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장학자료에 수록된 장애관련 활동 분석

        이효신 ( Hyo Shin Lee ),안혜영 ( Hye Yeong A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기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용 자료에 장애관련 활동이 어느 정도로 수록되어 있는지를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행한 장학자료이다. 분석은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별, 활동유형별로 이루어졌고 장애관련 활동으로 분석된 활동에 어떤 장애유형이 소개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생활주제별, 활동유형별 분석에서는 장애관련 용어,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관련 인물 등을 분석기준으로 삼았고 장애유형 분석에서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제시된 특수교육대상자를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는 총 활동수 대비 0.94%의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연령별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고, 생활주제별 분석에서는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으나 3∼5세 전체에서 장애관련 활동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주제도 있었다. 활동유형별 분석에서는 대소집단활동이 자유선택활동보다 더 많은 장애관련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고, 장애유형별로는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가 언급되어 있었다. 장학자료 분석에서는 Ⅰ수준보다 Ⅱ수준에 2배 이상의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고 전체 활동수는 20개로 누리과정의 20개와 동일한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유아기 보육과 교육을 통합한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소개된 활동에는 1%가 채 안되는 미미한 수준의 장애관련 활동이 포함되어 있어, 유아들에게 이른 시기부터 장애관련 용어와 도구 및 시설을 접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친숙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애관련 활동을 다양화하고 양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cluded in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and materials for the encouragement of teaching to seek for an efficient application plan for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reflected disability-related contents, terms and methods with 10 volumes for children aged 3, 11 for those aged 4 and 11 for those aged 5 of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and materials for the encouragement of teaching,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eight of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cluded in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was 0.15% for children aged 3; 0.94% for those aged 4; and 1.72% for those aged 5, and yet, out of the total 2,116 activities,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were only 20 types, (0.95%) which was very low.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cluded in the materials for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vities, out of a total 20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free-choice activities were 6 while large and sub-group activities were 14, which overall were distributed evenly. In sum,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cluded in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and the materials for the encouragement of teaching accounted for a very low proportion.

      • KCI등재
      • KCI등재

        자폐성 아동의 이야기 내용 이해와 회상 능력 향상을 위한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의 효과

        이효신 ( Hyo Shin Lee ),민기연 ( Ki Yeon Mi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이야기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성 아동에게 이야기를 읽은 후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이야기 내용 이해와 회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2명의 자폐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대상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중재단계에서는 모델링수준과 안내수준, 그리고 독립연습수준으로 나누어 활동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는 이야기문법이해검사와 회상검사이며, 이 검사들의 결과를 통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의 이야기내용 이해와 회상능력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은 자폐성 아동의 이야기내용 이해능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이 자폐성 아동의 회상능력을 향상시켰다. 향후 더 많은 대상과 보다 다양한 구조의 이야기를 통한 연구로 본 연구의 일반화가 요구되며, 아동의 이야기 이해 능력에 관한 질적인 변화를 밝힐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mapping activity on story contents comprehension and recalling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story mapping activity improve story contests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econd, does story mapping activity improve recalling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his study was composed of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in which subjects were two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he procedure of this experiment was composed of baseline test, model phase, lead phase, independent practice phase and maintenance test in a row. Story contents test and recalling test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Procedure of story mapping activity was composed by 3 steps of model phase, lead phase, independent practice phase. In model phase, researcher`s modelling of story mapping was essential and children were intended to learn the process of story mapping. Researcher`s modelling was gradually eliminated in lead phase for children to do it by themselves. Researcher guides children and provides them with feedbacks. In independent phase, children were intended to perform the process of story mapping independently. Researcher monitors the children and helps them when they need. Through these activity, children learned the story mapping and the results of the activity as follows: First, story mapping activ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ory contests comprehen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econd, story mapping activ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alling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 KCI등재

        주의력결핍장애(ADD) 아동 및 일반아동의주의력 특성 중 반응속도와 정확성에 관한 연구

        이효신 ( Hyo Shin Lee ),신윤희 ( Yun Hee Shin ),윤주연 ( Ju Yeon Yun ),안진웅 ( Jin Ung An ),이승현 ( Seung Hyen Lee ),조정연 ( Jung Yeon Jo ),임난희 ( Nan Hee 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장애(ADD) 아동과 일반아동들 간의 멀티미디어를 통한 주의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커스 된 주의력과 지속적인 주의력, 선택적인 주의력을 함께 요하는 멀티미디어 과제를 주고 반응시간과 답에 대한 정확성을 체크하여 주의력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집단은 대구 및 경상도 소재의 초등학교 고학년 총 9명을 대상으로 ADHD를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 데이터는 비모수통계의 Mann-Whitney검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반응시간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과제의 전/중/후반으로 나누었을 때 난이도가 높은 지속적 주의집중과제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과제의 정확성의 경우에는 난이도가 높은 선택적 주의집중과제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제의 전/중/후반으로 나누었을 때 과제의 중반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과제의 난이도가 어려워질수록 주의력결핍장애(ADD) 아동들은 일반아동에 비해 과제의 초기에 주의집중이 떨어지고 정확성에 있어서도 평균적으로 과제를 해내지 못함으로 주의력결핍장애(ADD) 아동 중재 시 일반아동과는 다른 과제 수행 정확성을 점검하는 동시에 과제 제시 초기 및 후기에 주의집중을 할 수 있는 중재전략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of attention traits (accuracy and response time) of ADD children in Focused attention, Sustained attention and Selective attention in contrast with normal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9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 in Daegu and Gyeongsang-do (5 in ADHD, 4 in Controls). We gave the participants 5 multi-media tasks (1 Focused attention task, 2 Sustained attention tasks, 2 Selective attention tasks). Accuracy and response time (RT) of tasks were assessed by 2 observers using checklist. We analyzed using Mann-Whitney U as non-parametric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 with ADD showed not significant mean difference from total of response time, but they only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the first part of more difficult sustained attention task from controls. Secondly, the children with ADD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total of accuracy of selective attention task. Also they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dium part of selective attention task from controls. So, we suggested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consist of intervention of when they attend on, what kind of task they take for ADD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영상매체 활용이 초등학교 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설문태도와 어휘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효신(Hyo-Shin Lee) 한국언어치료학회 2003 言語治療硏究 Vol.12 No.2

        Inclusion in regular education setting has been the catalyst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 pract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goal of inclusion i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have the opportunities to become a fully contributing member of the peer and social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compare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children's survey attitudes and vocabulary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use the video materials which is related with the life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e experimental group with thirty elementary fifth grade children and one control group with thirty elementary fifth grade children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Video materials projected for five times to the control group. Pre-test with a thirty-question questionnaire and twenty adjective vocabularie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urveyed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ost-test was surveyed after projection the video materials with same procedure in pre-test. Pre- and post-test with t-test were utiliz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survey and vocabulary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elementary children's survey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projection the video materials were positively changed; and (b) the elementary children's adjective vocabulary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projection the video materials were no changed.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vocabulary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not changed easily.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의 학급 내 문제행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이효신 ( Hyo-shin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2

        특수학교 학급내 문제행동은 교사가 겪는 가장 큰 어려움중의 하나이다. 문제행동에 대처하는 방법은 전통적 행동수정기법에서 기능평가에 따른 대처방법으로, 그리고 긍정적행동지원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는 교사의 업무를 과중시키는 것으로 현장에서의 실시는 어려움을 동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절차가 최상의 방법이라면 그 실시방법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제행동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 성격의 문제행동 실태 연구이다. 연구결과, 특수학교 학급내 문제행동유형은 여덟 가지로 나타났으며, 발생정도는 교사의 성별, 학급별, 경력별로 다르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교사들은 문제행동의 기능보다는 유형에 따라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행동 기능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가 문제행동에 대처하기 위한 교사교육(80%이상)과 설비(70%이상)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대처를 위한 지원 욕구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There are two reasons generally why the child``s behavior is recognized as problem behavior. One is that the child``s behavior is deviant when comparing with other children``s behavior. And the other reason is that the behavior is not accepted in social and/or cultural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roblem behavior in special classroom and to illustrate th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the problem behavior. Two hundred and twenty eight special class teacher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roblem behavior in special classroom and to illustrate th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the problem behavior from 12-question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dimensions such as the forms and frequency of problem behavior, teachers`` recognition on functional assessment, and needs for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in the forms of problem behavior, there were 8 forms of problem behavior,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on occurrence rate of problem behavior in class completely vary with their gender, class level, and career; (b) most of the teachers cope with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forms of behavior; (c) most of the teachers(more than 70 or 80%) wanted to be support for in-service program and fac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지체 아동의 표현언어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이효신(Hyo-Shin Lee),김은주(Eun-Joo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03 言語治療硏究 Vol.12 No.1

        본 연구는 놀이 활동이 발달상의 지체를 가진 아동의 표현언어 수준을 변화시키는지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독립변인으로서 놀이활동을 선택한 것은 최근의 언어중재 동향이 전통적 행동수정방법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기능적 언어증재를 강조하고 있는대에 근거한다. 놀이활동은 쌓기놀이, 음률놀이, 미술놀이로 세분화하였고, 연구대상 아동은 발달지수가 약 74인 초등학교 1학년 남아이다.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방법의 AB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 습득된 언어표현 능력이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대상 아동은 기초선기간에 비하여 중재기간에는 평균적으로 약 10배 정도의 언어표현 빈도를 나타내었고, 유지기간에는 약 8~9배 정도의 언어표현 빈도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기초선 기간과 중재기간의 측정치를 비교해 볼때 중복율이 0으로 나타났고, 중재기간 측정치의 경향선이 상향적으로 나타난 , 표현언어의 변화를 극명히 나나태주었다. 놀이활동별 표현언어 빈도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회기가 거듭될수록 쌓기놀이에서의 언어 빈도가 두드러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동요-시간지연법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 사례연구

        이효신(Hyo-Shin Lee),김성화(Seong-Hwa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04 言語治療硏究 Vol.13 No.4

        Early childhood is a critical period for language development. In case of teaching language to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repeated and direct vocabulary instruction make them tedious, thus, they are not willing to participate in learning language.Music, itself is to be a reinforcement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Recently, there are many studies whose results show the decrease maladaptive behaviors and the increase adaptive behaviors through a song.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ime delay technique using children's song in improving vocabulary 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cabulary training on the acquisition of vocabularies through time delay technique using children's songs which are familiar with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study 2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selected. They were trained through program for children's song-time delay activities for forty minutes per session in total of thirty sessions, 4 days a week.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improved and they are to be full of confidence and interest to speak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