepared at laboratory. TiO<sub>2</sub> nanotube was grown on titanium plate by using anodization method. The annealing temperature for TiO<sub>2</sub> nanotube was varied from 400 to 900 ℃ and the crystal forms of the TiO<sub>2</sub> nanotube was analyzed. Depending on annealing temperature, TiO<sub>2</sub> nanotubes have shown different crystal forms; 100% anatase (0 % rutile), 18.4 % rutile (81.6 % anatase), 36.6 % rutile (63.4 % anatase) and 98.6% rutile (1.4% anatase).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s, the rutile ratio increases. OH radical generation from 18.4 % rutile TiO<sub>2</sub> nanotube plate was about 3.8 times higher than before annealing and 1.4 times higher than only 100 % anatase-TiO<sub>2</sub> nanotube. The efficiency of the 18.4% rutile TiO<sub>2</sub> nanotube was the best in comparison to TiO<sub>2</sub> nanotube with 18.4 %, 36.6 % and 98.6 % rutile. As a result, photocatalytic ability of 18.4 % rutile-TiO<sub>2</sub> nanotube plate was higher than 100 % anatase-TiO<sub>2</sub> nanotube plate.

      • KCI등재

        스마트워크 만족도의 선행 및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협업과 초과근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효주 ( Lee Hyojoo ),김재형 ( Kim Jaehyoung ),박성민 ( Park Sungmin ) 한국행정연구원 2020 韓國行政硏究 Vol.29 No.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인해 생활 전반에 걸쳐 비대면 방식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해지면서 ‘언택트(untact)’시대가 도래하였다. 인사혁신처는 올해 ‘일과 삶 그리고 방역이 공존하는 근무여건 조성’을 위한 ‘비대면·비접촉 근무 활성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20년 근무혁신 지침’을 공표하였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의 ‘2018년 공무원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한민국 공무원의 스마트워크(스마트워크센터, 영상회의, 유연근무제) 만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규명하였다. PLS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조직 내 혁신문화, 변혁적 리더십이 스마트워크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워크 만족이 기업가정신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워크 만족이 기업가정신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각각 협업/의사소통과 시간외근무시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문화가 스마트워크 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일부 스마트워크 유형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업가정신과 삶의 질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모든 스마트워크 유형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마트워크 만족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에서 협업/의사소통이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의적절한 주제인 스마트워크를 인사관리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조망할 뿐 아니라, 실무자들에게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ra of “untact” has emerged as the COVID-19 has forced the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mode throughout life. This year, the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 announced the “2020 Work Innovation Guidelines”, which mainly include the creation of working conditions where work, life, and quarantine coexist, to promote non-face-to-face and non-contact work. Reflecting this reality, this study used the “2018 Public Employees’ Perception Survey” data from the Korea Administrative Research Institute to identify the leading and consequential factors of the satisfaction of Korean public employees’ smart work (smart work centers, video conferences, and flexible work systems). Through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 analyze the impact of innovative cultu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n organization on smart work satisfaction, as well as the impact of smart work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and quality of life. Besides, we looked 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aboration/communication and overwork,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impact of smart work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and quality of life.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culture on smart work satisfaction are significant only for certain smart work types, while the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and quality of life are significant for all the smart work types. On the other hand, it also reveals that collaboration/communication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work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ship.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set of practical implications and caveats to public managers and practitioners as well as make a theoretical contribu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from a publ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perspective.

      • KCI등재

        Early Social Communication Profile of Korean Late Toddlers via the CSBS DP

        YoonKyoung Lee(이윤경),HyoJoo Lee(이효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말늦은 영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파일을 각각 생활연령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18-36개월 사이의 말늦은 영유아 18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생활연령일치 집단) 18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언어연령일치 집단) 18명, 총 54명의 영유아였다. 세 영유아 집단의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은 한국판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척도 발달 프로파일(한국판 CSBS DP)의 행동샘플검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검사의 채점 체계에 따라 채점하였다. 측정된 점수는 일원분산분석과 Tukey 사후분석을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말늦은 영유아 집단은 한국판 CSBS DP 총점과 7개의 세부요인 중 의사소통, 말소리, 낱말 요인에서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서만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정서와 응시, 언어이해, 사물사용 요인에서는 생활연령일치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언어연령일치 집단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말늦은 영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이 생활연령에 비해 느리게 발달하며, 말소리나 낱말과 같은 발화적 측면과 의도적 의사소통행동과 요인에서 취약한 반면, 언어이해와 사물사용을 통한 상징놀이 측면에서는 상대적 강점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말늦은 영유아의 예후와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late talking toddler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that were matched to both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age. Methods: Eighteen late talking toddlers (LT) aged between 18-36 months, 18 toddlers matched to chronological age (CA group) and 18 toddlers matched to language age (LA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oddlers of the three groups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edition of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 Developmental Profile (K-CSBS DP) and scored based on the K-CSBS DP scoring systems. A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comparing the results of three toddler groups. Results: The L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total score on the K-CSBS DP than the CA group only. In the case of cluster scores, the L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communication, sounds, and words cluster than the CA group; however,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emotion and gaze, language comprehension, and object use cluster than the LA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LT’s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developed slower than their age matched peers. In particular, they are vulnerable to speech and intentional communication behaviors, while language understanding and object use are intac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implications for prognosis and intervention of LT.

      • KCI등재

        A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SBS DP Behavior Sample in Korean Toddlers

        YoonKyoung Lee(이윤경),Hyojoo Lee(이효주),Jieun Choi(최지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Objectives: Communication development during the toddler period provide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earlier identification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 Developmental Profile (CSBS DP) has been known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communication skills in early perio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f the CSBS DP behavior sample is valid and reliable tool for Korean toddlers as well. Methods: Two hundred ninety typical developing toddlers 12-24 months of age participated and were assessed on the CSBS DP behavior sample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LSI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SBS DP.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CSBS DP were assessed. Results: The CSBS DP demonstrated high concurrent validity with SELSI and high construct validity measur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ies measured by internal consistency and inter-rater consistency showed that the CSBS DP was a highly reliable tes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SBS DP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assessing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toddlers. 배경 및 목적: 영아기의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은 발달지체 아동을 더 이른 시기에 확인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영아기의 의사소통발달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발달척도(CSBS DP)는 영아기의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을 평가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SBS DP 행동샘플평가가 우리나라 영아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평가에도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일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전형적 발달을 보이는 12-24개월 사이 영아 26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가 영아에게 CSBS DP 행동샘플평가와 공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내적일관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방법으로 신뢰도를, 공인타당도와 확인적 요인분석, 연령에 따른 발달적 타당도를 통해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결과: CSBS DP 행동샘플평가는 SELSI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여 높은 공인타당도가 측정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결과도 높은 모형 적합도를 보여 높은 구인타당도를 보였다. 또한 연령집단에 따른 일원분산분석 결과도 유의한 발달적 타당도를 나타내 전반적으로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ronbach α로 측정한 문항내적일관도도 높거나 적합한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관찰자 간 일치도도 높아서 대체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CSBS DP 행동샘플평가는 우리나라 영아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평가하는 데에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표현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특성

        이윤경(Yoonkyoung Lee),이효주(Hyojoo L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대화차례 주고받기는 대화를 위한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표현언어 발달지체 영유아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8-30개월의 표현언어발달지체 영유아 1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10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10명, 총 30명의 영유아였다. 각 영유아의 대화 행동을 수집하기 위하여 양육자와의 놀이 활동을 약 30분정도 녹화하였으며, 이 중 10분의 자료를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로 전체 대화차례 주고받기 빈도, 영유아 대화차례 비율과 구어 및 비구어 비율, 영유아의 대화 개시 및 유지(적절, 부적절) 비율, 대화차례 중단(중첩, 무반응) 비율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1) 표현언어발달지체 집단과 언어연령 일치 집단은 대화차례에서 생활연령 일치 집단에 비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비구어 비율을 그리고 유의하게 낮은 구어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대화차례 주고받기 비율과 영유아 대화차례 비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표현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생활연령 일치 집단에 비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부적절 유지 비율을 보였다. 대화차례 개시와 유지 전체, 적절 유지 비율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표현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생활연령 일치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중첩으로 인한 중단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중단 전체 비율과 무반응으로 인한 중단 비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대화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urn-taking is the one of basic skills for convers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versational turn-taking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group). The participants were 10 toddlers with DLD aged from 18 to 30 months, 10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with DLD toddlers (CA group), and 10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matched for language age with DLD toddlers (LA group). Conversation samples of the toddlers were recorded using a digital camcorder during free play around 30 minutes with mother and 10 minute samples extracted from the recorded samples were analysed. Frequency of turn-taking, rate of toddler’s conversational turn (verbal and nonverbal), initiation, and maintenance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and rate of conversational breakdown (overlap and no response)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The DLD and the LA group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nonverbal and lower rate of verbal conversational turns than the CA group,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urn-taking and the rate of toddler’s conversational turn. (2) The D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nappropriate maintenance than the CA group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rate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appropriate maintenance. (3) The D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ovelap than the CA group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 response. We discussed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정부부처 내 신뢰와 공정성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세대별 팀제문화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이혜림 ( Healyim Lee ),이효주 ( Hyojoo Lee ),박성민 ( Sungmin Park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2

        본 연구는 한국 중앙 공무원들의 상사신뢰, 동료신뢰, 인식된 절차공정성이 조직신뢰를 통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인 수준 신뢰와 조직 수준 신뢰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상사신뢰와 동료신뢰를 조직신뢰와 같은 수준에서 분석하여, 조직 내 대상 별 신뢰 간의 위계성, 역동성 등을 간과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신뢰를 상사신뢰와 동료신뢰의 결과변수이자, 궁극적으로 조직몰입을 제고시키는 매개변수로 가정하여 신뢰 간의 역동성을 규명하고, 관리적 차원에서 조직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세대 간 팀제문화 인식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신뢰와 조직몰입 사이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규명함으로써 세대 간 차별화된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5개의 정부소속 부처에 종사하는 50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된 절차공정성과 동료신뢰는 조직 수준 신뢰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사신뢰는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지 않았다. 또한, 팀 기반 문화에 대해 세대 간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 중앙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조직적 차원의 제도적 함의와 세대별로 다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pervisor trust, co-worker trust, a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on Korean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team-based culture on the link between interpers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Studies related to this subject had limitations in that they did not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types of trusts because interpers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were analyzed at the same level. Based on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et up a research model taking organizational trust as the mediating variable. It played the role of outcome variable for supervisor trust, co-worker trust, and procedural fairness; it also acted as the anteced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is study determined whether there were generation gap differences between in their 20s and 30s and 40s and 50s to identify team-based culture and its moderating effects so that the requirements for differentiated approaches could be suggested. The data for the research model comprised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505 officials in 15 government ministri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and co-worker trust had positive (+)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meanwhile, supervisor trust had no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estingly,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levels among the different generation groups regarding team-based culture. Based on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discussed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orean public officials.

      • ‘한국판 CSBS-DP 양육자평가’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이윤경(YoonKyoung Lee),최지은(Jieun Choi),이효주(HyoJoo Lee),홍욱표(Ukpyo Hong),최진주(Jin Ju Choi),오승아(Seung A Oh)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Many studies indicate that the assessment based on parent reports is a very reliable and valid procedure for evaluating communication development and provides information that complements the results of the formal test by the examiner. Therefore, the CSBS-DP was designed to evaluate infants and toddlers communication development through caregiver report procedure as well as behavior observation.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CSBS-DP caregiver questionnaire. Methods: 298 typical developing infants and toddlers aged 6-24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original CSBS-DP parent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n was revised through review of child language professionals. The main-caretakers of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K CSBS-DP parent questionnaire. Reliability was analyzed by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and validity by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i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K CSBS-DP parent questionnaire demonstrated overall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It also showed good concurrent validity by revealing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SI and construct validity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 CSBS-DP parent questionnaire is a valid and reliable evaluation tool for assessing social communication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 KCI등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

        이윤경(YoonKyoung Lee),이효주(HyoJoo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미숙아 출생은 영유아기 언어발달지연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 집단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을 만삭아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초기 언어습득기에 해당하는 12-30개월 사이의 미숙아 86명과 만삭아 79명, 총 165명의 영유아였다. 두 영유아 집단은 월령에 따라 12-18개월, 19-24개월, 25-30개월의 세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언어능력은 SELSI와 K M-B CDI로 측정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검사 수행 결과를 t-test와 two-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언어발달지체 및 언어발달지체 위험 출현빈도를 χ2을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미숙아 출생 집단은 전체와 세 연령집단 모두에서 SELSI의 통합언어연령,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과 K M-B CDI의 표현어휘 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영유아집단과 연령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K M-B CDI에서만 관찰되었다. 미숙아 출생 영유아 집단이 언어발달지체와 언어발달지체 위험군 출현율이 높았으며, χ2을 통한 출현빈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지연을 예방하기 위한 대한 조기 언어중재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Being born preterm is one of the factors which affects language development of todd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anguage performance and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among toddlers who were born in preterm condition compared to full-term toddlers. Methods: A total of 165 toddlers, 86 preterm and 79 full-ter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wo groups of toddl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ge groups: 12-18 months, 19-24 months, and 25-30 months. Languag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and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on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The results of two toddler groups on language tes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wo independent t-test, 2-way ANOVA, and χ2 test. Results: The prema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ceptive language age, expressive language age, and combined language age measured by SELSI and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of expressive vocabulary measured by K M-B CDI than the chronological age-matched full-term toddler group. The prevalence of DLD and at risk D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term than the full-term group.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early language intervention in preterm toddlers for preventing language delay.

      • KCI등재

        Comparison of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oddlers Who Are at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전진아(Jinah Jeon),이효주(HyoJoo Lee),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언어 및 사회적 의사소통은 자폐범주성장애는 물론 언어발달지체 영유아들도 공통적으로 문제를 보이는 영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범주성장애 의심 영유아와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일반 영유아의 언어 및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비교하고 각 집단이 어떠한 영역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23-32개월의 영유아 33명으로, M-CHAT을 통해 ‘자폐성장애 위험군’으로 선별된 자폐범주성장애 의심(자폐의심) 영유아 11명과 ‘자폐성장애 저위험군’에 해당하는 언어발달지체 11명, 일반 영유아 11명이다. SELSI, K M-B CDI로 언어능력을 평가하였으며, CSBS DP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언어능력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폐의심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모든 언어지표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자폐의심 집단은 언어발달지체 집단에 비해 SELSI 수용언어에서만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은 CSBS DP 총점과 세 하위영역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폐의심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사회적 의사소통 영역 모두에서, 언어발달지체 집단에 비해서는 정서 및 눈응시, 몸짓 사용, 언어이해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자음 및 낱말 산출에서만 일반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자폐의심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의 언어와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폐범주성장애와 언어발달지체의 조기 선별과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nd those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DLD) commonly demonstrate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problem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oddlers who are at risk of ASD or DLD to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TD). Methods: Eleven toddlers in at-risk ASD aged between 23-32 months, 11 toddlers with DLD, and 11 TD toddlers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with the at-risk ASD toddl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all toddlers were assessed using SELSI, K M-B CDI, and CSBS-DP.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language performances. The at-risk ASD and DL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e TD group in the results of all language tests. The at-risk ASD group showed significant lower performances than the DLD group in the receptive language on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overall and the three composites scores of CSBS-DP. The at-risk ASD group scored lower than the DLD group on the emotion and eye gaze, gestures us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clusters in CSBS-DP. The DLD group only indicated lower scores than the TD group on the consonant and word production subitems. Conclusion: Toddlers with at risk ASD and those with DLD display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D toddlers in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Implications on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for toddlers with ASD and DLD were being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