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명,김영미,Lee, Hwa-Myung,Kim, Yeoung-Mi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in out-of-school youths upon career behavio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its relationship.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7 out-of-school youths who dwell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ilience appear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Seeing the outcomes of this study, a positive support seems to be necessary so that out-of-school youths can make good use of the social capital in local community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ut-of-school youths. Furthermor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s must be developed that can enhance resilience in out-of-school youths. A career counseling with the focus on resilience will need to be carried out.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이화명(Hwa-Myung Lee),김영미(Yeoung-M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사회적 낙인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방안을 모색하고, 자기개념 명확성을 높일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out-of-school youth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ut-of-school youth who resided in the city of Bu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concept clarity. Second,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Third,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Fourth,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hav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out-of-school youth and urged offering counseling intervention geared toward boosting self-concept clarity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이화명(Hwa-Myung Lee),김영미(Yeoung-M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의 다문화 가정 중학교 청소년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은 자기조절능력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은 심리사회적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의 타인인식과 심리사회적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결과, 자기조절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를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ther-awarenes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upon psychosocial adjustment and to figure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ory ability in this relationship.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7 middle-school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city. As a result, the other-awareness in multicultural teenagers had a negative(-) influence upon the self-regulation and the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elf-regulatory abilit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sychosocial adjustment. Also, in consequence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awaren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elf-regulatory ability was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light of this outcome, diverse programs for self-regulation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psychosocia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 institutional support from school and community must be made for raising the positive awareness o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ppearance satisfacti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mployment Stress

        Hwa-Myung Lee(이화명),Hyo-Jin Park(박효진),Eun-Ju Yoo(유은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외모만족도,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는 학년(F=4.25, P=0.01), 종교(t=0.70), 학과 및 계열(F=7.50, P=.0001), 성격(F=6.406, P=0.001), 대학 생활만족도(F=8.09, P=0.001), 평균 성적(F=5.37, P=0.005) 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취업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r=-.439, p<.001), 전공만족도(r=-.377, p<.001), 외모만족도(r=-.273, p<.001)에서 부적 상관관계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외모만족도을 높이기 위한 관련된 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양한 변인에 대한 반복적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suggestions for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in B metropolitan city,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22.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in grade (f=4.25, P=0.01), religion (t=0.70), department and department (F=7.50, P=.0001), personality (F=6.406, P=0.001),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f=8.09, P=0.001), and average score (f=5.37, P=0.005). The employment stress of the subjec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r=-.439, p<.001), major satisfaction(r=-.377, p<.001), and appearance satisfaction(r=-.273, p<.001).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in order to reduce the employment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repetitive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various factors.

      • KCI등재

        한부모 빈곤여성의 사회적 배제감이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명(Hwa-Myung Lee),정원철(Weon-Cheo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 빈곤여성의 사회적 배제감이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와 김해시, 양산시에 거주하는 20세에서 60세까지의 한부모 빈곤여성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한부모 빈곤여성들은 건강차원과 관계차원, 생산차원, 소비차원, 정치참여차원, 그리고 주거 차원에서 배제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 빈 여성들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탈빈곤 의지가 높았고, 건강차원과 관계차원, 생산차원, 소비차원, 정치참여차원, 그리고 주거차원에서 배제감이 높을수록 탈빈곤 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배제가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한부모 빈곤여성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감을 완화하고, 탈빈곤 의지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역사회에 의한 공식적 사회적 지지와 이웃과 친구, 그리고 친지들의 비공식적 사회적 지지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 produced any mediating effects when needy single mothers sense of social exclusion affected their own will to escape pover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6 poor single mothers who resided in the cities of Busan, Gimhae and Yangsan and who were in their 20s to 60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 mothers who lived in poverty were given less social support when they felt more excluded in the dimensions of health, relationships, production, consumpti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housing. Second, the needy single mothers had a more will to escape poverty when more social support was provided and less will to escape poverty when they felt more excluded in the dimensions of health, relationships, production, consumpti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housing. Third, social support produced mediating effects when social exclusion affected the will to escape pover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relieve needy single mothers sense of social exclusion and bolster their will to escape poverty, formal social support from the nation and local community and informal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friends and relatives should both be strengthened.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명 ( Lee Hwa-myung ),김영미 ( Kim Young-mi )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9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사회적 낙인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개념 명확성을 포괄하는 효율적인 상담개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방안을 모색하고, 자기개념 명확성을 높일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out-of-school youth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ut-of-school youth who resided in the city of Bu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concept clarity. Second,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Third,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Fourth,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hav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kind of efficient counseling intervention that aims at instilling distinct self-concept as one of its goals should be provided to facilitat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out-of-school youth.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out-of-school youth and urged offering counseling intervention geared toward boosting self-concept clarity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의식, 결혼의식, 출산의식, 예비부모역할과의 관계

        이화명(Hwa-Myung Lee),박혜진(Hye Jin Park),박효진(Hyo-Jin Park),유은주(Eun-Ju Yo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의식, 결혼의식과 출산의식 및 예비부모역할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위치한 B,K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G-POWER 3.1.9.2 program을 이용하여 ANOVA에서 유의수준(α) 0.05, 검정력(1-β) 0.8, 효과의 크기(fz)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의식은 평균 2.91±0.43점, 결혼의식은 3.27±0.40점, 출산의식은 3.32±0.43점, 예비부모역할은 3.35±0.3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의식, 결혼의식, 출산의식, 예비부모역할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성의식은 성별(t=6.910, p<.001), 연령(F=3.032 p=.030), 전공(F=5.402, p=.005), 부모성향(F=2.801, p=.027)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결혼의식은 가족구성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출산의식은 학년, 가족구성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예비부모역할은 학년, 가족구성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예비부모역할은 성의식, 결혼의식, 출산의식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부모-자녀관계를 바탕으로 한 예비부모역할에 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고, 성의식, 결혼의식, 출산의식, 예비부모역할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consciousness, marriage consciousness, birth consciousness and pre-parent role of college student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 attending B,K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and the significance level(α) 0.05, power(1-) 0.8, effect size(fz) was verified in ANOVA using G-POWER 3.1.9.2 program.,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of sexual consciousness was 2.91±0.43, the marriage consciousness was 3.27±0.40, the birth consciousness was 3.32±0.43, and the pre-parent role was 3.35±0.35.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consciousness, marriage consciousness, birth consciousness, and pre-parent rol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xual conscious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6.910, p<.001), age (F=3.032 p=.030), major (F=5.402, p=.005), and parental orientation (F=2.801, p=.027).,The marriage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members, and the birth conscious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family members, and the role of pre-parents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grade and family members.,The role of pre-parents of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exual consciousness, marriage consciousness, and birth consciousness.,Repeated studies on the role of pre-parents based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re needed, and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consciousness, marriage consciousness, birth consciousness, and pre-parent role.

      • KCI등재

        양육 청소년 미혼모의 적응유연성이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Yeoung-Mi Kim),이화명(Hwa-My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에서는 양육 청소년 미혼모를 대상으로 적응유연성이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편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적응유연성 중 낙관성이 사회적 편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유연성 중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긍정적 양육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편견은 긍정적 양육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편견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양육 청소년 미혼모들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양육행동 강화방안을 모색하고, 양육 청소년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불식시킬 수 있는 상담적 개입과 사회복지적 접근의 중요성을 촉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esilience of young single mothers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ejud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ptimism among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ffected social prejudice in a negative way. Second,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and positive evaluation about self among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ffect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a positive way. Third, Social prejudice was found to have affect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a negative way. Fourth, social prejudice was found to hav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d how to bolster the resil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f young single mothers and urged counseling intervention and social-welfare approach to dispel social prejud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