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포화 수리전도도와 불투수층 깊이에 따른 우리나라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한경화,정강호,조희래,이협성,옥정훈,서미진,장용선,서영호,Han, Kyunghwa,Jung, Kangho,Cho, Heerae,Lee, Hyubsung,Ok, Junghun,Seo, Mijin,Zhang, Yongseon,Seo, Youngho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5

        Hydrologic soil group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runoff potential and curve numb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hydrologic soil groups of Korean soils by considering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depth of impermeable layer.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Korean soils was estimated by pedotransfer functions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ies. Most of paddy soils were classified as D type due to shallow impermeable layer and low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n B soil horizon. For upland and forest, soils classified to A and D types increased compared with former classification method because underestimated permeabilities and overestimated drainages were corrected and rock horizon in shallow depth was regarded as impermeable layer. Soils in mountainous land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A type, followed by D type. More than 60 % of soils in mountain foot-slope, fan and valley, alluvial plains, and fluvio-marine deposits were classified to D type because of land use such as paddy and upland.

      • KCI등재후보

        밭 토양에서 유기물 자원의 시용이 작물 수량 및 토양 물리성에 미치는 영향

        한경화(Kyunghwa Han),정강호(Kangho Jung),조희래(Heerae Cho),이협성(Hyubsung Lee),옥정훈(Junghun Ok),장용선(Yongseon Zhang),김기선(Gisun Kim),서영호(Youngho Seo) 유기성자원학회 2017 유기물자원화 Vol.25 No.4

        농경지에 유기물 자원을 시용하면 지력이 높아져서 작물의 수량이 높아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기물 자원을 밭 토양에 시용하였을 때 작물 수량 및 토양 물리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기물 자원별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콩을 평야지인 수원의 사양토와 식양토 포장에서 재배하였으며, 온도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고랭지 평창의 사양토 포장에서도 수행하였다. 시험에 쓰인 유기물 자원은 볏짚퇴비, 돈분톱밥퇴비, 계분톱밥퇴비, 코코피트였으며, 콩 파종 전에 탄소 기준으로 동등한 수준으로 시용하였다. 무기질비료의 시용량은 토양검정한 분석치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유기물 자원의 분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항온배양실험을 실내에서 사양토 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분해 속도는 볏짚퇴비가 가장 높았으며, 돈분톱밥퇴비, 코코피트 순이었다. 유기물 자원의 시용에 따른 콩 수량의 증가 효과는 사양토에 비해서 식양토에서 높았다. 기상 비율의 증가 효과도 식양토에서 뚜렷하였다. 반면에 토양 입단 안정성의 증가 효과는 사양토에서 비교적 높았다. 볏짚퇴비가 모든 토양에서 콩 수량의 증가 효과가 가장 높았다. 코코피트의 콩 수량 증가 및 토양 물리성 개선 효과는 다른 유기물 자원에 비해서 높지 않았다. 따라서 밭작물 수량의 증대 및 토양 물리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축분퇴비 등 다른 유기물 자원에 비해서 볏짚퇴비가 적합하였다. Application of organic resources to agricultural land can increase crop yield by improving soil characteristic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of crop yield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ggregate stability to application of organic resources in upland. The soybean was cultivated in a sandy loam field and a clay loam field located at Suwon and a sandy loam field located at Pyeongchang. The organic resources used in this study were rice straw compost (RSC), composted pig manure with sawdust (CPIG), composted poultry manure with sawdust (CPM), and cocopeat applied before sowing crop. Application rate of organic resources was determined based on carbon content and water content. The inorganic fertilizers were applied based on soil testing. In addition, the decomposition of RSC, CPIG, and cocopeat was characterized by isothermal incubation with sandy loam soil. The decomposition rate was highest for RSC followed by CPIG and cocopeat. Organic resource application increased yield of soybean, which effect was greater in clay loam than in sandy loam. In addition, increase in gas phase proportion by organic resource application was distinct in clay loam soil compared with sandy loam soil. In terms of aggregate stability, increasing effect was more obvious in sandy loam soils than in a clay loam soil. The highest yield was observed in RSC treatment plots for all the fields. Improvement of soybean yield and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by cocopeat was not as much as that of the other organic resources. The results implied that RSC could be recommended for promoting aggregate stability and crop yield in upland cultivation.

      • KCI등재

        논에서 벼 대체작물 재배가 토양 물리화학성과 작물 수량에 미치는 효과

        한경화 ( Kyunghwa Han ),조현준 ( Hyunjun Cho ),조희래 ( Heerae Cho ),이협성 ( Hyubsung Lee ),옥정훈 ( Junghun Ok ),서미진 ( Mijin Seo ),정강호 ( Kangho Jung ),장용선 ( Yongseon Zhang ),서영호 ( Youngho Seo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6 No.2

        논에서 대체작물의 재배에 따른 토양 물리화학성과 작물수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성충적지에 분포된 규암미사질 양토의 배수 약간양호인 토양에서 콩, 레드클로버, 공심채를 대체작물로 재배하여 3년간 경작시험을 수행하였다. 경작처리는 콩-벼-벼, 콩-콩-벼, 레드클로버-레드클로버-벼, 레드클로버-벼-벼, 공심채-공심채-벼, 공심채-벼-벼 작부체계로, 3년차에는 모든 처리에서 논으로 복원한 다음 벼를 재배하여 토양 물리화학성과 작물 수량을 조사하였다. 앞그루가 밭일 때 토양의 용적밀도와 경도, 수분함량이 감소하였고 공극률은 증가하였다. 대체작물을 2년 재배하였을 때에 1년 재배하였을 때보다 토양 입단량과 감수심이 높았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레드클로버와 공심채를 2년 동안 재배하였을 때 높았다. 3년차에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리 함량, 토양CEC는 앞그루가 콩이었을 때 높았다. 대체작물의 1년차 생산성은 공심채가 레드클로버보다 높았으나, 2년차에는 반대였다. 3년차의 벼 수량은 앞그루가 콩과 레드클로버일 때가 공심채일 때보다 높았다. BACKGROUND:Cultivation of alternative crops in paddy fields is necessary because of the decrease in rice consumption and the increase in excess stock of rice. The study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ternative crops cultivation in paddy fields on s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rop yield. METHODS AND RESULTS: Soybean (Glycine max), red-clover (Trifolium pratense), and water convolvulus (Ipomoea aquatica) were selected for alternative crops in the first and/or second year and ricewas planted in the third year.When alternative cropswere cultivated in the previous year, soil bulk density, soil hardness, and water content were lower than those for rice cultivation. Water-depth decreasing rate and aggregate content were greater for the upland-upland-paddy cropping system than upland-paddy-paddy cropping system. Cultivation of red-clover andwater convolvulus for two years resulted in the high soil 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third year,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and soil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relatively high when soybean was cultivated in the previous year. In the first year, water convolvulus cultivation showed greater productivity than red-clover cultivation while the opposite pattern was found in the second year. Rice yield in the third year was greater for soybean or red-clover as a previous crop than for water convolvulus as a previous crop.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ultivation of alternative crops in paddy fields can improve soil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bulk density, hardness, water content, and aggregate content as well as rice productivity.

      • 기상자료를 활용한 전국 USLE 강우침식성 인자 산정

        옥정훈(Jung-hun Ok),손정우(Jeong-woo Son),황선아(Seon-ah Hwang),이협성(Hyubsung Lee),오부영(Bu-yeong Oh)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분야 실태조사 및 영향평가를 통해 집중호우 및 강우강도가 증가되어 농경지 토양침식의 심화가 예상된다. USLE(Univeral Soil Loss Equation) 모형은 전국 토양유실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식으로 5가지 주요 인자가 있으며 강우인자는 기상과 관련된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최근 몇 년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강우침식성 인자값를 산정하고 과거 30년(1986∼2015년)과 최근 20년(2001∼2020년), 최근 10년(2011∼2020년), 최근 5년(2016∼2020년)별로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강우침식성 인자는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전국 58개 관측지점의 1시간 단위 강수자료를 기상청 방재기상정보 포탈서비스 시스템(http://metsky.kma.go.kr)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USLE 모형에서 강우사상은 1회 강우량이 12.7 mm 이상이며, 강우 간 간격이 6시간 이내일 때는 1회 강우사상, 6시간 이상일 때는 2회 강우사상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1회 강우가 12.7 mm 이하인 경우라도 15분 이내 6.25 mm 이상의 강우는 1회 강우사상에 포함되나 본 연구에서는 1시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15분 이내 6.25 mm 이상의 강우는 강우사상으로 포함하지 않았다. 연도별 강우침식성 인자(MJ mm/ha/yr/hr)는 강우사상별 강우의 총에너지와 30분 최대 강우강도(I30, cm/hr) 곱을 연간 합산하여 구하였으며 전국 강우침식성 인자 분포 지도는 GIS를 활용하여 거θ리역산자승가중치법(IDW, Inverse distance weight)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전국 58개 지점의 관측자료로 계산한 과거 30년(1986∼2015년), 최근 20년(2001∼2020년), 최근 10년(2011∼2020년), 최근 5년(2016∼2020년)별로 강우량과 강우침식성 인자 전국 평균을 살펴보면, 과거 30년은 1,352 mm, 4,028 MJ mm/ha/yr/hr, 최근 20년은 1,357 mm, 4,085 MJ mm/ha/yr/hr, 최근 10년은 1,321 mm, 3,874 MJ mm/ha/yr/hr, 최근 5년은 1,322 mm, 4,044 MJ mm/ha/yr/hr로 나타났으며 최근 10년의 강우침식성 인자값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최근 10년과 최근 5년의 비교에서 강우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강우침식성 인자는 최근 5년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볼 때 서귀포를 포함하여 거제, 남해, 고흥, 장흥 등 경남 및 전남 해안지방, 인천, 수원 등 경기도 및 서울지역, 강릉, 속초 등 강원도 동해안지역의 강우침식성 인자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