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가 관련 제도의 변화 및 학교 급별 평가혁신 방안 연구

        이형빈(Lee Hyoung bi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2

        평가는 학생의 교육목표 도달도를 확인하고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일환이다. 그러나 오랜 기간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에서 비롯된 학생 서열화를 위한 일제식 평가 관행으로 인해 평가의 본질은 왜곡되어 왔다. 그러나 평가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평가 관련 정책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더디지만 꾸준히 변화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해 왔듯이, 평가의 패러다임은 ‘상대평가에서 절대 평가’로, ‘양적 평가에서 질적 평가’로, ‘결과 중심의 평가에서 과정 중심의 평가’로, ‘일제식 평가에서 교사별 평가’로 변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평가혁신은 궁극적으로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초등학교에서는 일제식 지필평가의 폐지와 성장 지향 평가가 전면화되어야 하며, 중학교에서는 자유학기제 도입, 고등학교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 전형 확대를 계기로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를 활성화하는 것이 현 단계 평가혁신의 과제라 할 수 있다. The evaluation is the process of curriculum to certify the student’s place of definition and support the growth of students. But the main object of evaluation has been distorted because of the standardized test oriented from the entrance examination. But the evaluation policy has been changed to the desirable direction steadi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evaluation ‘from relative evaluation to absolute evaluation’, ‘from quantitative evaluation to qualitative evaluation’, ‘from result-centered evaluation to process-centered evaluation’, ‘from standardized evaluation to non-standardized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standardized test. In middle school it is necessary to use the free semester program in invigorating performance evaluation. In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use the comprehensive screening system of student files in nvigorating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형빈 ( Hyoung Bi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1

        이 연구에서는 "수업시간에 자는 현상"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소외 양상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교육적 과제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 소외 현상을 교육과정 및 수업의 양상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문제로 보았다. 그리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개의 중학교를 선정하여 수업참관과 학생면담을 통해 자료를 축적하고 이에 대해 현상학적인 기술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한 학교에서는 대부분의 수업이 강의위주의 빠른 진도로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은 닫힌 공간성 속에서 신체성을 억압당한 채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교과와 학생 사이에 의미 있는 관계성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반면에 다른 학교에서는 대부분의 수업이 "반복과 변화"의 시간적 흐름을 보이면서 적절한 속도의 진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은 다양한 공간적 이동을 경험하면서 적절한 신체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그 결과 교사와 학생 사이에는 의미 있는 소통이, 학생과 학생 사이에는 협력적 배움이, 교과와 학생 사이에는 통합적 관계성이 일정 부분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교실에서 실제로 경험하는 현상들을 중시하고, 수업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변화시켜 학생들의 신체성을 일깨우고,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에 소통과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교육과정과 삶을 통합하고 지식-탐구-실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students` engagement and alienation in class,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sleeping in class. The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oblem of alienation in class can be significantly addressed by a change i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qualitative data from participatory clas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students in two selected middle schools. The author provided descriptions of the data, followed by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data. In a traditional school, most classes are lecture-based and fast paced, the students have less physical flexibility due to the closed spaciality, and fewer meaningful relationships are found. In contrast, students in a innovative school`s classes experience a flow of "routine and variation" with moderate pacing, a variety of spatial movement, and proper physical activity. Therefore, meaningful communication,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tegrated relationships are often visible in the classes. To encourage students` engagement in class, teachers should focus on students` real experiences, promote students` physicality by changing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class, foster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and integrate the curriculum with learners` real lives, by linking knowledge with inquiry and praxis.

      • KCI등재

        초등학생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협력교사제 수업의 효과성 연구

        이형빈(Lee Hyoung bin),강에스더(Kang Esther)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초등학생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협력교사제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그 효과성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협력교사제 수업이란 담임교사 이외에 협력교사를 추가로 투입하여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지원하고 모든 학생들의 배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협력교사제 수업모델을 크게 ‘특별지원 모델’, ‘개별지원 모델’, ‘일반지원 모델’로 범주화하고 연구대상 학교의 수업을 참여관찰하면서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배려, 긍정적 동기화, 학습태도의 형성, 학생의 특징에 따른 개별화 교육, 모든 학생을 위한 책임교육 실현의 가능성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담임교사와 협력교사와의 협력과 소통을 통해 모든 학생들의 배움을 보장하는 수업혁신의 모델을 창출할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협력교사제 수업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인식 변화, 적극적인 수업혁신의 노력, 교육당국의 행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improvement in the direction of co-teaching strategy for basic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s. Co-teaching strategy is a project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failing to meet basic academic achievement, and to develop an innovative instructional model. In this study, co-teaching strategy was wide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 special support model, an individual support model, and a general support model.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odels were analyz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effectivities of co-teaching such as emotional care, positive motivation, formation of learning attitude, individual education depending on students’ peculiarity, and a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responsible education for all students, were able to be discovere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an innovative instructional model, assuring all students’ learning opportunity was also highlighted. These results suggested it is necessary for a change in the teachers' perceptions, to have an instructional model development for innov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of educational authorities.

      • KCI등재

        수업의 유형과 학생참여양상에 대한 연구: Bernstein의 교육과정사회학 관점을 중심으로

        이형빈 ( Hyoung Bi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2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사회학자 B. Bernstein의 ‘분류화(classification)’와 ‘구조화(framing)’ 개념을 활용하여 수업의 유형을 분석하는 틀을 구안하고, 연구 대상 학교의 수업 유형과 학생 참여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범주와 기준으로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구조화의 강/약’, 학생과 학생 사이의 ‘분류화의 강/약’, 교사와 교사 사이의 ‘분류화의 강/약’을 설정하였다. A중학교의 수업에서는 강한 분류화와 강한 구조화가 주로관찰되었다. 교사들은 주로 일방적인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학생들은 수업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잠을 자는 등 수업 참여를 기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C중학교의 수업에서는 약한 분류화와 약한 구조화가 주로 관찰되었다. 교사는 학생의 수업 참여를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었으며, 학생과 학생 사이에는 협력과 소통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수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B중학교의 수업에서는 A중학교와 C중학교의 중간 형태의 유형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학교 및 교사는 수업 시간에 학생의 참여와 협력을 보장하고 배움이 느린 학생을 배려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구축 등 교사 간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instruction and student``s engagement in class. Toward that end, it designs the tools of analysis of instruction in light of Basil Bernstein``s(1975) classification and framing. The category and standard of analysis is the strong/weak framing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strong/weak classification in student-student relationship, and the strong/weak classification in teacher-teacher relationship. In the middle school A class, ``strong classification and framing`` is always seen. Most classes are lecture-based, and the students are passively engaged in the class. In the middle school C class, ``weak classification and framing`` is always seen. Teachers lead student engagement, students work with their peers, and teachers try to use innovative form of instruction by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In the middle school B class, the middle type of instruction is seen.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motivate the students to cooperate with others and participate in class, to encourage teachers to attend to slow-learner, and to ensure that teachers create a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