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골관절염 유병률과 관련요인: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2010∼2012

        이혜상 ( Hye Sang Lee ) 대한영양사협회 2014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0 No.2

        본 연구는 2010∼201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65세 이상 노인자료를 사용하여 골관절염 유병률과 건강관련 생활습관, 신체특성 및 생화학적 지표, 영양소 섭취상태와 골관절염 발생과의 관련성을 복합표본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골관절염군은 남자 152명, 여자 669명, 정상군은 남자 1,508명, 여자 1,420명이었으며, 골관절염 유병률은 남자 9.3%, 여자 32.5%로 성별과 골관절염 유무와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거주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 고혈압약 복용여부는 골관절염 유무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골관절염군의 평균 연령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 골관절염 유무와 관련성을 나타낸 거주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 나이, 고혈압약 복용여부로 보정한 후 평균값은 남녀 모두 골관절염군의 BMI, 허리둘레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남녀 모두 골관절염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3. 흡연, 알코올 섭취,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걷기 실천율은 골관절염 유병률과 관련이 없었다. 4. BMI에 의한 비만, 복부비만은 정상에 비해 골관절염 유병률이 각각 1.96배, 1.82배 높게 나타났다. 5. 비타민 A와 리보플라빈의 경우에는 EAR 미만 섭취하는 집단이 EAR 이상 섭취하는 집단에 비해 골관절염 유병률이 각각 1.26배, 1.34배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다른 영양소는 섭취 부족 여부가 골관절염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에 있어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영양소 부족 집단에서 골관절염 유병률이 높았다. 2010∼201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생화학적 지표,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와 골관절염 발생과의 관련성을 복합표본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대부분의 건강행태, 혈액의 생화학적 지표에 의한 질병은 골관절염 유병률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비만과 비타민 A/리보플라빈 섭취부족은 골관절염 유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단면 연구라서 골관절염과의 관련성 여부만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과 1일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자료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상적인 평균섭취량을 반영하지 못한 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골관절염에 대해 최근 진단의 객관성을 보완한 방사선 자료를 사용하여 골관절염 유병률을 측정하였고, 건강관련 생활습관, 만성질환, 영양소 섭취상태와 골관절염 발생과의 관련성을 다면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as well as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in Koreans over 65 years using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Of the participants from KNHANES V, a total of 3,479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complex samples (Windows ver. 21.0). Osteoarthritis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female (32.5%) or rural (26.8%) groups than male (9.3%) or urban (20.3%) groups. Mean age of the osteoarthriti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Mean values of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steoarthriti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ereas height, 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s were no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osteoarthritis group. The results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obesity and vitamin A/riboflavin intak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whereas smoking, alcohol intake, physical activity,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anemia, and diabetes were not. This study suggests that obesity and nutrient intakes were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whereas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lipidemia, anemia, and diabetes as well as health habits were not. Prospective research of long-term control is needed to establish the effects of those factors on the osteoarthritis.

      • KCI등재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관절염 유병율과 건강습관 관련 위험요인 분석

        이혜상(Hye-Sang Lee),권정숙(Chong Suk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9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관절염 유병율과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관절염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비만도,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와 관절염 발생의 관련성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지역 보건소를 방문한 1,462명 중 의사로부터 관절염 진단을 받았거나 또는 개인의 증상을 토대로 자가 진단한 경우를 관절염군(총 322명, 남자 72명, 여자 250명), 관절염 진단을 받은 적이 없고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를 정상군(총 1140명, 남자 472명, 여자 668명)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여자의 관절염 유병율이 남자에 비해 14% 높았고, 남녀 모두 관절염군의 평균 연령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신체 계측과 혈액의 생화학적 조사 결과, 남자는 신장, 체중,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당에 있어서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여자는 관절염군에서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에서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생활습관을 조사한 결과, 흡연, 음주 및 운동 습관에 있어서 남녀 모두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농사활동 정도에 있어서도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절염 발생 위험 요인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관절염 발생 위험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1.98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45∼64세보다 65세 이상에서 위험도가 높았다.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의 경우, 남자는 이들이 관절염 발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으나, 여자에서는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의 증가에 따라 관절염 발생 위험도도 증가하였다. 혈액의 지질, 총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치는 관절염 발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남자에서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서 관절염 발생 위험성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흡연, 음주 및 운동여부가 관절염 발생의 위험인자라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품섭취빈도법으로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하여 남녀 각각의 중위수를 기준으로 중위수 미만 섭취자와 중위수 이상 섭취자로 이등분하여 관절염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관절염 발생과 관련이 있는 영양소는 남자의 경우 비타민 A와 리보플라빈으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 지방, 칼슘, 철분 및 비타민 A로 나타났으나 남자는 비타민 A와 리보플라빈의 섭취가 적은 경우에 여자는 지방, 칼슘, 철분 및 비타민 A의 섭취가 많은 경우에 관절염 발생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심한 관절염환자가 포함되지 못한 점, 횡단 연구로 식생활과 질병의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없었던 점, 대상자가 안동지역에 국한되어 있어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 등 몇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하지만 국내에 관절염과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 연구는 비만도 및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영양소 섭취상태가 관절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관절염 예방과 치료를 위한 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and the risk factors of arthritis in Andong rural area in 2003. The subjects were 1,462 people (544 males, 818 females) aged 45 years and over. The arthritis group was composed of 322 people (72 males, 250 females), diagnosed by doctor or self-diagnosed by the symptoms. Prevalence of arthritis was higher in female (27.2%) compared to male (13.2%). Mean age of arthriti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male 66.2 vs 62.8, female 62.6 vs 60.1, p<0.001).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uch as % body fat,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and the biochemical measurements, such as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female (not in male) arthritis group than those in normal group. Health related lifestyle factors, such a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were not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The risk factors for arthritis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ethod and expressed as odds ratio (OR).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compared to male (OR=1.983), over 65 years compared to 45~64 years (male OR=2.769 and female OR=1.461), and obese female subjects (not for male) by % body fat (≥32% OR=2.035) or BMI (≥25 ㎏/㎡ OR=1.556)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k factors for arthritis. Regarding nutrient intakes, higher intakes of fat (OR=1.443), calcium (OR=1.503), iron (OR=1.518) and vitamin A (OR=1.390) in female seemed to be risk factors. In contrast to female, higher intakes of vitamin A (OR=0.526) and riboflavin (OR=0.582) seemed to decrease the risk for arthritis in mal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revalence of arth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and aged individuals. Also, in order to decrease the prevalence and/or prevention of arthritis, female should prevent overfatness and decrease some nutrient intakes, while male should increase their intakes.

      • KCI등재

        안동주변 농촌지역 50세 이상 주민의 식품섭취빈도 및 건강행위에 따른 영양위험 분석 (1)

        이혜상(Hye-Sang Lee),권인숙(In Sook Kwun),권정숙(Chong Suk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8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 및 건강상태 개선을 위한 노인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지역 농촌의 50세 이상 주민 1,384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식품섭취빈도에 관한 설문조사 및 식이섭취조사를 수행하였고, 건강관련행위 및 식품섭취빈도와 영양소섭취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별 분포는 50~64세가 60.0%(남자 54.0%, 여자 63.9%), 65~74세가 34.4%(남자 38.5%, 여자 31.8%), 75세 이상이 5.6%(남자 7.5%, 여자 4.3%)이었다. 대상자의 흡연율은 남자 78.0%, 여자 4.1%로 남자의 흡연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음주율은 남자 64.5%, 여자 31.8%로 이 지역 조사대상자들의 음주율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나타난 전국평균보다는 다소 낮았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은 남자의 9.8%, 여자의 6.7%로서 90% 이상이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를 거의 먹지 않는 사람이 남자는 35.2%, 여자는 65.0%, 생선을 거의 먹지 않는 사람이 남자는 32.1%, 여자는 44.7%로 나타났으며, 과일을 거의 먹지 않는 경우는 15.7%(남자 15.2%, 여자 16.0%)이었다. 김치를 제외한 채소의 경우 42.6%(남자 40.0%, 여자 44.1%)가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 섭취량이 남자 1410.5 ㎉, 여자 1279.2 ㎉인 점과 에너지 필요추정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92.5%, 여자 88.4%인 것으로 볼 때 이 지역 조사대상자들의 에너지 섭취 부족은 심각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단백질 섭취량은 남자 53.8 g, 여자 46.9 g이었으며, 남자의 27.8%, 여자의 29.8%가 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였다. 비타민 섭취량을 평균필요량과 비교 분석한 결과, 리보플라빈 섭취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남자 92.5%, 여자 89.6%), 다음은 엽산(남자 89.7%, 여자 88.5%), 티아민(남자 76.7%, 여자 77.2%), 그리고 비타민 A(남자 69.9%, 여자 75.6%)의 순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비타민 섭취량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무기질 섭취량 분석 결과, 칼슘(남자 78.0%, 여자 85.8%)의 섭취가 가장 부족하였으며, 아연(남자 65.6%, 여자 52.1%)이 칼슘에 이어 부족하게 섭취하는 무기질이었다. 75세 이상 주민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단백질, 비타민 B?, 철은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육류 섭취를 거의 하지 않는 사람은 육류를 일주일에 3회 이상 섭취하는 사람보다 단백질과 니아신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생선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단백질, 니아신, 비타민 B? 그리고 아연의 섭취가 낮았으나, 과일과 김치를 제외한 채소에 대한 섭취빈도는 영양위험 수준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로 인한 영양소 섭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여자 노인에서는 일주일에 1~2회 음주자의 영양 섭취 불량 비율이 비음주자 또는 거의 매일 음주하는 사람보다 오히려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대부분의 영양소에 있어서 섭취 부족비율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여자는 인의 섭취 불량 비율이 흡연자에게서 유의하게 높았다. 남녀 모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의 영양불량 비율이 낮은 경향이었으나, 남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여자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보다 그렇지 못한 사람에서 에너지,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 아연의 섭취 불량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50세 이상 주민은 흡연율이 높고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 건강관련 생활습관이 좋지 않았고, 육류, 생선, 채소 등의 식품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어육류의 섭취빈도는 영양위험과의 관련성이 높았다. 따라서 이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금연교육과 함께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채소와 어육류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양중재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nutritional risks based on the food intake frequency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living in Andong are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84 subjects (532 males, 852 females) aged 50 years and over. Nutrient intakes, food intake frequency,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cluding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energy intakes were 1410.5 ㎉ for males and 1279.2 ㎉ for females, and the percentages of the subjects consuming below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were 92.5% and 88.4%, respectively. The least consumed nutrients compared to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were riboflavin (92.5% for males, 89.6% for females), folic acid (89.7%, 88.5%), and calcium (78.9%, 85.8%), in order. According to the food intake frequency survey, the intakes of meat, fish and vegetable (except kimchi) were very poor, and this low intakes of meat and fish showed as poor status of protein, niacin, vitamin B?, and zinc intakes. Health-related behaviors data showed that the ratio of cigarette smokers, especially male, was higher, while the ratio of the person exercising regularly was lower than that of the nationwide statistics, respectively. Cigarette smoking and drinking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oor nutrition intake, while regular exercise positively influenced nutrient intakes in female subje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subjects was likely to be severely deficient and the low intakes of meat and fish to be high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nutritional risk.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ary disease related to the food intak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subjects, the proper educational program on balanced dietary intake and the correction of health-related behavior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is area.

      • KCI등재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고혈압 유병율과 위험요인 분석

        이혜상(Hye-Sang Lee),권인숙(In-Sook Kwun),권정숙(Chong Suk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7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예방을 위한 영양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지역 농촌의 40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생화학적 영양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가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지스틱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 1,296명(남자 496명, 여자 800명) 중 고혈압(비인지 고혈압)이 602명(남자 272명, 여자 330명)으로 46.5%였으며, 원대상자의 고혈압 환자(778명) 중 고혈압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23%(176명)인 반면, 고혈압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 77%로, 고혈압 환자의 3/4이상이 자신이 고혈압인지를 모르고 있는 실정이었다. 신체계측 결과, 체중,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가 남녀 모두 정상 혈압군보다 고혈압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혈액의 생화학적 조사 결과, 여자의 중성지방치가 정상혈압군에 비해 고혈압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제외하고,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남자) 및 공복혈당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를 교차비로 분석한 결과, 남성, 고령, 체지방율 또는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 허리둘레에 의한 복부비만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액의 지질치와 공복 혈당치는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음주 및 운동습관의 고혈압 발생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흡연여부와 흡연량은 관련성이 없었고, 음주의 경우는 음주 빈도가 높거나 음주량이 많을수록 고혈압 발생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습관의 경우, 운동 여부, 빈도 및 일회 운동시간 모두 고혈압 발생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과 고혈압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육류 섭취를 주 1회 미만 하는 사람이 주 1회 이상 하는 사람보다 고혈압 발생 위험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생선, 과일 및 채소 섭취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영양섭취 기준 이상과 미만 섭취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영양소 섭취 상태와 고혈압 발생의 유의적인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 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조기 발견을 위해 규칙적인 혈압 측정이 필요하며, 고혈압 예방을 위해 음주 빈도와 일일 음주량을 줄이고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질병과 영양 섭취의 관련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사용이 타당하나, 본 연구에서는 조사원의 부족과 조사대상자의 제한점으로 인해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였고, 이로 인해 고혈압과 영양 섭취와의 관련성을 입증함에 있어서 다소 미흡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from Jan/2003 to Feb/2003. The subjects were 1,296 people (496 males, 800 females) aged 40 years and over living in Andong rural area. The hypertensive group was composed of 602 people (272 males, 330 females), who were diagnosed as hypertension (SBP≥140 ㎜Hg or DBP≥90 ㎜Hg) for the first time at this health examination. The mean anthropometric values of body weight, body fat (%),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ypertensive group than those in normal group. However, the biochemical measurements such as total-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DL-C, LDL-C and fasting blood glucose (FBG) level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xcept TG in female. The risk factors of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expressed as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tial interval (CI). The results showed that age, sex, obesity, waist circumference, alcohol drinking and meat intakes were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In contrast, cigarette smoking, exercise and the increased fish, fruit and vegetable (except Kimchi) consumption, blood lipid levels and FBG were not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Nutrient intakes were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either. In conclusion, we cannot assert that this study established the existence o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s and risk of hypertension in the subjects, but it does suggest that this is a question worth investigating further using a larger scale of case-control study to determine how the past exposure to some nutrient or dietary component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50세 이상 남성의 골감소증,골다공증 유병률과 관련 요인: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혜상 ( Hye Sang Lee ) 대한영양사협회 2016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2 No.2

        Osteoporosis is a major health problem that can lead to mort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separately an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pe-nia/osteoporosis in Korean men aged 50 years and over. A total of 1,136 subjects were analyz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0∼2011 by us-ing SPSS statistics complex samples (windows ver. 23.0). The prevalence rates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were 46.3% and 7.3%, respectively, and the mean ages of both osteopenia and osteoporosis risk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The mean values for lifetime tallest height and bone min-eral density in whole body, total femur,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isk group(osteopenia/osteoporosis) than in the normal group, whereas the mean values for height, body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alkaline phosphatase, parathyroid hormone, 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of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intakes of energy and carbohyd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isk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being underweight and having hypercholesterolemia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osteopenia/osteoporosis, whereas health habits such as smoking and exercise,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hypertension, and nutrient intakes were not.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to examine osteopenia/osteoporosis risk factors and outcomes specificly fo-cused on Korean men.

      • KCI등재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 요인 - 생활습관, 정신건강, 만성질환 및 영양상태 중심으로 - :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혜상 ( Hye-sang Lee ) 대한영양사협회 2018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4 No.2

        Depression is a major health problem that can lead to mort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 group aged over 65 years by analyz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n survey data. A total of 1,209 subjects were analyz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atistical methods for a complex sample were applied by using SPSS program(windows ver. 24.0). Depression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9-item depression module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Depression (PHQ-9≥5)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females (33.2%) compared to males (16.1%).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suggesting that characteristics such as residence area, income level and age, except for educational level, were related with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 health habits such as smoking (OR: 2.26) and lack of aerobic physical activity (OR: 1.62), ii) mental health status such as bad self-rating of health status (OR: 4.30), more stress (OR: 8.31), and ba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EQ_5D, OR: 3.41), iii)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OR: 0.66), hypercholesterolemia (OR: 1.57), anemia (OR: 1.91), and iv) low intake of energy (OR: 1.84) and calcium (OR: 1.7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ertain characteristics of health habits, mental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may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Prospective research on long-term control is needed to establish causal connections among those factors with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