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리더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효섭(Lee Hyo Seop),정홍인(Jeong Hong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리더의 코칭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리더의 코칭행동, 정서적 조직몰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변인 간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제적 검증을 위하여 수도권 내 300인 이상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266개의 데이터는 SPSS(23.0)와 AMOS(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코칭행동이 높을수록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의 코칭행동이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의 코칭행동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더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리더의 코칭행동이 정서적 조직몰입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발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affective commitment. To do this, prior research related to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affective commitment was reviewed and a model was set up between the variables based o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266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Korean companies by SPSS 23.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affective commitment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Third, the self-directedness for leanring has been shown to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he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affective commi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and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and that in order for the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to lead to affective commitment, above all else, 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must be manifest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rends were presented.

      • KCI등재

        평생교육사의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이효섭(Lee, Hyo Seop),정홍인(Jeong, Hong-I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선행요인으로 직무만족을 선정하고 직무만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직무만족, 혁신행동, 지식공유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변인 간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제적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 내 평생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평생교육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23.0)와 AMOS(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가 자신의 직무에 만족할수록 혁신행동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사의 직무만족과 혁신행동간 지식공유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만족과 지식공유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 간 지식공유가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job satisfaction as a prior facto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on behavior in order to promote innovation behavior of lifelong educators. To this end, prior research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novative behavior, and knowledge sharing was reviewed and a model was set up between the variables based on this research. For practical verification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09 lifelong educators working fo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23.0) and AMOS(18.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satisfied a lifelong educator is with his or her job, the more innovative action is expressed. Second, knowledge sharing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lifelong educators was found to be partia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job satisfaction and knowledge shar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that knowledge sharing among members must be achieved above all in order for job satisfaction to lead to innov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rends were presented.

      • KCI등재

        국내 민간—공공 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연구동향 비교

        이효섭(Lee Hyo Seop),조대연(Cho Dae-yeon),정홍인(Jeong Hong In)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과 공공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수행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해 각 부문별 효율적이고도 맞춤화된 아웃플레이스먼트 수행 방향성을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민간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아웃플레이스먼트에 관한 논문과 공공부문 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을 상호간 비교하는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웃플레이스먼트는 1997년 국내 도입이후 꾸준히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2010년 이후로 본격 활성화되고 있다. 둘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학술논문 출처 및 학술지분야에서는 교육관련 분야가 가장 많았다. 셋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주요 개념에 있어 민간부문에서는 실행방식 측면의 개념들이 다수를 이루었고 공공부문에서는 실행목적 측면의 개념들이 다수 사용되었다. 넷째, 민간과 공공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주요 관점에 따른 목적은 퇴직자 관점을 중심으로 재취업의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민간부문에서는 특히 경제 및 재무의 목적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다섯째,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수행 주체에 있어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조직자체&외부기관의 활용이 많았고, 민간부문에서는 외부전문기관을 활용하는 케이스도 적지 않았다. 여섯째, 그간 국내에서 진행된 아웃플레이스먼트의 문제점들에 있어서는 형식적이거나 차별화되지 않는 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안으로 실질적인 취업과 연계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민간부문은 경제교육에 대한 필요를 가장 많이 언급하였으며 공공부문은 아웃플레이스먼트 교육 시행기간 연장에 대한 필요성을 다수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icient and customized outplacement direction for each department through systematic comparison and analysis of outplacement performance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To do thi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comparing outplacement articles for private sector employees and for public sector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utplacement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ince its introduction in Korea in 1997, and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2010. Second, in the field of academic publications and academic journals of outplacement, education related fields were the most common. Third, in the main concept of outplacement, the concept of executive aspec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concept of executive object has been used in the public sector. Fourth, the purposes of outplacement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were mainly the purpose of reemployment, especially retirees perspective, and the private sector was the next most important economic and financial purpose. Fifth, Principal agent of Execution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sector used the organization itself and outside organizations, and the private sector used external experts. Sixth, the problems of outplacement in Korea have been mentioned most in perfunctory and equivalent education programs. A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proposed in relation to practical employment. In addition, the private sector has addressed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the most, and the public sector has raised the need for extension of outplacement educatio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강효주(Kang, Hyo Joo),이효섭(Lee, Hyo Seop)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직원열의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코로나로 인한 급격한 비대면 업무방식의 확대로 구성원들이 과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자기효능감을 발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직원열의를 강화할 수 있는 선행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잡크래프팅이 직원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 직원열의, 잡크래프팅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확인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잡크래프팅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잡크래프팅과 직원열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제조업 A사의 260명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온라인)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은 직원열의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은 잡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크래프팅은 직원열의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를 잡크래프팅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 제언을 함께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n increase employee engagement in the post-coronavirus new normal era.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non-contact working environments due to the Coronaviru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preceding factors that can reinforce employee engagement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for memb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asks or demonstrate self-efficac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crafting on employee engagement. Furthermore, it aimed to verify through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employee engagement and job crafting. Th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260 employees of a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y named 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irst found that the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craft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job craft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ir significance,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관리자 코칭리더십의 국내 연구 동향

        강지운(Ji Woon Kang),이효섭(Hyo Seop Lee)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괸리자 코칭리더십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적 연구 수행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0월까지 국내 학술등재지(KCI)에 수록된 관리자 코칭리더십 관련 총 131편의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물의 초록을 대상으로 키워드 전처리 작업을 거쳐 최종 1,142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 키워드들을 바탕으로 NetMiner Ver.4를 활용한 키워드 빈도분석, 시기별 키워드분석, 단어쌍의 동시출현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코칭리더십관련 연결중심성이 높은 주요 키워드들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하여 8개의 토픽그룹(스포츠 분야에서의 피드백,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자기효능감 및 혁신행동,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매개효과 연구, 자기효능감을 통한 직무성과 향상, 이직의도 및 조직몰입 개선, 코칭자신감을 통한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성리더십 및 팀 운영)을 도출하였고 각 토픽간 네트워크 구조를 시각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코칭리더십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방향성 검토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managerial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by using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 seek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al research. To this end, a total of 131 academic papers related to managerial coaching leadership, which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cademic Registration (KCI), were selected by October 2020. The final 1,142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keyword pre-processing for the abstract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keywords, a keyword frequency analysis using NetMiner Ver.4, keyword analysis by period, and simultaneous 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of word pairs were performed. In addi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key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related to coaching leadership were extracted. Finally, using topic modeling analysis, eight topic groups(Feedback in the field of sports,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research on mediating effects for improving resilience,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through self-efficacy, improvement of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empowerment through coaching confidence, authentic leadership and team operation) were drawn, the network structure between each topic was visualized, and through this, the direction for academic development of coaching leadership was review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